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장애 개념과 정의
1.1. 장애를 정의하기 위한 다양한 관점 (사회적 모델, 의료적 모델)
사회적 모델은 손상을 가진 개인의 사회활동과 참여를 제한하는 모든 형태의 사회적 억압과 차별을 장애로 규정한다. 반면 의료적 모델은 개인의 손상에서 비롯되는 능력의 한계나 제약을 장애로 규정한다. 사회적 모델과 의료적 모델에서 언급하는 장애의 개념이 완전히 상이하기 때문에 장애인복지의 목표 또한 극명하게 차이가 난다. 사회적 모델에 따른 장애인복지의 목표는 장애인을 차별하지 않는 사회를 이루는 것이고, 의료적 모델에 따른 장애인복지의 목표는 장애를 야기하는 개인의 손상을 회복하는 것이다.
1.2. 장애의 유형, 장애의 상대성, 역사적 흐름에 따른 장애 정의의 변화
장애의 유형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복지부에서 장애를 총 1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신체적 장애에는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호흡기장애, 장루 및 요루장애, 뇌전증장애 등이 해당된다. 정신적 장애에는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장애 등이 포함된다.
장애는 국가와 사회에 따라 상대적으로 정의되는 개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중심으로 정의하지만, 북유럽 국가들의 경우 사회적 장애까지 장애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 또한 우울증과 같은 경우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장애로 인정하지 않지만, 북유럽 국가에서는 가벼운 우울증도 장애로 인정하는 등 장애 개념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처럼 장애는 국가와 사회의 인식에 따라 상대적으로 정의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 정의의 역사적 변화를 살펴보면, 17세기 이전에는 장애를 영적인 질병이나 종교적 처벌로 해석하였으며, 장애인들을 죄인이나 영적으로 병든 사람으로 여겼다. 1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러 의학과 유전학의 발달로 장애의 원인이 의학적, 유전적 요인에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장애인을 치료의 대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20세기 이후에는 사회적 모델이 부각되면서 장애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고,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장애인 복지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와 같이 장애의 유형,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장애 정의의 역사적 변화 등을 종합해 볼 때, 장애는 단순히 개인의 생물학적 한계가 아니라 사회적, 제도적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된 복합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 복지 정책 또한 이러한 장애의 다층적 성격을 반영하여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포용과 통합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1.3. 자신이 생각하는 장애 정의
내가 생각하는 장애는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사회적 장애 등 이 모든 개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신체가 절단되거나 신체기능에 이상이 있는 사람도 장애인이고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도 장애인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어떤 결핍이나 상처로 인해 정상적인 사회생활 및 학교생활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