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블로우드라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블로우 드라이의 정의와 특징
3. 블로우 드라이의 역사
4. 블로우 드라이의 목적
5. 블로우 드라이의 기술
5.1. 모발과 열의 관계
5.2. 적정 온도
6. 블로우 드라이의 종류
6.1. 블로우 드라이
6.2. 핑거 드라이
6.3. 램프 드라이
6.4. 내츄럴 드라이
7. 블로우 드라이에 필요한 도구와 사용법
7.1. 블로우 드라이어
7.2. 브러시 종류와 사용법
8. 블로우 드라이의 중요 요소
8.1. 습도
8.2. 텐션
8.3. 온도
8.4. 속도
8.5. 패널의 폭
8.6. 각도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블로우 드라이는 모발에 수분을 공급하고 열과 바람, 롤 브러시를 사용하여 연출하는 헤어스타일링 기법이다. 1960년대 중반부터 급격히 보급되어 왔으며, 특히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면서 간편하면서도 완성도 높은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었다. 블로우 드라이는 모발에 열을 가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새로운 형태로 고정시키는 기술로, 스트레이트나 컬 등 다양한 스타일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모발의 윤기와 볼륨감을 높일 수 있어 실용적이고 아름다운 헤어스타일을 만들어낼 수 있다.
2. 블로우 드라이의 정의와 특징
블로우 드라이는 젖은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고, 헤어커트나 퍼머넌트 후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거나, 원하는 헤어스타일링을 위한 테크닉이다. 드라이어를 이용해 스타일을 연출하는 것이다. 블로우 드라이는 최소의 작업으로 최대의 효과를 주고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구성해 주며, 다른 도구와의 병용에 의해 효과는 더 커진다. 블로우 드라이는 모발에 열과 바람을 이용해 모발을 건조시키고 형태를 보완하거나 새로운 형태로의 연출을 꾀하는 작업이다. 한 번의 작업으로 젖은 모발을 건조시키고 스타일링까지 할 수 있는 테크닉으로서 시간이 절약되며 헤어스타일을 아름답게 연출해 준다.
3. 블로우 드라이의 역사
1960년대 중반부터 블로우 드라이는 급격히 보급된 미용 기술의 하나로서 프랑스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영국의 비달 사순에 의해 'cut & blow dry' 라는 이름으로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것에서 찾을 수 있으며, 쉽고 빠른 머리 손질과 자연스러운 분위기와 종전의 복잡한 방법들의 스타일링에 비해 간편하면서 자연스럽고, 또한 시간 절약에 따른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크게 작용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부터 알려졌으나, 이전에 주로 사용되던 아이론과 세팅이 7~80년대까지는 블로우 드라이와 함께 사용되었고, 80년대 이후부터는 블로우 드라이가 정착되기 시작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미용 기술과 기구의 발전에 힘입어 플랫 아이롱과 라운드 아이롱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4. 블로우 드라이의 목적
컷트와 퍼머 등의 시술만으로는 부족한 면을 보완해주는 것이 블로우 드라이의 목적이다. 스타일링의 완성도를 높이고, 연출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손쉽고 빠르게 하는 테크닉으로 헤어스타일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표현하는 것이다. 블로우 드라이는 다른 도구와의 병용에 의해 그 효과가 더 커지며, 최소의 작업으로 최대의 효과를 주고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구성해 준다.
5. 블로우 드라이의 기술
5.1. 모발과 열의 관계
건조한 모발은 열에 비교적 강하지만 젖은 모발은 열에 의해 측쇄의 가수분해 또는 케라틴 구조의 변화 등에 의해 손상을 받는다. 즉, 수분에 의해 절단된 측쇄는 본래 상태로 돌아가려 하지 않고 새로운 결합으로서 수소결합을 형성한다. 화학약품(산, 알칼리)으로 팽윤, 연화된 모발에 열을 가하면 케라틴 구조가 변화되어 간충물질이 빠지거나 훼손을 촉진시켜 손상을 준다. pH가 높거나 알칼리 농도가 높은 퍼머제 또는 모발에 알칼리, 산화제가 묻은 상태에서 아이롱으로 드라이 한다는 것은 저온에서 약액을 사용하는 콜드 퍼머보다도 시술 중에 적어도 30% 이상의 수분을 기초로 처리되고 있다. 여기에 열을 주면 약 70℃에서 케라틴 구조에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하며, 100...
참고 자료
고경숙, 윤복연, 이수진(2009). 블로우 드라이 & 아리온 헤어스타일링. 훈민사.
박재홍, 박은준(2010). 구름의 모양을 형상화한 헤어디자인 연구-블로우 드라이와 아리론을 이용하여-. 한국미용예술학회지, 4(1), 119-129.
백경미(2003). 헤어디자인의 웨이브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대학원.
전현진(2010).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블로우 드라이 웨이브 지각에 따른 형태학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1(1), 201-212.
정년구, 김계순, 김세, 심년녀, 안미령, 유유정, 이기봉, 이진옥, 이효숙, 장경옥(2003), 브로우드라이 앤 아이롱. 청구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