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알겠다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PBL(Project Based Learning) 교육의 이해와 적용
1.1. PBL의 개념과 효과
1.2. 뉴질랜드와 미국의 PBL 수업 사례
1.3. 한국의 PBL 수업 도입과 시행
1.4. PBL 수업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
2. 방송언어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2.1. '아는 형님' 방송언어의 문제점
2.1.1. 외국어 남발
2.1.2. 맞춤법 오류
2.1.3. 신조어 사용
2.2. '아는 형님' 방송언어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2.2.1. 비표준어 5번 사용 시 5분 동안 말 못 하게 하기
2.2.2. 비표준어 사용할 때마다 자막에 올바른 표현으로 고치기
2.2.3. 방송 후 자신이 사용한 비표준어 확인시키기
3. 삶과 인생의 지혜
3.1. 부와 사업에 관한 저자의 견해
3.2. 저자가 얻은 삶의 지혜
3.3. 저자의 경험을 통한 깨달음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PBL(Project Based Learning) 교육의 이해와 적용
1.1. PBL의 개념과 효과
PBL의 개념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PBL은 'Project-Based Learning'의 약자로, 학생들이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핵심 개념과 원리를 배우는 학습 방법이다. PBL에서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찾아나가도록 유도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력 능력 등 21세기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다.
PBL의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적인 문제나 프로젝트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 둘째,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학생들은 팀을 이루어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넷째, 학습 과정과 결과물에 대해 스스로 성찰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PBL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동기와 몰입도가 높아진다. 둘째, 문제해결력, 창의성, 의사소통 능력 등이 향상된다. 셋째, 실제 세계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면서 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느낄 수 있다. 넷째, 협력적 학습 경험을 통해 팀워크 능력이 증진된다. 다섯째, 학습의 주체가 되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된다.
요약하면, PBL은 학생 중심의 능동적이고 실제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21세기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는 혁신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2. 뉴질랜드와 미국의 PBL 수업 사례
뉴질랜드의 시골 와나카 학교는 PBL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집중도와 창의력을 높이고 있다." 이 학교에서는 수업 시간에 간식을 먹으며 수업에 경청하는 학생들의 집중도가 매우 높다. 특히 타인에게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말하는 말하기 수업과 스피치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생들은 친구들 앞에 나와 발표를 한 뒤 솔직하고 가감 없는 평가를 받는다. 교사는 학생들이 자기 생각을 정리해서 정확하게 말하는 법과 자신감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이 학교는 세계 토론대회에서 4년 연속 우승을 거두는 성과를 거두었는데, 이는 PBL 수업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모건힐 학교에서는 '택스맨 프로젝트'라는 PBL 수업을 운영한다. 학생들이 가상 은행에 저축을 하고 일을 해서 돈을 벌며, 구매한 물건에 대한 세금을 내는 등 경제 활동을 체험한다. 이를 통해 수학과 사회 과목을 흥미롭게 배울 수 있다. 교수는 PBL 수업의 장점 중 하나가 여러 학문을 융합해서 배울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한다. 실생활에서는 모든 학문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BL 수업은 학생들이 배움의 주인이 되게 한다. 할렘가 중심의 모트홀 중학교에서는 '커뮤니티 서비스 프로젝트'를 운영한다. 학생들은 지역 사회 전문가에게 직접 배우며 지역 봉사 활동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진로를 탐색할 수 있고 학업 성적에도 반영된다. 따라서 PBL 수업은 학생들의 주도성과 적극성을 높이고 실생활과 연계된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1.3. 한국의 PBL 수업 도입과 시행
우리나라에서도 PBL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점차 PBL 수업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일부 대학과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PBL 수업이 시행되기 시작했다.
특히 2007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 PBL이 반영되면서 PBL 수업이 점차 확대되어 왔다.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프로젝트 활동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PBL의 주요 특징과 부합한다. 이에 따라 많은 학교에서 교과 수업은 물론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도 PBL 수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대구 중앙중학교를 들 수 있다. 2015년부터 중앙중학교는 PBL 수업을 전면 도입했다. 교사들은 기존 교과 수업을 PBL 수업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기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중앙중학교는 최근 교육부 주관 '20...
참고 자료
김경희.박은희.신미선, 「연예오락프로그램에서의 방송언어심의」, 『한국방송학보』, 한국방송학회, 28(5), 74-110, 2014.
김미영, 「신조어의 생성과 보급에 대한 사회·심리 언어학적 분석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0.
김수연, 「방송 언어 표현의 분석과 말하기 교육에서의 적용」,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3.
김현영, 「방송언어의 비표준어 사용 양상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권상집.이인혜, 「장르와 배역 크기에 따른 방송 연예인의 직업의식과 프로그램 의식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박서형, 「텔레비전 방송 언어의 오용 사례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석사학위논문, 2011.
이래호, 「2008년도 신어의 단어 형성법 연구」, 전북대학교, 한국중원언어학회 2009 봄 학술발표회, 2008.
조민하.홍종선, 「방송언어의 외래어·외국어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한어문교육』,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5.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463225 - 네이버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