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콩나물 키우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유아의 바람직한 식사관리
1.2. 편식하는 영유아 사례
1.3. 편식 아동 지도의 필요성
2. 본론
2.1. 영유아의 바람직한 식사관리
2.1.1. 다양한 영양소 제공
2.1.2. 음식에 대한 흥미 유발
2.1.3. 올바른 식사습관 형성하기
2.1.4. 바른 음식을 선택하는 힘 키우기
2.2. 편식하는 영유아 사례
2.3. 편식아동의 상황
2.4. 편식 아동 식습관 지도
2.5.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편식지도의 실제적 방법
3. 결론
3.1. 영양교육의 중요성
3.2. 편식지도의 기본 원리
3.3. 가정-기관 연계의 필요성
3.4. 영양교육 활동의 활성화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유아의 바람직한 식사관리
영유아 시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놀라운 성장을 이루는 시기이다. 이때, 충분한 영양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영유아의 성장에 큰 영향이 생긴다. 영유아의 발달은 단계별로 이루어지는데, 영양소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발달 단계를 놓치게 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신체적인 성장이 저조 될 수 있음은 물론, 뇌가 성장하는 시기이기에 정신적 인지적 발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편식하는 것은 문제행동에도 영향을 주는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던 연구에서 '단백질' 위주로 편식하는 아동들은 공격성과 문제행동이 더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성장 시기별로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공급해주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음식재료와 음식에 대한 영유아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도 식사관리에 포함해야 한다. 과거처럼 억지로 먹이는 것은 아동에게 음식재료에 대한 거부감을 증가시켜 몰래 편식하는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거부감이 생긴 음식은 성인이 되어서도 먹기 힘들 수가 있다. 아동지도에서 중요한 부분이 '흥미 유발'인 것처럼 여러 가지 음식재료에 대해 궁금하게 만들고 탐색해보는 과정을 진행해서 아동이 음식에 대한 경험과 개념을 쌓아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음식재료와 음식에 대한 흥미가 지속적일수록 새롭게 시도하는 음식의 숫자는 늘게 되고 성인이 되었을 때 다양한 음식을 무리 없이 골고루 식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바탕이 될 것이다.
영유아기에 형성된 습관은 평생 유지될 수 있는 부분이다. 식사 습관도 마찬가지이다. 식사라는 것은 영양분을 섭취하고 몸을 건강하게 하는 것도 있지만, 함께 하는 식사는 사회적, 친밀감 교류라는 역할도 한다.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식사 예절을 어린 시절부터 지도하고 자연스럽게 습관이 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올바른 식사습관은 편식 감소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고, 아동의 사회생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시기 아동들은 골고루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이 자신의 몸에 필요하고 무엇은 조심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식을 쌓아야 한다. 영양소의 종류와 역할이 무엇인지를 알고, 음식재료에 어떤 영양소들이 함유되어있는지 알아야 성장하며 본인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고를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된다. 또한, 상하거나 불량한 음식에 대한 지식이 습득돼 있어야, 아동 스스로 해당 음식을 경계하고 피할 수 있다.
1.2. 편식하는 영유아 사례
채소를 먹기 싫어하는 아동은 조만간 아빠와 여행을 가게 되는데 그곳에서는 채소 반찬만 주로 먹을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한다. 아이에게 채소 반찬을 골고루 먹을 수 있는지 물어보았을 때 아이는 "글쎄 먹을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라며 자신이 먹을 수 있을지 확신을 하지 않는다. 결국, 채소를 먹어야 여행을 함께 갈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하며 식사가 시작된다. 아이가 좋아하는 반찬을 먼저 먹게 하고 나서 채소 반찬들을 아빠가 아동의 그릇에 놓아준다. 그러자 아이는 울먹이기 시작하며 반찬이 먹기 싫다고 이야기를 하고 반찬 중 시금치를 다시 원위치로 가져다 놓는다. 아동의 아빠가 채소를 먹지 못했으니 여행을 못 간다고 하자 아동은 울며 콩나물을 먹겠다는 의사 표현을 한다. 이에 아동의 부모는 콩나물 반찬만 시도해볼 수 있도록 격려하며 시범을 보여 반찬을 먹는다. 그러자 아동은 콩나물 한 가닥을 먹는다. 콩나물을 먹은 아동을 칭찬하며 아빠는 시금치는 왜 먹기 힘든지 물어보았다. 이에 아동은 초록색 부분이 싫다고 이야기를 한다. 그래서 연한 녹색을 띠는 시금치 줄기만을 가지고 식사를 마친다.
1.3. 편식 아동 지도의 필요성
영유아기는 건강한 식생활 습관...
참고 자료
고경미,(2011). 유아의 편식 개선을 위한 요리활동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시현,(2015). 유아 요리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시과정에서의 어려움 탐색,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정은,(2003). 편식과 아동의 자아개념 및 문제행동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은영,(2019). 텃밭활동연계 요리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행동과 식습관 및 편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투브, “민율이의 눈물? 여행가기 위해 편식 고치는 씩씩한 민율이”,
https://www.youtube.com/watch?v=MObqm22y_c4&t=131s
고경미,(2011). 유아의 편식 개선을 위한 요리활동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시현,(2015). 유아 요리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시과정에서의 어려움 탐색, 성신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정은,(2003). 편식과 아동의 자아개념 및 문제행동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은영,(2019). 텃밭활동연계 요리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행동과 식습관 및 편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투브, “민율이의 눈물? 여행가기 위해 편식 고치는 씩씩한 민율이”,
https://www.youtube.com/watch?v=MObqm22y_c4&t=131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