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 사서교사의 의미와 중요성 2. 교수자,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자 3. 이를 근거로 자신의 의견 기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서교사의 의미와 중요성
2. 교수자,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자
3. 이를 근거로 자신의 의견 기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서교사의 의미와 중요성
사서교사는 문헌정보학을 이수하여 도서관의 경영과 관리를 맡으며, 문헌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직이다. 도서관법령에 따르면 도서관 운영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자격을 갖춘 직원을 의미한다. 사서교사는 전문직으로서 법적, 윤리적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체계적 사고와 실무 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사서교사는 사회 발전에 기여하며 문화유산을 재창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서교사는 국가가 인증한 국가자격으로, 1급 정사서, 2급 정사서, 준사서 등으로 구분된다. 이처럼 사서교사는 도서관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성을 갖춘 중요한 인력이다.
2. 교수자,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자
교수자의 역할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교수자는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맞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며,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를 고려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및 운영한다.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자는 교육 요구 분석, 목표 설정, 내용 선정, 교수학습 방법 선택, 평가 계획 수립...
참고 자료
곽우정, 노영희(2021). 도서관의 인공지능(AI) 서비스 현황 및 서비스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국립중앙도서관(2020). 5세대 지능형 디지털 도서관 서비스개발 및 구축 연구.
박옥남(2018).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서관 변화와 사서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신승주(2007).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자기 인식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신외, “청소년복지론”, 청목출판사, 2007
권양이,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박영사, 2013
천정웅외, “청소년발달 역량개발 청소년복지”, 교육과학사, 2009
이경란,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2011.11, 5-26 (22 pages)
유진이, 윤혜순, 청소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양서원, 2013. 3. 5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