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사와 방사선사
1.1. 임상의 다양한 전문분야 조사
1.1.1. 간호사
간호사는 모든 개인, 가정,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건강의 회복, 질병의 예방, 건강의 유지와 그 증진에 필요한 지식, 기력, 의지와 자원을 갖추도록 직접 도와주는 활동을 한다. 간호사는 대학의 간호(학)과를 졸업하고 전문적 간호에 관한 지식과 간호 실무 능력을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면허를 취득한 자이다. 간호사가 되려면 대학 또는 전문대학의 간호대학, 간호학부, 간호학과, 간호과를 졸업하고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하는 간호사 국가시험에 합격한 후 국가가 발급한 간호사 면허증을 취득해야 한다. 간호사의 업무에는 환자의 간호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 간호 요구자에 대한 교육·상담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의 기획과 수행, 그 밖의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보건활동 및 간호조무사가 수행하는 업무보조에 대한 지도가 포함된다. 병원간호사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요양병원, 전문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며, 일반병동, 외래, 수술실, 투석실, 중환자실, 신경외과, 응급실, 조혈모세포 이식, 신생아실, 당뇨병 교육, 여성건강, 상처/장루/실금, 감염관리, 한방 등의 분야에서 근무한다. 대학원 과정에 개설된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보건복지부가 시행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임상 전문간호사가 될 수 있다. 즉, 간호사는 국민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해 전문적인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인이다.
1.1.2. 의사
의사는 '의술과 약으로 병을 치료·진찰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이다. 현행 의료법에서 의사의 임무는 '의료와 보건지도'로 규정된다. 의사는 크게 일반의와 전문의로 분류된다.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6년 과정의 의과대학 또는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해 학위를 취득한 후 의사국가시험을 통과해 의사면허를 취득해야 한다. 의사면허만을 취득한 의사를 일반의라고 하며, 이후 국가에서 지정한 수련지정병원에서 1년간 인턴과정을 거치고, 임상 수련을 위해 3~4년간의 레지던트 과정을 거치면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할 수 있다. 의사의 주요 업무는 국민 보건을 향상시키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이바지하는 것으로, 인간의 질병, 장애, 상해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진찰과 의학적 검사를 시행하며, 이를 토대로 치료의 범위와 방향을 결정한다. 또한 환자와의 개별적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치료 내용을 결정하고, 건강한 생활 유지에 필요한 의학적 상담을 제공한다. 아울러 의과학 연구 및 보건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며, 인류 건강과 복지를 위한 제도 개선과 사회 발전에 참여한다.
의사는 국민 보건을 향상시키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데 이바지할 사명을 가지고 의료와 보건지도를 임무로 한다. 의사는 인간의 질병, 장애, 상해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진찰과 의학적 검사를 시행하며, 이를 토대로 치료의 범위와 방향을 결정한다. 또한 환자와의 개별적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치료 내용을 결정하고, 건강한 생활 유지에 필요한 의학적 상담을 제공한다. 아울러 의과학 연구 및 보건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며, 인류 건강과 복지를 위한 제도 개선과 사회 발전에 참여한다.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6년 과정의 의과대학 또는 4년 과정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