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신성 당뇨와 임신성 고혈압의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임신성 고혈압과 임신성 당뇨의 간호진단
1.1. 임신성 당뇨
1.2. 임신성 고혈압
1.3. 유착태반
2. 간호과정 적용
2.1. 간호사정
2.2. 간호진단 수립
2.3. 간호계획 및 수행
2.4. 간호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임신성 고혈압과 임신성 당뇨의 간호진단
1.1. 임신성 당뇨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에 발견되거나 생긴 내당능 이상으로 정의된다. 대부분 증상은 없으며 산전 검사를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목표 혈당은 공복 시 95mg/dL 미만, 식후 1시간 140mg/dL 미만, 식후 2시간 120mg/dL 미만이다. 전문 영양사와 영양상담 후 식사요법을 시행하며, 식사요법만으로 혈당조절이 되지 않으면 인슐린을 투여한다. 경구 혈당 강하제는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산전 진단은 하루 1회 같은 시간에 혈당 체크와 당뇨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균형 있는 식단 제공과 필요 시 인슐린 투여로 이루어진다. 또한 주의해야 할 음식과 태아에 미칠 영향에 대한 교육이 제공된다.
임신성 당뇨 산모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6세 김당뇨씨는 28주된 산모로 임신 전 키 165cm, 몸무게 80kg이었다. 이전에는 당뇨가 없었으며 가족력도 없었다. 최근 갈증이 심해졌으나 특별한 증상은 없었다. 공복 혈당 측정 결과 120mg/dL로 나왔다. 대상자는 "물을 많이 마셔서 화장실을 자주 간다"고 호소하였으며, 임신 전 높은 BMI(29.38)를 보였다. 따라서 간호사는 임신성 당뇨와 관련된 태아 기형의 위험성 간호진단을 내렸다. 목표는 2주 이내 공복 혈당 95mg/dL 미만 달성과 퇴원 시 BMI 22.77 달성으로 설정하였다. 간호 계획에는 정기적 혈당 체크와 BMI 관찰, 균형 잡힌 식사와 체중관리, 이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었다.
임신성 당뇨는 임신 중 발견되는 당뇨로, 혈당 수치와 무관하게 정의된다. 대부분 증상이 없으며 산전 검사를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치료는 식사요법과 인슐린 투여로 이루어지며, 경구 혈당 강하제는 추천되지 않는다. 산전 관리로는 정기적인 혈당 체크와 당뇨 검사, 균형 잡힌 식단 제공, 인슐린 투여, 관련 교육 등이 포함된다. 임신성 당뇨 산모 사례에서는 임신 전 과체중, 높은 공복 혈당 등의 위험 요인이 확인되어 태아 기형 위험성 간호진단이 내려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 계획이 수립되었다.
1.2.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에 발견되고 출산 후 정상화 되는 것으로, 임신 전부터 고혈압이 있거나 임신 20주 이전에 고혈압이 발생되는 만성고혈압성 장애와는 구분된다. 임신성 고혈압은 경련이나 혼수의 유무에 따라 자간전증과 자간증으로 나뉜다.
임신성 고혈압의 위험요인에...
참고 자료
김계숙(2010). 여성건강간호와 비판적 사고(1). 군자출판사
하영수 외 공저(2009). 모성신생아, 여성건강간호학(Ⅱ). 신광출판사
박영주 외 공저(2017). 여성건강간호학Ⅱ(제 4판). 현문사
원종순 외 공저(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케이스스터디1, 에듀퍼스트 (2020)
제10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20
[네이버 지식백과] 임신성 고혈압 [gestational hypertens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당뇨병 [diabetes mellitu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