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Biuret"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Biuret 법의 실험 원리 및 이론
1.2. 단백질 정량법의 필요성
1.3. Biuret 법의 장단점
2. 실험 재료 및 방법
2.1. 실험에 사용한 시약
2.2. 실험 기구
2.3. Biuret 용액의 제조
2.4. 표준 단백질 용액의 제조
2.5. 단백질 정량 실험 과정
3. 실험 결과
3.1. 표준 검량선 작성
3.2. 미지 시료의 단백질 농도 측정
4. 고찰
4.1. 표준 검량선의 직선성 및 적합성 평가
4.2. 미지 시료 단백질 농도 결과의 해석
4.3. Biuret 법의 장단점 분석
5. 결론
5.1. 실험 결과 요약
5.2. Biuret 법의 실용성 및 활용성
5.3. 향후 연구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Biuret 법의 실험 원리 및 이론
Biuret 법은 두 개 이상의 펩티드 결합을 가진 화합물이 알칼리성 용액 내에서 구리 이온(Cu2+)과 반응하여 보라색을 띠는 원리를 이용한다. 뷰렛 시약에는 황산 구리(CuSO4)와 타르타르산 나트륨 칼륨(KNaC4H4O6)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중 구리 이온이 단백질의 펩티드 결합과 반응하여 보라색 착화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모든 단백질은 기본적으로 많은 수의 펩티드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반응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단 몇 개의 펩티드 결합을 가진 화합물들도 이 반응을 나타낸다.
두 개 이상의 펩티드 결합을 가진 화합물은 알칼리성 용액에서 구리 이온과 반응하여 청자색 또는 자주색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구리 이온이 펩티드 결합의 질소 원자 4개와 배위 결합을 형성하면서 착화합물을 만들어내어 색깔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Biuret 반응은 모든 단백질에서 재현성이 양호하지만,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단백질(1-20mg)을 정량하는 데 사용된다. 미량 Biuret 법은 약 0.25-2.0mg의 단백질을 정량할 수 있는 감도를 가지고 있다.
Biuret 법의 장점으로는 단백질의 종류에 따른 발색률의 변동이 작고, 시약 조제와 조작이 간단하며, 재현성이 좋다는 것이 있다. 하지만 감도가 나쁘고 다량의 암모늄염이나 지방, 탄수화물이 공존할 경우 방해를 받는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Biuret 법은 단백질 정량의 대표적인 방법이지만, 높은 감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Lowry법, BCA법 등의 다른 방법들이 보완적으로 사용된다.
1.2. 단백질 정량법의 필요성
단백질 정량법의 필요성이다. 단백질 정량이란 시료 내에 포함된 단백질의 양 또는 농도를 구하는 과정으로써, 대부분의 생화학 실험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과정이다. 단백질 정량은 실험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고 실험 과정을 표준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또한 단백질 농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단백질 대사, 분리, 정제 등의 실험에서 매우 중요하다. 단백질은 생물체의 구성 성분이자 효소, 호르몬, 항체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의 주요 원료이므로, 실험에서 단백질 정량법은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활성과 기능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질병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백질 정량법은 생물학, 의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단백질 정량은 실험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1.3. Biuret 법의 장단점
Biuret 법은 단백질 정량에 가장 일반적이고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단백질의 peptide 결합과 알칼리성 유액 중의 Cu2+가 반응하여 형성된 자색(뷰렛반응)의 킬레이트 복합체(chelate complex)를 540nm에서 비색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간편하고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발색율의 변동이 작아 정밀도가 높은 편이다. 그러나 감도가 나빠 적어도 2~4mg의 단백질이 있어야 측정이 가능하며, 고농도의 암모늄염이 존재하면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색깔이 약간 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많은 양의 지방이나 탄수화물이 있으면 불투명해지기도 하며 알려진 단백질에 의해 색이 표준화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Lowry 방법보다는 감도가 낮지만 시약의 조제와 조작이 간단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Biuret 법은 경제적이고 신속하며 간단한 반면 감도가 낮고 일부 조건에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2. 실험 재료 및 방법
2.1. 실험에 사용한 시약
실험에 사용한 시약은 다음과 같다. Cupric sulfate(CuSO4·5H2O)는 Biuret 용액의 주성분으로 구리 이온(Cu2+)을 포함하고 있다. Sodiu...
참고 자료
기본 식품 분석학 p333, 채수규 저, 석학당, 2013
new 식품분석 제 2 개정판 p89~90, 금종화 외 8명 저, 지구문화사, 2013
식품 분석학 p94~95, 노봉수 외 4명 저, 수학사. 2008
실무를 위한 식품분석학 - 표준곡선 작성법, 노봉수 외 4명 저, 수학사, 201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9530&cid=40942&categoryId=32212 두산백과 - 결정계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1315&cid=50331&categoryId=5033농업용어사전 - 소혈청알부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7202&cid=40942&categoryId=32227 두산백과 - 람베르트- 베르의 법칙
[네이버 지식백과] 뷰렛 [biuret]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네이버 지식백과] 뷰렛반응 [biuret reaction, ~反應]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 판 2014., 도서출판 여초)
[네이버 지식백과] 뷰렛반응 [biuret reaction] (두산백과)
[위키백과] 브래드퍼드 단백질
https://ko.wikipedia.org/wiki/%EB%B8%8C%EB%9E%98%EB%93%9C%ED%8D%BC%EB%93%9C_%EB%8B%A8%EB%B0%B1%EC%A7%88_%EC%A0%95%EB%9F%89%EB%B2%95
[네이버 지식백과] 분광 광도계 [分光光度計, spectrophotometer] (화학용어사전, 2011. 1. 15., 일진사)
[네이버 지식백과] 흡광도 [吸光度, absorbance, absorbancy]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