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추신경계
1.1. 뇌
1.1.1. 대뇌
1.1.1.1. 구조
대뇌의 표면은 깊게 패인 구와 구에서 융기된 회에 의해 많은 주름이 형성되어 면적이 넓다. 표면은 회백질인 피질, 안쪽은 백질인 수질로 되어있다. 대뇌는 세로로 파인 대뇌세로틈새에 의해 좌우 대뇌반구로 나뉜다. 신경섬유는 척수나 연수에서 교차하므로 우측대뇌반구는 신체의 좌측기관을 지배하고 좌측대뇌반구는 신체의 우측기관을 지배한다. 대뇌는 위치에 따라 4개의 엽으로 구분된다. 전두엽은 대뇌피질의 앞부분으로 운동기능, 자율기능, 감정조절, 식별학습 및 의욕과 창조의 영역이 있다. 두정엽은 대뇌피질의 윗면 중앙부분으로 감각 영역, 기억, 인식, 이해, 이전의 것과 비교, 판단영역 등이 있다. 측두엽은 대뇌피질의 측면으로 청각영역과 언어 인식에 필요한 언어중추가 있으며 판단과 기억, 시각정보의 분석과 통합에 관여한다. 후두엽은 대뇌피질의 뒤쪽으로 시각영역이 있다.
1.1.1.2. 기능
대뇌피질은 그 부위에 따라 운동영역, 감각영역 및 연합영역 등 크게 세 가지 기능으로 나뉜다. 운동영역은 브로드만 영역 4에 있으며, 4영역의 추체세포(피라미드)에서 나오는 원심성인 추체로는 수의운동, 즉 전신의 골격근 운동을 지배 통제한다. 뇌간 및 척수로 내려가 중간신경원을 거쳐서 운동신경에 접속한다. 감각영역은 대뇌피질 여러 곳에 분포되어 있으며, 이곳으로 근육이나 관절에서 일어나는 감각흥분과 피부의 일반감각인 온각, 냉각, 촉각, 압각이 전달된다. 시각 및 청각영역의 브로드만 17영역은 1차 시각영역으로 물체의 색, 크기, 모양, 움직임을 인지하며, 브로드만 18영역은 시각의 연합영역으로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본 것을 기억한다. 브로드만 19영역은 시각반사와 다른 반사에 관여한다. 1차 청각은 브로드만 41. 42영역, 즉 측두엽에서 담당하고 음의 고저 및 음조를 구별하며, 22영역은 청각의 연합영역으로 음의 소재나 의미 등을 판별한다. 연합영역은 운동영역과 감각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대뇌피질영역으로, 고등한 정신기능에 관여한다. 고등동물일수록 연합영역이 넓고 전체 피질의 80% 정도를 차지한다. 여러 가지 감각을 통합하여 언어 전달, 학습과 기억, 항상성 유지, 호르몬 분비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1.1.2. 간뇌
1.1.2.1. 시상
시상(thalamus)은 간뇌의 3/4을 차지하며 중뇌와 선조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대뇌반구로 덮여 있다. 대뇌피질이 발달되지 않은 동물들은 시상이 감각의 최고 중추이다. 시상은 많은 신경핵을 포함하고 있으며 4가지의 기능을 한다.
첫째, 대뇌에 냄새를 제외한 모든 감각정보의 중계소 역할을 한다. 감각을 통합하여 통증, 온도의 변화, 촉각 등의 감각을 강화 또는 감소시킨다. 따라서 견딜 수 없는 심한 통각으로 느끼게 할 수 있고 반대로 기분 좋은 자극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둘째, 망상체, 대뇌 기저핵에서 신경섬유를 받고 대뇌피질 운동영역에 신경섬유를 보내어 걷는 상태를 유지하며 위치감각을 느끼게 한다.
셋째, 피부감각, 심부감각, 미각 등의 감각정보를 받아 자율적인 반응에 관여한다.
넷째, 감정의 해부학적 통로로서 대뇌피질과 광범위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시상은 다양한 감각의 중계소 역할을 하며 자율신경계와 운동계, 그리고 감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1.1.2.2. 시상하부
시상하부는 간뇌의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여러 개의 신경핵이 무리져 있고 맨 아랫부분에는 뇌하수체가 달려있다. 고등동물일수록 시상하부의 체성통합 기능은 적어진다. 시상하부는 체온조절중추, 섭식중추, 음수중추, 정서기능 조절, 호르몬 분비 조절, 생체리듬 조절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담당한다. 시상하부는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공복감과 포만감을 조절하며, 삼투압 수용기를 통해 갈증을 느끼게 한다. 또한 시상하부는 정서 기능을 조절하고, 시상하부 호르몬을 분비하여 뇌하수체 기능을 조절한다. 나아가 수면-각성 리듬을 유지하는데도 관여한다. 이처럼 시상하부는 매우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총괄적으로 조절하는 중요한 중추이다.
1.1.3. 뇌간
1.1.3.1. 중뇌
중뇌(midbrain)는 중간뇌의 줄일말로, 교 바로 위에 있으며 뇌간 중 가장 작은 뇌이다. 대뇌각 바로 뒤에는 짙은 회색을 띤 활 모양의 흑질이 있으며 이것을 경계로 대뇌각의 배측 부위를 피개라고 한다. 대뇌각(대뇌다리)은 대뇌에서 하행하는 원심성 운동신경이 지나가는 신경로이고,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