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글쓰기의 논리
1.1. 독후감: 《글쓰기 생각쓰기》
이 책은 저자가 생각하는 좋은 글쓰기의 원칙과 방법, 다양한 글쓰기 형식, 글쓰기의 자세와 태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저자는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드러내는 것이 좋은 글쓰기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명료한 생각이 명료한 글로 이어져야 하며, 군더더기를 과감히 버리고 간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글쓰기에는 통일성과 논리성이 필요하며, 독자의 주목을 끄는 시작과 끝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다양한 글쓰기 형식 중에서 논픽션은 문학적 가치를 지니며, 인터뷰나 여행기, 회고록, 과학기술 관련 글쓰기, 비즈니스 관련 글쓰기, 예술 비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글쓰기의 자세에 대해 말하는데, 자신만의 목소리와 감각을 유지하고, 즐거움과 자신감을 가지며, 글쓰기를 결정의 연속으로 인식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다양한 사례와 예시를 통해 좋은 글쓰기의 원칙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1.2. 좋은 글쓰기의 원칙
자신을 발견하는 글쓰기를 해야 한다. 좋은 글에는 독자를 한 문단에서 다음 문단으로 계속 나아가도록 붙잡는 생생함이 있다. 이는 자신을 꾸미는 기교의 문제가 아니라 가장 명료하고 힘 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의 문제이다.
간소한 글이 좋은 글이다. 좋은 글쓰기의 비결은 모든 문장에서 가장 분명한 요소만 남기고 군더더기를 걷어내는 데 있다. 명료한 생각이 명료한 글이 된다.
버릴 수 있는 만큼 버리자. 난삽함과의 싸움은 잡초와의 싸움과도 같다. 자신이 쓴 글에서 군더더기를 찾아내 가차 없이 빼버려야 한다. 어떤 모습이 근사해보인다고 해서 쓸모없는 것에 매달리고 있지는 않는지 살펴봐야 한다. 간소하게, 부디 간소하게 쓰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만의 문체를 개발해야 한다. 글을 애써 꾸미려는 것이 문제이다. 그러다보면 자신만의 것을 잃게 된다. 독자들은 진실한 목소리를 듣고 싶어 한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자기 자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글은 무엇보다 스스로의 즐거움을 위해 쓰는 것이다. 간소하게 쓰고, 가지를 치고, 가지런히 정돈하자. 이것을 기계적인 일로 생각하면 문장은 금세 더 명료해진다.
1.3. 글쓰기에 필요한 지식
글쓰기에 필요한 지식이다. 통일성은 좋은 글쓰기의 닻과도 같으므로 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어떤 자격으로 글을 쓸 것인지, 어떤 시점과 시제를 사용할 것인지, 어떤 문체로 쓸 것인지, 어느 정도로 다룰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어떻게 글을 시작하고 끝낼 것인지도 중요하다. 글의 도입부는 참신함, 진기함, 역설, 유머, 놀라움, 비범한 아이디어, 흥미로운 사실, 질문 등으로 독자를 유혹해야 하며, 마무리 부분에서도 독자를 놀라게 하고 기쁘게 해야 한다. 논픽션은 소설이나 시와 같은 문학 형식만이 아닌 다양한 글쓰기 방식이 포함되며, 문학성을 가질 수 있다. 인터뷰는 사람에 대한 글쓰기에 생동감을 불어넣을 수 있고, 여행기는 장소에 대한 글쓰기에 도움이 된다. 회고록은 개인의 경험과 성찰을 담을 수 있으며, 과학 기술 분야 글쓰기는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즈니스 관련 글쓰기와 예술 비평 글쓰기에서도 인간미와 명료한 생각이 중요하며, 유머를 활용하여 즐거움을 전달할 수 있다.
1.4. 다양한 글쓰기 형식
다양한 글쓰기 형식이다. 문학으로서의 논픽션이 존재한다는 것은 작가들이 쓰고자 하는 것, 출판사와 잡지사가 출간하려 하고 독자들이 요구하는 것의 상당수가 논픽션이기 때문이다. 소설가는 분명 다른 작가들이 갈 수 없는 비밀의 장소, 즉 심오한 감성과 내면의 삶 속으로 우리를 데려가 준다. 내 말은 단지 논픽션이 저널리즘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자기가 가장 잘 쓸 수 있고 가장 잘 배울 수 있는 분야가 논픽션이라면 그것이 열등한 장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오히려 형식이 어떻든, 그것을 무어라 부를든 좋은 글은 좋은 글이기 때문이다. 인터뷰: 사람에 대한 글쓰기의 경우, 사람들이 말하게 하고 그들의 삶에서 가장 흥미롭고 생동감 있는 이야기를 이끌어내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여행기: 장소에 대한 글쓰기에서는 사람과 장소가 논픽션을 지탱하는 두 기둥이므로, 그곳에서 최고의 것을 뽑아내려 노력해야 한다. 회고록: 나에 대한 글쓰기의 경우, 인생 전체를 바탕으로 하되 그 대부분을 무시하는 것이 회고록의 힘이 되며, 글쓴이가 무엇을 배웠는지 궁금하게 만든다. 과학과 기술 분야의 글쓰기는 독자가 가장 먼저 알아야 할 한 가지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