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유체역학 실험의 개요
유체역학은 유체의 정지나 운동에 관련된 물리학의 한 분야이다. 유체역학 실험은 유체의 특성을 파악하고 유동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실험들을 포함한다. 유체역학 실험에는 베르누이 실험과 풍동 실험이 대표적이다. 베르누이 실험은 유체 유동에 관한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풍동 실험은 공기의 흐름 속에 놓인 물체의 유동 정보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유체역학 실험들을 통해 유체의 흐름 특성, 압력과 속도의 관계, 양력 및 항력 등 유체역학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유체역학 실험은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체의 효율적인 활용과 활용 기술 발전에 기여한다.
1.2. 베르누이 실험의 목적
베르누이 실험의 목적은 유체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다. 유체가 관을 통과할 때 관의 단면적이 좁아지면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고, 동시에 압력은 감소한다. 이와 같은 베르누이 원리를 실험을 통해 관찰하고 이해하는 것이 베르누이 실험의 주된 목적이다. 또한 유량 측정기기인 벤투리미터와 피토관의 원리를 배우고, 이를 통해 유체의 속도와 압력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유체역학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을 얻는 것이 베르누이 실험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1.3. 풍동 실험의 목적
풍동 실험의 목적은 공기의 흐름 속에 물체가 놓여 있을 때 물체 주위 공기의 유동 정보를 해석하는 것이다. 풍동 실험을 통해 실험의 결과로부터 항력, 양력, 양력계수 등과 같은 측정값들을 구할 수 있으며, 각도별, 측정지점별 결과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기계부품에 사용되는 모형에 실험결과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피토튜브를 통해 흐르는 유량을 체크할 수 있어, 이물질 유무에 따른 실험결과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측정하는 온도, 대기압, 유체의 밀도 등의 변화에 따른 결과값의 차이도 분석할 수 있다.
2. 유체역학 실험
2.1. 베르누이 실험
2.1.1. 실험 이론 및 원리
유체역학의 기본법칙 중 하나인 베르누이 정리는 1738년 D.베르누이가 발표하였다. 점성과 압축성이 없는 이상적인 유체가 규칙적으로 흐르는 경우에 대해 속력과 압력, 높이의 관계를 규정하였다. 유체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이 일정하다는 법칙에서 유도한다.
예를 들어, 굵기가 변하는 관에 공기를 흐르게 하고 굵기가 다른 부분의 아래로 가는 유리관을 연결하면, 가는 유리관 속에서의 물의 높이가 굵은 쪽에 연결된 물기둥보다 높아진다. 같은 높이에서 유체가 흐르는 경우 유체의 속력은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증가하고 넓은 통로를 흐를 때 감소한다.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르면 유체의 속력이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