본문내용
1. 서론
1.1. 에셀 베드퍼드 펜위크의 간호 업적 조사 목적
펜위크는 제2차 간호 혁명을 주도한 간호사로서, 그의 업적을 조사함으로써 간호사로서 전문직으로서의 자세와 마음가짐을 탐구하고자 한다. 펜위크는 간호사를 독자적이고 전문적인 직업으로 공식화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대 간호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펜위크의 업적과 그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간호사로서 어떤 태도와 자세를 갖추어야 할지 알아보고자 한다.
펜위크는 1857년 스코틀랜드 모이레주에서 부유한 의사의 딸로 태어났다. 20세에 노팅엄 소아병원에서 간호 교육을 받고 런던 병원에서 수간호사로 근무하다가 1881년 성 바돌로뮤 병원의 간호부장으로 취임하였다. 펜위크는 간호사의 대동단결을 주장하며 1887년 영국 간호협회(RBNA)를 설립하였고, 1893년에는 'NURSING TIMES'라는 전문지를 발간하였다. 또한 펜위크는 1899년 국제간호협의회(ICN)를 창립하여 세계 간호사들의 단결과 협력을 이끌어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업적은 1919년 간호사 면허법이 통과되도록 하여 간호사를 독자적이고 전문적인 직업으로 공식화한 것이다.
펜위크의 이러한 업적은 간호사의 독립적인 전문직으로의 지위 확립과 함께 간호 체계 발전을 위한 노력을 보여준다. 이는 현대 간호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간호사들이 전문성과 자율성을 갖고 간호대상자를 효과적으로 돌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간호사들이 간호 발전을 위해 고민하고 연구하는 것 또한 중요한 역할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해주었다.
결국 펜위크의 업적은 간호사로서 가져야 할 전문적이고 자율적인 자세와 태도, 그리고 간호 발전을 위한 끊임없는 고민과 노력의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2. 간호사의 직업적 자세와 마음가짐 탐구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핵심적인 자세와 마음가짐은 전문성과 사명감이다. 펜위크는 간호를 단순한 직업이 아닌 전문적인 직업으로 보았으며, 간호사 개개인의 헌신과 노력을 통해 간호의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펜위크는 간호사의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직업 지위를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간호사 시험제도와 면허 등록제도 도입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간호사라는 독자적인 직업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고자 함이었다. 또한 1887년 영국간호협회(RBNA)를 설립하여 간호사의 단결과 조직적 활동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사 자신이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역량과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한편, 펜위크는 전문성과 더불어 간호사의 사명감에 대해서도 강조하였다. 그는 간호를 질병이나 증상에 대한 처치가 아닌 환자 개인에 대한 전인적인 돌봄으로 바라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안녕과 건강 증진을 위해 헌신적으로 일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펜위크는 간호사의 전문성과 사명감을 동시에 강조함으로써, 간호사가 환자 중심의 전인적인 돌봄을 제공하면서도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직업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펜위크의 관점은 오늘날 간호사의 직업적 자세와 마음가짐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에셀 베드퍼드 펜위크의 생애
2.1. 펜위크의 성장 배경
펜위크는 1857년 스코틀랜드 모이레주에서 부유한 의사의 딸로 태어났다. 그는 영국 도시 요크셔의 미들트로페 홀에서 사립교육을 받은 후 20세에 노팅엄에 있는 소아병원에서 견습 간호사로 교육을 받았다. 이후, 런던 병원에서 수간호사로 근무했으며 1881년 성 바돌로뮤 병원의 간호부장으로 취임했다. 1887년에는 베드포트 펜위크 의사와 결혼한 후 6년 동안 성 바돌로뮤병원에서 일정 기준에 따라 무자격 간호사의 자격을 부여하는 간호교육을 실시하는 개혁을 시작하였다. 1947년 3월 13일 런던시 콜로니에서 90세로 사망하였다.
2.2. 펜위크의 간호사 경력 시작
펜위크는 1881년 맨체스터 병원에서 간호 교육을 받았다. 이후 런던 병원에서 수간호사로 2년간 근무했으며, 1881년 성 바돌로뮤병원의 간호부장으로 취임하였다.
펜위크의 성장 배경은 다음과 같다. 그는 1857년 스코틀랜드 모이레주 쉐니 하우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