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보호종료 아동의 정의와 현황
보호종료 아동이란 부모의 사망, 이혼, 학대 등의 이유로 가정에서 성장할 수 없는 아동들이 시설 또는 위탁가정에서 생활하다가 만 18세가 되면 자립해야 하는 아동들이다. 현재 한국 사회 내 수많은 아동복지시설 및 기관들은 대부분 그 설립 목적상 '보호'라는 이름 하에 운영되고 있는데, 이러한 점 때문에 복지시설에서의 양육 기간이 길어질수록 아이들에게 더 큰 부담감을 안겨주고 있다. 최근 들어 국가 차원에서 보호종료 아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1.2. 보호종료 아동에 대한 관심 증가
보호종료 아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최근 사회적으로 보호종료 아동의 실태와 문제점들이 부각되면서 이들에 대한 지원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보호종료 아동이 시설이나 위탁가정을 벗어나 자립생활을 시작하면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들이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보호종료 아동은 부모의 부재나 학대, 방임 등으로 인해 가정에서 자랄 수 없게 된 아동들로, 만 18세가 되면 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퇴소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이들은 갑자기 독립적인 생활을 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게 되며, 주거, 경제, 취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보호종료 아동에 대한 지원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1.3.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보호종료 아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종료 아동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을 살펴보고, 이들이 성공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보호종료 아동들은 부모의 부재와 시설 양육으로 인해 자립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정부의 실효성 있는 지원 정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통해 보호종료 아동들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자 필요성이라고 할 수 있다.
2. 보호종료 아동을 위한 정부 지원 정책
2.1. 자립수당 지원 제도
정부는 보호종료 아동들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자립수당 제도를 도입하였다. 2017년 7월 이후 보호종료된 아동을 대상으로 매월 30만원의 자립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호종료 아동들의 주거 및 생활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보호종료 아동이 만기퇴소 시 자립정착금으로 1,5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는 주거 마련 등 자립을 위한 초기 비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 보호종료 아동들의 자립을 실질적으로 돕고 있다.
이외에도 지자체별로 자체적인 자립수당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서울시는 매월 30만원, 경기도는 3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