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만 가족 지역사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가족간호과정 사례
2.2. 간호과정
2.2.1. 간호사정
2.2.2. 가족자료분석
2.2.3. 가족간호진단
2.2.4.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3.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대사 장애가 유발된 상태이다. 원인에 따라 일차성 비만과 이차성 비만으로 분류되며, 전체 비만의 90% 이상이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의 불균형으로 체중과 체지방이 증가된 일차성 비만에 해당한다. 비만의 원인은 개인적 요인과 매개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성인 비만 진단은 체질량지수(BMI)를 주로 이용하며, 비만 유병률은 남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불면장애는 가장 흔한 수면-각성장애로 정신장애, 의학적 상태 또는 물질과 관련 없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불면증의 원인은 생물학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만성적인 불면증은 낮시간 동안 불쾌감을 느끼게 하고 주의력, 활력, 집중력을 감소시키며, 체질환과 정신질환의 발병 위험성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비만과 불면증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건강문제로, 지역사회 간호사의 관심과 개입이 필요하다.
2. 본론
2.1. 가족간호과정 사례
김 씨(55세)는 아내 이 씨(50세), 딸(20세), 아들(17세)과 함께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김 씨는 회사원으로 25년간 직장에 근무하고 있다. 직장업무가 바쁜탓에 점심식사를 잘 챙겨먹지 못해 인스턴트 식품이나 배달음식을 주로 시켜먹었다. 퇴근을 하고 오면 피곤하여 운동을 하지 않고 저녁식사 후 여가생활을 즐기다 잠을 취하다 보니 수면시간 불규칙적이다. 매번 이런 일상을 반복하다보니 김 씨의 체중은 점점 늘어갔고, 그에 따라 가족들까지도 생활양식에 부적절한 영향을 끼쳤다. 김 씨는 체중이 1년 사이에 10kg(170cm/ 66kg?77kg)가 늘었다는 것을 인지하였으나 건강관리에 소홀하며 회피하고 있다. 또한 김 씨는 가부장적인 성격 탓에 가족구성원들에게 강압적이다. 가족 내 의논사항이 있을 경우, 가족들이 같이 의논하려고 하지만 결정은 김 씨가 하고 가족구성원들에게 통보하는 편이다. 주로 김 씨가 마지막 결정자이다. 아내 이 씨는 주부이며 대부분 집안일을 도맡아 하고 있다. 현재 대학생 딸과...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 수정판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2022, 수문사
지역사회간호학실습 지침서(학생용), 손조욱,박경애 공저, 2024, 포커스 인쇄
김성재 외(2023). 제9판 정신간호총론. 경기: 수문사.
김숙영 외(2023). 제10판 성인간호학 II. 경기: 수문사.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2022).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수정판. 경기: 수문사.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편(2022).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2 수정판. 경기: 수문사.
질병관리청(2022). 2022 국민건강통계. 11-1790387-000796-10. 38.
보건복지부(2022). 2022년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비만분야 안내서. 11-1352000-002736-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