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도 심리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도 심리분석
2.1. 인물의 주요 행동
2.2. 심리학적 접근법 적용
2.2.1. 생모와의 이별
2.2.2. 무리한 조기교육
2.2.3. 과도한 간섭과 인색한 칭찬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영유아들은 부모와 형제 등과 같은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신체적인 접촉과 보살핌을 통해 성격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놀이터 등에서 또래나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거나 친구들의 주장을 굽히기도 하는 등 서로 양보하거나 배려하고 때로는 싸우거나 화해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아이들이 대인관계와 사회성, 이타심을 배울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요소이다. 또한 부모의 성향은 자녀의 성격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데, 정신적, 신체적 폭력을 행사하는 부모에 의해 성인으로 성장했을 경우에는 자기 자녀에게도 똑같이 대하거나 정반대로 무조건적인 사랑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는 모두 감정의 절제가 부족하다는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잘못된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나 유전적 요인, 학습 요인 등이 성격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사도 심리분석
2.1. 인물의 주요 행동
사도세자의 주요 행동
사도세자는 조선의 왕세자 중 한 명으로, 영조가 42세라는 당시 고령에 얻은 아들이다. 어렸을 때는 매우 총명하여 영조가 매우 총애하였으나, 성장하는 과정에서 아버지인 영조와의 오랜 갈등으로 인해 만 27세의 젊은 나이로 뒤주에 갇힌 지 8일 만에 굶어서 비참하게 죽음을 맞이하였다. 사료에 따르면 사도세자에 대한 영조의 기대가 너무 커 사도세자가 감내하기 힘든 정신적 학대와 질책이 이어졌으며, 이에 대한 반항심 등으로 각종 기행과 비행을 일삼다 결국 비참한 죽음을 맞이한 것이다.
사도세자는 옷을 입기 어려워하는 의대증을 가지고 있었으며, 옷을 한 번 입기 ...
참고 자료
서혜석 외(2017), 「심리학개론」, 정민사.
노혜경(2015), 「엄혹한 조기교육, 사도세자의 비극 낳고 신뢰와 눈높이 교육, 정조의 성공 낳다」, DBR 181호.
이대화 외(2022), 「사도세자와 영조를 바라보는 후대의 시선 : 『한중록』의 해석에 개입된 역사관 들여다보기」, 교양학 연구 20, pp.157-193.
중앙일보, 「활달했던 사도, 대리청정 후 ‘영조 스트레스’에 조울증』, 2015.09.26. (www.joongang.co.kr/article/18747845)
월간조선 [김보연의 프로이트 다시읽기 〈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마음 읽기]
대한금융신문 [[칼럼]독서로 콤플렉스 극복한 탕평의 군주 ‘영조’]
노혜경(2015), 「엄혹한 조기교육, 사도세자의 비극 낳고 신뢰와 눈높이 교육, 정조의 성공 낳다」, DBR 181호.
이대화 외(2022), 「사도세자와 영조를 바라보는 후대의 시선 : 『한중록』의 해석에 개입된 역사관 들여다보기」, 교양학 연구 20, pp.157-193.
최지연, 「사도세자는 양극성 장애 환자? 현대 정신의학으로 진단해 보니…」, 동아일보, 2014.12.03.
(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41203/68328353/1)
홍주희, 「활달했던 사도, 대리청정 후 ‘영조 스트레스’에 조울증」, 중앙일보, 2015.09.26. (www.joongang.co.kr/article/18747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