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Cpr 교육 설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제 소개
1.1. 심폐소생술 4분의 기적 두 손으로 행하는 기적
1.2. 지역사회의 심폐소생술 교육 필요성
1.3. 지역별 심폐소생술 시행률 및 생존율 격차 현황
2. 보건교육 계획
2.1. 보건교육 주제 및 목적
2.2. 보건교육 대상 및 일정
2.3. 보건교육 방법 및 내용 구성
2.4. 보건교육 평가 계획
3. 보건교육 진행 및 평가
3.1. 교육 도입부
3.2. 심폐소생술 교육 내용
3.3. 하임리히법 교육 내용
3.4. 실습 및 시뮬레이션
3.5. 사후 평가 및 설문조사
4. 보건교육 결과 분석
4.1. 교육 참여자 만족도
4.2. 교육 목표 달성도
4.3. 향후 개선 방안
5. 결론 및 제언
5.1. 지역사회의 응급처치 역량 강화 필요성
5.2. 보건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제 소개
1.1. 심폐소생술 4분의 기적 두 손으로 행하는 기적
심폐소생술 4분의 기적 두 손으로 행하는 기적이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시간이 매우 중요하다. 심정지 환자가 심폐소생술을 받지 못하면 4-5분 안에 뇌가 손상되어 생존하기 어렵다. 따라서 누구나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폐소생술의 핵심 단계는 깊이 있는 가슴 압박과 빠른 속도의 가슴 압박을 하는 것이다. 특히 가슴 압박의 경우 단 한 번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다. 심폐소생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슴 압박이며, 인공호흡은 부차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가슴 압박 속도는 분당 100회 이상이어야 하며, 압박 깊이는 5-6cm를 유지해야 한다. 이렇게 신속하고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즉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기적 같은 처치인 것이다. 이처럼 심폐소생술은 '4분의 기적'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신속히 시행하면 생존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1.2. 지역사회의 심폐소생술 교육 필요성
지역사회의 심폐소생술 교육 필요성이다. 지역 간 급성 심정지와 관련된 주요 지표 격차가 상당하고 매년 격차가 커지는 상황이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가장 높았던 지역과 낮았던 지역의 차이가 2008년 2.5%에서 2016년 23.5%로 벌어졌고, 자발순환 회복률 차이도 2006년 1.6%에서 2016년 12.3%로 지역 간 격차가 10배 이상 벌어졌다. 이로 인해 급성 심정지 치료 결과인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 역시 지역 간 격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 간 격차가 나타난 원인이 명확하지 않지만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에 지역별 관련 지표를 생산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환류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일반 주민의 교육 경험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지역 간 차이를 보이므로, 국가 전체 생존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
1.3. 지역별 심폐소생술 시행률 및 생존율 격차 현황
지역별 심폐소생술 시행률 및 생존율 격차 현황이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가장 높았던 지역과 낮았던 지역의 차이는 2008년 2.5%에서 2016년 23.5%로 격차가 커졌다. 또한 자발순환 회복률 차이도 2006년 1.6%에서 2016년 12.3%로 지역 간 격차가 10배 이상 벌어졌다. 이로 인해 급성 심정지 치료 결과인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 역시 지역 간 격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지역 간 격차가 나타난 원인이 명확하지 않지만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에 지역별 관련 지표를 생산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환류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가 전체 생존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급성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심폐소생술 시행률 등에서 지역 간 격차가 크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문제점으로 제기되었으며, 의학적 문제보다는 지역사회 간 급성 심정지와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차이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러한 격차가 나는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2. 보건교육 계획
2.1. 보건교육 주제 및 목적
심정지 및 기도폐쇄 상황에서 시행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과 하임리히법의 교육을 통해 일반인들의 응급처치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이 보건교육의 주요 목적이다.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올바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제고와 기도폐쇄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자 한다. 특히 지역사회 내에서의 심폐소생술 교육과 시행율의 지역 간 격차가 큰 상황에서 이를 해소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전반의 응급의료역량을 강화하고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외 연구에 따르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은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에 크게 좌우되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 지역별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심정지 환자 중 기도폐쇄로 인한 사례가 상당수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 능력 향상이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1, 윤은자, 수문사, 2021
성인간호학1, 전시자, 현문사, 2019
심폐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 황성오, 군자출판사, 2011
사진으로 배우는 응급처치와 심폐소생술, 서길준, 메디컬크로스,2011
한국전문소생술, 대한심폐소생협회, 군자출판사, 2012
예기치 못한 심정지 환자의 사망 원인에 관한 연구 - 부검 결과와의 비교, 이재희(2009),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한심폐소생협회 www.kacpr.org
대한전문응급처치협회 www.sicpr.org
대한민국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main.do- 대한민국사망원인 통계 2020
‘급성 심정지 환자 11년간 1.5배 증가…생존율은 3.3배 ↑’ MEDICAL Observer 박선혜 기자
질병관리청 (/www.kdca.go.k) ‘2020급성심정지발생현황’ 역학-관리 보고서
서울정보소통광장. QI활동보고서 [Internet]. 서울: 저자; 2021 [cited 2021.05.26]. Available from: https://opengov.seoul.go.kr
[의료기관인증필수교육 05]질향상운영체계, 질향상 활동/TBC. Available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QwOvyUodf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