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자궁경관 무력증(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 IIOC)은 자궁 경관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신 2기에 진통이나 자궁 수축 없이 무통성으로 자궁 경부가 개대되어 태아와 그 부속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조기양막 파열로 인한 조산과 습관성 유산을 초래할 수 있다. 자궁경관무력증은 임신중기 유산의 약 20~25%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질병이며, 그 빈도는 출생의 1/1000, 유산의 1/100, 습관성 유산의 1/5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관 무력증의 정의, 원인, 증상과 진단, 비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을 문헌 고찰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질병에 대한 간호사정과 간호과정을 도출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2. 본론
2.1. IIOC 정의
자궁경관 무력증(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 IIOC)은 자궁 경관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신 2기에 진통이나 자궁수축 없이 무통성으로 자궁경관이 개대되어 태아와 그 부속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그 결과 조기양막파열로 인한 조산과 습관성 유산을 초래할 수 있다. 자궁경관무력증은 임신 중기나 말기 초에 주로 나타나며, 특별한 증상 없이 임신 중 반복 유산이나 조산의 경우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추측할 수 있다. 임신 중 자궁경관의 무통성 개대, 맑은 냉 증가, 양막의 팽윤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임상적 병력과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자궁경관이 짧아지고 깔때기 모양을 하고 있거나 자궁경관 내구가 소실된 경우 진단할 수 있다.
2.2. IIOC 원인
임신 중 IIOC의 주요 원인은 외상성과 비외상성으로 구분된다. 외상성의 경우 과거 분만 시 자궁경부 열상, 소파수술이나 생검 시 과다한 자궁경부 확장, 임신 중 diethylstilbestrol(DES) 복용 등이 원인이 된다. 비외상성의 경우 선천적으로 짧은 자궁경부나 자궁기형 등이 원인이 된다. 이 외에도 자궁경부 조직의 구성 및 모체의 스트레스가 조기 자궁경부 개대와 연관된다. 즉, 과거 산과적 손상으로 인한 자궁경부 손상과 선천적 자궁기형, 그리고 모체의 생활 스트레스 등이 IIOC의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다.
2.3. IIOC 증상과 진단
특별한 증상은 없을 수 있으며, 임신 중 반복 유산이나 조산의 경우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추측할 수 있다. 임신 중 질 출혈, 질 분비물의 증가, 골반의 압통, 생리통과 비슷한 통증이 나타난다면 자궁경부가 변하는 증상일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경우 전문의의 검진을 받을 필요가 있다.
나타나는 주요 증상으로는 자궁경부의 무통성 개대, 이슬, 양막의 팽윤 등이다. 진단은 아직 정확한 검사 방법은 없으나 임신 중기 이후에 자궁수축을 동반하거나 혹은 자궁수축은 없으나 조산이나 유산의 경험, 또는 이전에 이런 경험이 없을지라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자궁경관이 짧아져 있다면 자궁경관무력증의 위험이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대체로 임상적 병력에 기초하여 진단하며 임신 2기에 갑자기 통증 없이 파막되거나 자궁경부가 개대되어 태아가 배출되며, 반복되는 2기 자연유산의 병력이 있는 임부라면 일단 자궁경부무력증을 의심해야 한다. 질초음파는 자궁경부의 길이, 소실 및 개대를 사정하는데 이용된다. 정상 자궁경부는 임신 3기까지 견고하고, 14~22주 정도면 깊이가 평균 35~40mm 정도가 되며, 31주가 되면 30mm가 되어 점차 짧아진다. 초음파상 짧은 자궁 경부(25mm)가 관찰되며 자궁경부가 넓어져 깔때기 모양을 하고 있거나 자궁경부 내구가 소실되기도 한다.
2.4. IIOC 비수술적 치료
침상안정(절대안정)이다. 수액요법이다. 자궁근육 이완법이다. 침상안정은 안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