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궁경관무력증 맥도날드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자궁경부무력증의 정의와 원인
1.2. 자궁경부무력증의 임상 증상
1.3. 자궁경부무력증의 진단
2. 자궁경부무력증의 치료
2.1. 자궁경관 교정술
2.2. 약물 치료
2.3. 수술 후 간호
3. 자궁경부무력증 환자의 간호 과정
3.1. 간호 사정
3.2. 간호 진단
3.3. 간호 계획 및 중재
3.4. 간호 평가
4. 맥도날드 수술을 받은 환자의 간호 사례
4.1. 대상자 정보
4.2. 간호 과정
4.3. 간호 결과
5. 결론
5.1. 자궁경부무력증 환자 간호의 중요성
5.2. 향후 연구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자궁경부무력증의 정의와 원인
자궁경부무력증은 자궁경부의 구조적·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신 2기(14 ~ 26주) 또는 3기 초(27 ~ 40주)에 진통이나 자궁수축 없이, 무통성으로 자궁경부가 개대되어, 태아와 그 부속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궁경부무력증이 발생할 시 개대된 자궁경부를 통해 양막이 돌출되기도 하며, 그 결과 조기양막파열로 인한 조산과 습관성 유산을 초래할 수 있다.
자궁경부무력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추정된다. 첫째, 자궁경부의 선천적 이상으로 해부학적으로 볼 때, 선천적으로 짧은 자궁경부나 자궁의 기형이 있는 경우이다. 둘째, 자궁경부의 외상으로 과거 분만 시 받은 경관열상(소파술, 원추조직절제술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자궁경부조직의 구성이 콜라겐이 결핍되어 약화된 경우이다. 넷째, 모체의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임신 중 diethylstilbestrol(DES)을 복용하여 자궁경부가 비정상적으로 발육된 경우에도 자궁경부무력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자궁경부무력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이 모두 포함된다.
1.2. 자궁경부무력증의 임상 증상
대부분 임신 16~28주 사이에 무통성의 자궁경관 개대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이와 함께 양막 파열과 함께 조산되며, 배출된 태아는 대부분 생존력을 갖지 못하게 된다. 그 외에도 이슬, 질 분비물, 질 압박감, 질출혈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자궁경관무력증은 전형적인 증상이 없어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
과거 임신에서 자궁경부무력증이 발생한 경우 진단할 수 있으며, 질초음파를 통해 자궁경부가 짧아지거나 열린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자궁수축을 동반하지 않으면서 자궁경부가 열린 경우에도 진단할 수 있다.
1.3. 자궁경부무력증의 진단
자궁경부무력증은 전형적인 증상이 없어 진단이 늦어질 수 있다. 아직 정확한 검사방법은 없지만 자궁수축을 동반하지 않으면서 자궁경부가 열린 경우 진단할 수 있다. 또한 과거 임신에서 자궁경부무력증이 발생한 경우 진단할 수 있다. 질초음파를 통해 자궁경부가 짧아지거나 열린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자궁경관의 기형이나 열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진/촉진 검사를 할 수 있다. 자궁조영술을 통해 자궁경관의 비정상적인 크기와 형상을 관찰할 수 있다. Hegar test에서 Hegar dilator 기구가 자궁내구를 쉽게 통과하면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한다. 팽창된 풍선도관의 견인법(catheter balloons)에서도 Foley catheter를 자궁내부로 삽입하여 풍선부위를 1cc로 부풀려 잡아 당겨보아 자궁내구를 쉽게 통과하면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경부의 길이가 2.5cm 미만으로 짧아지거나, 깔때기형 변화를 보이거나, 양막이 질부위로 돌출되어 양막이 자궁경부를 중심으로 모래시계 모양을 보이면 자궁경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2. 자궁경부무력증의 치료
2.1. 자궁경관 교정술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에게 시행되는 경관 교정술에는 쉬로드카술(Shirodkar technique)과 맥도날드술(McDonald technique)이 있다. 이러한 술식은 경관의 개대와 이완을 예방하기 위해 이용된다.
쉬로드카술은 자궁경부 전후면 점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자궁내구 쪽으로 박리한 후, 봉합사가 자궁경부 점막 내로 통과하여 경부를 둘러 묶는 방식이다. 결과적으로 봉합사가 질 내로 노출되지 않는다. 결찰의 위치가 좋아 경관이 닫힌 상태로 임신이 지속되면, 다음 임신을 위해 결찰은 그대로 둔 채 제왕절개술을 선택할 수 있다.
맥도날드술은 봉합사가 자궁경부의 모퉁이 네 곳을 통과하여 경부를 돌려 묶는 방식이다. 따라서 네 군데에서 봉합사의 일부가 질 내로 노출된다. 임신 38주 이후, 만삭이 가까워지거나 조기진통 또는 양막파수가 있는 경...
참고 자료
현문사_제6판. 여성건강간호학Ⅰ,Ⅱ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최연순 외 (2006)
현문사_제3판.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원종순 외 (2013)
자궁경부무력증 진단을 받고 내원한 환자 임상1례, 윤영진 외 (2011)
자궁경부무력증의 최신지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이근영 (2005)
[수문사] 202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Ⅱ
[네이버 지식백과] 자궁경관무력증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자궁경관무력증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건강정보)
[동탄제일병원] 고위험분만센터, 자궁경관무력증 믈리닉
정상협 등) 고위험 임산부의 기질과 성격이 임산부의 우울, 불안, 모-태아 애착에 미치는 영향. 2018
홍성정) 고위험 임부 대상 모바일 기반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2019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2 제9판.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현문사) 기본간호학1. 손정태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2. 손정태 외
수문사) 성인간호학1. 윤은자 외
통계청) 합계출산율. 2018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불안정도(BAI) https://www.haman.go.kr/health/03381.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