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간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최초 생성일 2025.05.02
7,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한방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방간호학 실습 개요
1.2. 대상자 정보
1.3. 질병기술 (담음현훈)

2. 망문문절
2.1. 신(神)
2.2. 수면(睡眠)
2.3. 호흡(呼吸)
2.4. 언어(言語), 성음(聲音)
2.5. 해담(咳痰)
2.6. 한열(寒熱)
2.7. 두(頭)
2.8. 면(面)
2.9. 안(眼), 이(耳), 비(鼻), 인후(咽喉), 구순설(口脣舌)
2.10. 경(頸), 항(項)
2.11. 흉협(胸脇)
2.12. 배(腹)
2.13. 요(腰)
2.14. 사지(四肢), 조갑(爪甲)
2.15. 피부(皮膚)
2.16. 식욕(食慾), 구갈(口渴)
2.17. 소화상태(消火狀態)
2.18. 대변(大便), 소변(小便), 월경(月經)
2.19. 한(汗)
2.20. 맥(脈)

3. 간호기록

4. 활력징후

5. 통증 초기사정 기록

6.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6.1. Hematology
6.2. Urinalysis
6.3. Chemisrty
6.4. Other
6.5. Serology
6.6. CT-Brain

7. 치료내용
7.1. 주요 치료내용
7.2. 처방약물
7.3. Self Medi

8. 침 치료
8.1. 혈명(穴名)
8.2. 효능&효과

9. 약물
9.1. 양방 약물
9.2. 한방 약물

10. 문헌 고찰

11. 자료수집
11.1. 일반정보
11.2. 건강정보
11.3. 입원기록
11.4. V/S
11.5. 임상검사소견

12. 간호과정 적용
12.1. 자료수집
12.2. 간호진단 및 간호목표
12.3.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1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방간호학 실습 개요

한방간호학 실습은 한의학에 기반을 둔 간호학 실습으로, 대상자의 증상과 상태를 망문문절 방식으로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의학적 진단과 처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전인적 건강 회복과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실습 사례는 91세 여성 환자의 어지럼증, 한방변증 담음현훈 증상에 대해 다룬다. 실습 과정에서는 대상자의 망문문절 사정과 이에 따른 한의학적 진단 및 처방, 치료 내용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또한 활력징후 측정, 통증 사정, 임상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한방 간호학의 실습 과정과 그 특성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1.2. 대상자 정보

91세 여환으로 보통 체격에 무난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고혈압, 역류성 식도염, 호흡곤란 등의 과거력이 있으며 2년 전 대상포진 진단을 받았다. 현재 어지러움, 왼다리 허약감, 오른쪽 무릎 통증을 주호소로 내원하였으며, 담음현훈에 대한 한방변증 결과를 토대로 한방치료를 받기 위해 입원하였다. 입원 시 활력징후는 혈압 180/82, 맥박 55회/분, 호흡수 22회/분, 체온 36.8도였다.


1.3. 질병기술 (담음현훈)

담음현훈은 비가 허하여 생긴 담음이 머리에 몰려 발생하는 병증이다. 가래로 인하여 어지러운 것으로 속이 메스껍거나 구토하고 팔다리가 나른하며 몸이 무거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담음은 넓은 의미에서 여러 가지 수음병(水飮病)을 두루 일컫는데, 몸 안에 진액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제대로 순환하지 못하고 일정한 부위에 몰려서 생긴 병증을 말한다. 원인은 주로 비(脾) · 폐(肺) · 신(腎) · 삼초(三焦)의 기능 장애와 관련된다. 담음은 진액이 변한 것으로 병리적 산물이며, 한의학에서는 십병구담이라고 할 정도로 많은 병의 원인으로 본다. 담음으로 인해 맥은 현활하며 겉으로는 눈 밑이 검거나 밥을 적게 먹어도 살이 잘 안 빠지거나 아래팔의 피부가 마른 고기의 비늘처럼 거칠게 된다. 담음 특징으로 전신을 잘 돌아다니며, 호흡기 증상으로 숨이 찰 수도 있고 속이 메스껍거나 더부룩하고, 정신적으로 불면과 두근거림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담음으로 인한 주요한 증상은 어지럽거나 눈이 침침하거나 목 부위에 뭔가 걸린 듯한 증상, 가슴이 답답하거나 속쓰림 증상 등이다. 흔히 등에 담이 결린다거나 뼈마디가 쑤신다고 하는 증상은 담음으로 인한 유주증에 해당된다. []


2. 망문문절
2.1. 신(神)

대상자의 정신 상태는 명료하다. 간호사와 이야기를 잘 나눌 수 있으며, 지남력이 있고 최근 한달 전 일을 기억할 수 있다. 이는 대상자의 신(神)이 안정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대상자는 병력 상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 증상을 호소하고 있으며, 현재 병원에 입원하여 한방 치료를 받고 있다. 신(神)의 안정은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대상자의 정신 상태를 계속 관찰하고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2.2. 수면(睡眠)

잠잘 때는 하루 평균 6시간 정도의 수면을 가지고 있으나 중간에 자주 깨는 편이다. 잠을 설치는 이유는 입원으로 인해 익숙하지 않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숙면을 취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밤에 간호사들이 오가는 소리에 잠을 깨곤 하며, 집에 있을 때보다 병원에 있는 것이 피로감을 더 느끼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빨리 퇴원해 집에서 푹 자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하고 있다. 수면 문제로 인해 피로감이 누적되고 있어 수면 개선을 위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수면 위생 교육을 통해 수면에 도움이 되는 혈자리 지압법 및 이완요법 등을 알려주고, 조용하고 편안한 수면 환경 조성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피로감 해소와 함께 전반적인 컨디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3. 호흡(呼吸)

호흡(呼吸)은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기능이다. 호흡은 폐를 통해 이루어지며, 공기 중의 산소를 체내로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쉬는 과정이다. 인체 내부에서는 이러한 호흡 작용으로 체내 산소 공급과 이산화탄소 배출이 이루어져 pH 조절, 에너지 대사 등이 가능해진다. 대상자는 호흡에 특별한 불편감이 없다고 하였다. 즉, 대상자의 호흡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4. 언어(言語), 성음(聲音)

대상자의 언어와 성음은 다음과 같다. 약간 작고 힘없는 목소리로 말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안면신경마비로 인한 입 주위 근육의 마비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상자의 언어와 성음은 정상적이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마비로 인해 대상자의 말하기가 어려워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안면신경마비의 주요한 증상 중 하나이다.


2.5. 해담(咳痰)

기침과 객담은 폐나 기도의 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다. 해담이란 가래를 토해냄을 의미하며, 가래의 발생 및 배출은 인체의 여러 가지 변화를 반영한다.

환자는 가래가 생기는 이유에 대해 문제를 호소하지 않았으나, 담즙이 상행하여 열이 발생하거나 폐기능 이상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가래가 쉽게 배출되지 않는다면 폐 울혈이나 담즙정체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가래가 끈적이거나 객혈이 있다면 기도염증이나 종양 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가래의 색, 성상, 양상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환자의 전반적인 증상과 관련지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의학에서는 가래와 기침이 기관지, 폐, 신장, 비장 등 장부와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다고 보며, 그 원인과 양상에 따라 풍담, 한담, 습담, 열담, 조담 등으로 분류한다. 특히 담음성 질환으로 인한 가래는 환자의 전신 증상과도 밀접하게 관련되므로,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

가래가 기도를 막아 호흡곤란을 유발하거나, 지속적인 기침으로 인한 흉통 및 피로감 등이 있다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이다. 한방 치료로는 한약, 침구, 부항, 물리치료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환자의 증상과 체질을 고려하여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6. 한열(寒熱)

몸에 열이 많고 발이 차가운 것이 특징이다. 열이 많은 증상은 혈압이 높고 안색이 붉어지며 몸에 열이 나는 것을 말한다. 반면, 발이 차가운 경우는 몸의 기운이 약해지고 순환이 잘 되지 않아 발이 차가워지는 것이다. 이처럼 몸의 한열 증상은 상반된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몸 속 음양의 균형이 깨진 것을 반영한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한열 증상을 잘 살펴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몸에 열이 많은 경우 열을 내리는 약물이나 치료법을 사용하고, 발이 차가운 경우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한열 증상에 대한 치료를 통해 몸의 균형을 회복시키는 것이 한의학적 접근의 핵심이다.


2.7. 두(頭)

머리는 인체의 가장 중요한 부위 중 하나이다. 대상자는 입원 시 보행 시 현훈이 있다고 호소하였으며, 얼굴이 힘들어 보이고 무기력해 보인다. 또한 보행 시 현훈이 있으며, 왼쪽 다리에 위약감이 있다고 하였다. 두부와 관련된 증상으로는 보행 시 현훈이 있고, 눈이 뿌옇게 보였다가 호전되었으며, 귀가 먹먹하고 잘 안들린다고 하였다. 이는 담음 증상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담음으로 인한 두부 증상으로 어지러움, 두통, 눈 침침함, 귀울림 등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의 두부 증상은 담음으로 인한 증상으로 판단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한방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8. 면(面)

안면은 우리 몸에서 가장 특징적이면서 중요한 부위 중 하나이다. 이 부위에 변화가 생기면 외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사례에서 대상자는 좌측 안면마비로 인해 얼굴 표정의 변화가 있었다.

좌측 안면마비로 인해 대상자는 눈이 완전히 감기지 않아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또한 청각이 과민해지고 혀의 마취감, 침 분비 감소로 인한 미각 이상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안면의 비대칭으로 인해 외모에 대한 걱정을 표현하며 자존감 저하를 호소하였다. 이는 환자의 심리적 상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안면부위의 변화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사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신체적 불편감 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인까지 파악하여 통합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2.9. 안(眼), 이(耳), 비(鼻), 인후(咽喉), 구순설(口脣舌)

대상자는 안면 마비로 인해 좌측 눈이 잘 감기지 않으며, 청각이 과민하고 혀가 마비되어 미각이 덜 느껴진다. 눈물이 과도하게 흘러 손으로 닦아야 하며, 안구 건조함으로 인해 불편감을 호소한다. 또한 좌측 입술과 볼 마비로 인해 양치 시 물이 새고 음식을 먹을 때 낌새가 있다. 이처럼 안면마비로 인해 눈, 귀, 코, 입 등 안면 신경의 지배를 받는 부위에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환자의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우울감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안면 신경 회복을 위한 치료와 더불어 일상생활 적응을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10. 경(頸), 항(項)

목과 목 뒤는 정상적인 상태이다. 환자는 목에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표현하였다. 통증이나 경직 등의 증상도 없는 것으로 보아 경항부에는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환자의 면담 내용과 검진 결과 경항부에 특이 증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11. 흉협(胸脇)

명치 주변이 아프다고 호소하고 있다. 명치는 음식물의 흡수와 소화에 관여하며, 명치의 통증은 소화기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따라서 명치 부위가 아픈 것은 소화기 증상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흉협부위의 불편감은 스트레스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심신안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방치료 및 식이요법, 생활습관 개선 등 다각도의 접근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12. 배(腹)

배(腹)는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부위이다. 대상자는 명치쪽이 아프다고 호소하였다. 배 부위의 특별한 이상은 없다고 하였다. 대상자는 평소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배 부위의 통증이나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았으나, 소화 불량 증상이 있는 것...


참고 자료

한의학대사전 - 담음
한국전통지식포탈 - 담음현훈
약학정보원
안면신경마비의 평가척도와 SEMG 검사 결과 간의 상관성 연구, 김종욱 외,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침구의학과 및 한방신경정신과
「NANDA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홈페이지
쉽게 배워 건강을 지키는 기초경락경혈학, 전상희 외
EBN 기본간호학 Ⅱ, 김종임 외, 수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