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복막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개요
2. 급성 복막염의 이해
2.1.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2.2. 급성 복막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
2.3. 급성 복막염의 원인
2.4. 급성 복막염의 증상 및 합병증
3. 사례 연구
3.1. 대상자의 개인력 및 건강력
3.2. 진단검사 결과 정보
3.3. 치료 및 경과
4. 간호과정
4.1. 간호진단
4.2. 간호중재
4.3. 간호평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복막염은 복부 장기질환의 위험한 합병증이다. 대부분은 세균감염에 의해 복막에 발생한 염증으로 나타나며, 특히 충수염으로 맹장이 천공되기도 하지만 위나 십이지장궤양, 장폐색 등으로 장에 구멍이 생기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또한 외상, 외과적 상해, 화학적 자극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복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외상에 의한 십이지장 부위의 천공에 의한 복막염은 진단이 지연되면 복막염으로 퍼지게 되어 염증이 복강 내로 퍼져 수술도 어렵고 예후도 좋지 않아 목숨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질병에 대해 자세히 알고 정확한 치료와 간호를 통해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와줄 필요가 있다.
복막의 구조와 기능, 급성 복막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 원인, 증상 및 합병증 등 급성 복막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실제 사례를 통해 대상자의 개인력, 건강력, 진단검사 결과, 치료 및 경과, 간호과정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간호 중재와 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복막염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원인 파악과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질병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적절한 치료, 간호가 필요하다.
1.2. 문헌고찰 개요
소화기계는 크게 구강, 위, 소장, 대장으로 구성되며 음식물의 소화 및 흡수를 담당한다. 구강에서는 음식을 잘게 분쇄하고 위에서는 소화액과 혼합하여 소화를 돕는다. 소장에서는 소화된 영양분이 흡수되며 대장에서는 수분을 흡수하여 변을 형성한다.
급성 복막염은 복강 내 장기에 발생한 염증으로 심각한 전신적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복막염은 복강 내로 세균이나 다른 자극물질이 유입되어 복막이 염증반응을 일으키면서 발생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장기의 천공, 외상, 수술 등이 있다.
복막염의 주요 증상은 심한 복통, 발열, 빠른 호흡, 빠른 맥박 등이며 복부 압통, 근육경직, 장음 감소 등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을 시행한다.
복막염의 치료는 내과적 치료와 외과적 치료로 나뉜다. 내과적 치료로는 금식, 수액 공급, 항생제 투여 등이 있고 외과적 치료로는 복강 내 오염물질 제거 및 천공부위 봉합 등이 시행된다. 복막염 환자 간호 시 활력징후 및 통증을 모니터링하고, 감염 예방 및 합병증 관리에 주력한다.
2. 급성 복막염의 이해
2.1. 소화기계의 구조와 기능
구강(口腔)은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여 식도를 통해 음식물이 잘 내려가도록 만드는 작용과 위에서 이루어지는 소화 작용이 수월하도록 도와준다. 특히 침샘에서 배출되는 아밀라아제(Amylase)라는 효소는 음식물 속의 전분을 분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胃)는 모양과 크기가 일정하지 않지만 대부분 J형으로 만곡의 내측을 소만(小滿), 외측을 대만(大滿)이라 하며, 식도의 입구를 분문(噴門), 십이지장으로 이어지는 출구를 유문(幽門)이라 한다. 한국인 위 평균용량은 성인의 경우 남자는 1,400cc, 여성은 1,270cc정도이며, 내측면은 점막으로 되어있는데 세로로 이어진 긴 주름과 가로로 이어지는 짧은 주름이 있다. 위선(胃腺)에서 위액을 분비하며 위벽의 근육에 의한 연동운동으로 음식물과 위액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묽은 죽 상태의 카임(Chyme)을 십이지장으로 보내며, 알코올 및 탄산수 등의 흡수도 담당한다.
소장(小腸)은 위와 연결되어 있고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6.7~7.6cm정도로 장기 중 가장 긴 구조이다. 십이지장은 약 25~30cm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하행부에 있는 십이지장 곡의 후 내측 벽에 쓸개관과 이자관이 열려 있어 간과 췌장에서 나온 수종의 효소를 받아들여 위에서 넘어온 유미즙을 체내로 흡수하기에 가장 적합한 최종의 혼합물 상태로 소화시킨다.
공장과 회장은 모든 소화기관에 걸쳐서 이루어진 소화과정이 결실을 맺게 되는 기관으로서, 점막의 세포로 흡수된 영양분은 모세관으로 전달되고, 순환계와 림프계로 옮겨져 최종적으로 각 종 세포에 전달되어 에너지 대사 작용에 쓰이게 된...
참고 자료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성인간호학 (수문사)
간호학대사전
서울아산병원 건강칼럼
건강사정 (정담미디어)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 가이드북 (이홍만,박무균 옮김)
통증 (이론 및 중재) - 최명애, 이은옥 편저
간호중재 (서울대학교출판)
조경숙 외 9명(2013).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2)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Mosby의학간호학대사전. 현문사. 2004.(3) 이은옥 외.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수문사. 1992. (4) 전국대학병원, 전국간호대학 편. 임상간호의 핵심III. 도서출판 한우리. 2005.(5) 전시자 외. 간호과정. 서울 : 현문사, 2004.
약학 정보원 http://www.health.kr/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Druginfo http://www.druginfo.co.kr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7
이강이 외, 건강사정, 현문사, 2018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13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15
이동숙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스널 출판사, 2016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