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그 의미를 정리하고, 어떻게 배열하면 좋은지 배열 순서를 결정하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와 함께 그에 해당하는 예문을 5개 제시하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2.1.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
2.2.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
2.3.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뒤의 행동
2.4.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
3. 연결어미 '-니까'의 배열 순서
3.1.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
3.2.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
3.3.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뒤의 행동
3.4.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
4. 예문
4.1.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
4.2.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
4.3. 앞의 행동을 진행한 결과 뒤의 행동
4.4. 이야기되는 내용의 근거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는 교착어로서 어미와 조사 등의 문법 형태가 많으며 용언 활용이 복잡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문장의 선행절과 후행절을 연결할 때에는 연결어미의 도움을 받아야 하며 각각의 연결어미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논리적인 관계를 나타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든 연결어미는 의미범주를 가지고 있으며 의미범주에 맞지 않는 연결어미를 사용하면 문법에 맞지 않는 어색한 문장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연결어미에 대한 이해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교육에 적용해야 학습자의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과제에서는 한국어의 다양한 연결어미 중 '-니까'가 가지고 있는 네 가지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한국어의 다양한 어미 중 연결어미의 순서를 어떻게 배열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2. 연결어미 '-니까'의 의미
2.1.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
봄이 오니까 날이 따뜻해졌다. 날씨가 춥니까 옷을 따뜻하게 입어야 한다. 친구는 소중하니까 친구와의 약속을 잘 지켜야 한다. 집 값이 비싸니까 친구와 함께 산다. 민희는 성적이 높으니까 좋은 대학에 지원할 수 있다. 공부를 많이 했으니까 합격할 수 있었다. 시험이 있으니까 공부를 하세요. 찌개에 간장을 많이 넣으니까 짜게 되었어요. 아침에 일찍 일어나니까 너무 피곤해요. 자꾸 안된다고 하니까 말하기 싫어요.
연결어미 '-니까'는 뒤에 오는 말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어미이다.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며 초급 단계부터 학습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문법 항목이다. 원인과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는 한국어 습득에 필수적이므로, '-니까'는 가장 먼저 배울 수 있는 연결어미라 할 수 있다. 또한 '-아서'와 함께 제시하여 두 연결어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2.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
코로나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니까 밖에 나갈 수가 있어야 지다. 이마를 만져보니까 너무 뜨거워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물 속에 발을 넣어 보니까 너무 뜨거워서 들어갈 수 없었다. 학교에 늦으니까 벌점을 받게 되었다. 친구에게 편지를 쓰니까 그 친구와 더 친해질 수 있었다. "그 것을 만져보니까 너무 차가워서 만질수 있어야지......"
이와 같이 앞의 사실이 진행된 결과 뒤의 사실이 그러함을 나타냄으로써, 사실을 표현하는 것은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 쉬운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원인과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니까'의 두 번째 의미로 배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해당 내용은 제공된 원본 문서에서 '2....
참고 자료
한국어교육용 연결어미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 구어·문어 빈도 및 교재 중보도 등의 객관적 지표를 중심으로- (이현정, 최영롱)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교안
한국어 교육에서 기초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연구(김제열, 연세대학교)
네이버 국어사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론 교안
현대국어 연결어미{-니까}의 문법적 특성과 형성과정, 안주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