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욕창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간호사정
2.1. 일반적 정보
2.2. 병력
2.3. 신체 사정
3. 간호과정
3.1.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3.2. 부동과 관련된 욕창 위험성
3.3. 천식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3.4. 활동부족과 관련된 변비의 위험성
3.5. 고령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4. 문헌고찰
4.1. 욕창의 정의와 위험요소
4.2. 욕창의 증상과 진단
4.3. 욕창의 치료와 간호중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요추골절(Fracture of lumbar vertebral)은 척추의 허리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뼈가 외부의 강력한 힘이나 급격한 회전운동 시 부러지거나 금이 가는 상태를 의미한다. 최근 교통사고 및 산업 재해의 증가, 평균수명연장으로 인해 척추 골절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흉·요추의 골절은 부위에 따라 흉추부(T1-Tl0), 흉·요추부(T11-L2) 및 하 요추부(L3-Ls)골절로 나뉘며, 이 중 전체척추골절의 약50%, 척수손상의 약40%가 흉 요추부에서 발생하며 흉 요추부 골절 환자의 약 20%에서 신경 손상이 동반된다. 따라서 요추척추골절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2. 간호사정
2.1. 일반적 정보
39세 남성 김OO님은 coccyx 욕창 호전 치료를 위해 본원 외래를 통해 입원하셨다. 2022년 5월에 본원에서 coccyx 욕창수술 하셨고, 2012년부터 척추손상으로 인한 하반신마비 상태이시다. 김씨는 184cm에 85kg이고 활력징후는 체온 36.5°C, 혈압 130/80mmHg, 맥박 113회/분, 호흡 20회/분이고 Mental은 Alert하시고 Motor·언어능력 Normal하시고 호흡상태·청력상태·치아상태·배설습관 모두 정상이시고 Allergy 반응없으시다. 김씨는 미혼이고 어머니가 대장암의 질병을 가지고 계신다.
2.2. 병력
김OO님은 2022년 5월에 본원에서 coccyx 욕창수술을 받았고, 2012년부터 척추손상으로 인한 하반신마비 상태이다. 김씨는 미혼이며, 어머니가 대장암의 질병을 가지고 계신다.
김씨는 2012년부터 척추손상으로 인한 하반신마비 상태이다. 김씨는 미혼이고, 어머니가 대장암의 질병을 가지고 계신다.
2.3. 신체 사정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신체 사정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현재 39세 남성으로 2012년부터 척추손상에 의한 하반신마비 상태이다. 최근 coccyx 욕창 수술 후 재원 중에 있으며, 전반적인 활력징후와 기본적인 일상생활동작은 양호하다.
대상자의 신체 계측 결과, 신장 184cm, 체중 85kg으로 정상 범위에 속한다. 활력징후는 체온 36.5°C, 혈압 130/80mmHg, 맥박 113회/분, 호흡 20회/분으로 측정되었다. 정신상태는 명료하며 언어능력과 운동기능도 정상이다. 호흡, 청력, 치아 상태, 배설 습관 등 전반적인 기능이 양호하며, 알레르기 반응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는 2012년 교통사고로 인한 척추손상으로 하반신 마비가 발생한 상태이다. 최근 coccyx 욕창 수술을 받았으며, 현재 Lt buttock에 15*15 크기의 stage 3 욕창과 Rt hip에 5*5 크기의 stage 2 욕창이 있다. 이와 함께 배액관 2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대상자는 욕창 위험도 평가에서 9점으로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간호과정
3.1.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L2 압박골절 진단을 받았으며, 이로 인한 급성통증을 호소한다. 대상자의 통증은 NRS 평가 결과 14시에 7점, 18시에 7점, 22시에 7점으로 나타났다. 수술적 치료 없이 보존적 치료를 받고 있으며, 통증 악화 시 기침이 심해지고 두통이 동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살펴보면 체온이 12월 5일 14시에 37.0°C, 12월 6일 14시 36.9°C, 12월 7일 14시 36.7°C로 측정되어 체온 상승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혈압은 12월 5일 14시 140/90mmHg, 12월 6일 14시 120/90mmHg, 12월 7일 14시 120/80mmHg으로 측정되었으며, 맥박은 12월 5일 14시 90회/분, 12월 6일 14시 90회/분, 12월 7일 14시 89회/분으로 나타났다. 호흡수는 ...
참고 자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20, p.176-184
손영희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하), 2003, p.51~70
권영숙 외, 기본간호학 각론, 정담, 2000, p.236~260
임난영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수기, 수문사, 2008, p.116~125
박경희 외, 욕창간호 실무지침 개정, 임상간호연구, 2019
삼성서울병원, ‘욕창’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eb&CONT_SRC=CMS&CONT_ID=2613&CONT_CLS_CD=001020001009
서울아산병원, ‘욕창’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57
요양플러스, (2015), [평가지표 54,57 욕창평가] Braden scale 욕창위험도 평가도구, https://bit.ly/3O1pZnl
약학정보원, ‘스모프카비벤주’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6040400035
네이버 건강백과, ‘하트만액’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41841&cid=51000&categoryId=51000
네이버 건강백과, ‘가스터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63858&cid=51000&categoryId=51000
약학정보원, ‘시프로플록삭신주’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8032200010
황옥남 외. (2019). 제 7판 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
박철원. (2010). "요추골절환자의 치료 기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내석사학위논문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대학원
백승욱. (2011). “요추부 골절(Lumbar Spine Fracture)”. 대한골절학회지. 24(3), 277-287
강호숙, 김인자. (2017). 생활습관 중재가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변비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20)1, 52-60.
양정희. (2012). 낙상 예방.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16(3), 101-107.
엄지연, 정덕유. (2013). 욕창의 예방적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노년학, 33(1), 23-37.
안기찬. (2009).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의 비수술적 치료. 대한골절학회지, 22(3), 234-237
[의학칼럼] 겨울 안전사고로 인한, 척추압박골절에 대해 http://www.gy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476에서 2023년 12월 14일 인출
대한정형외과학회. https://www.koa.or.kr에서 2023년 12월 14일 인출
병원간호사회. khna.or.k에서 2023년 12월 16일 인출
서울아산병원. amc.seoul.k에서 2023년 12월 16일 인출
송경애 외 공저.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경기도 파주시: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 (2020). 제9판 성인간호학Ⅰ. 경기도 파주시: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 (2020). 제9판 성인간호학Ⅱ. 경기도 파주시: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in/healthInfoMain.do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