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saccharin 합성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소개
1.1. saccharin 합성 실험 목적 및 배경
1.2. 실험 과정 개요
2. 실험 과정
2.1. 시약 및 기구 준비
2.2. 착물 합성
2.3. 착물의 물리적 특성 관찰
2.4. 착물의 용해성 시험
3. 실험 결과
3.1. 착물의 수율 및 분석 결과
3.2. IR 스펙트럼 측정 결과
3.3. 용해성 시험 결과
4. 토론
4.1. 착물 합성 과정 고찰
4.2. IR 스펙트럼 분석 결과 해석
4.3. 용해성 실험 결과 분석
5. 결론
5.1. 실험 목표 달성 여부
5.2. 향후 연구 방향 제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소개
1.1. saccharin 합성 실험 목적 및 배경
saccharin 합성 실험의 목적은 기기분석 교재에서 적외선 분광기의 원리와 KBr pellet 만드는 법 및 스펙트럼 얻는 법을 알아보고, saccharin에 배위되는 착물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saccharin은 인공감미료로서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국제암연구소에서 saccharin을 발암가능물질로 분류하면서 사용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saccharin의 화학적 특성과 구조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한다. 착물 합성 과정에서 관찰되는 결정의 특성과 용해성 실험 결과는 saccharin 착물의 구조를 해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IR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합성된 착물의 화학결합 특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향후 saccharin 착물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실험 과정 개요
saccharin 합성 실험의 목적은 saccharin에 배위되는 착물의 구조를 알아보고, IR 스펙트럼 측정을 통해 착물의 구조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은 총 4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250mL 비커에 증류수 100mL, Ni(NO3)2·6H2O (0.98g, 0.0034mol) 및 Na염(1.6g, 0.0078mol)을 혼합한다. 둘째, 혼합용액을 물중탕에서 서서히 가열하여 용액의 부피를 50mL로 감소시킨다. 셋째, 혼합용액을 얼음 중탕에서 냉각시켜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냉각 증류수로 세척하여 건조시킨다. 넷째, 결정의 색, 형태, 수율을 관찰하고, 3개의 시험관에 냉각 증류수, pyridine, N,N-dimethylformamide를 각각 넣어 생성된 착물의 용해성을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KBr pellet을 만들어 IR spectrum을 측정한다.
2. 실험 과정
2.1. 시약 및 기구 준비
시약 및 기구 준비이다. 250ml 비커를 장치한 후 증류수 100ml, Ni(NO3)2·6H2O (0.98g, 0.0034mole)과 Na염(1.6g, 0.0078mole)을 혼합한다. 혼합용액을 물중탕에서 서서히 가열하여 용액의 부피가 50ml정도 되게 한다. 혼합용액을 얼음 중탕에서 냉각시킨 다음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냉각 증류수로 10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평량한다. 3개의 시험관에 냉각 증류수, pyridine, N,N-dimethylformamide를 각각 3ml씩 넣고 생성된 착물 소량을 가하여 용해성을 조사한다. KBr pellet을 만들어 IR spectrum을 측정한다.
2.2. 착물 합성
nickel(Ⅱ) 착물을 합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250ml 비커에 증류수 100ml, Ni(NO3)2·6H2O (0.98g, 0.0034mole)과 Na염(1.6g, 0.0078mole)을 혼합한다. 이 혼합용액을 물중탕에서 서서히 가열하여 용액의 부피가 50ml 정도 되게 한다. 그 후 얼음 중탕에서 냉각시키면 결정이 생성된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
참고 자료
‘1군 발암물질’인데, 오늘도 못 끊는 식품 4가지, 김용, 코메디닷컴, 2021.10.13
국내 발암 평가 및 관리 프로세스 정립을 위한 사전연구, 임민경, 국립암센터, 2014.
비영양감미료(Non-Nutritive Sweeteners)의 효과와 안전성, 주달래, 서울대학교병원 급식영야과, 2015.
글로벌 감미료시장 트렌드 및 수출전망,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0
사진1 출처 :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C342797171
Coconut Sugar: Chemical Analysis and Nutritional Profile; Health Impacts; Safety and Quality Control; Food Industry Applications, Paul B. Tchounwou,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3
당류 저감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태도, 김은미 외 5명,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5.
https://www.britannica.com/science/carbohydrate/images-videos#Images
https://www.scienceall.com/%eb%8b%a4%eb%8b%b9%eb%a5%98-polysaccharide/?term_slug=&sa_term=scidictionary
https://www.britannica.com/science/glucose/images-videos#Images
https://www.britannica.com/science/ketone/images-videos#Images
Britannica, carbohydrate, https://www.britannica.com/summary/carbohydrate
Britannica, monosaccharide, https://www.britannica.com/science/monosaccharide
Britannica, saccharose, https://www.britannica.com/science/saccharin
Britannica, polysaccharide, https://www.britannica.com/science/polysaccharide
사이언스올, 수산기, https://www.scienceall.com/%ec%88%98%ec%82%b0%ea%b8%b0hydroxyl-group/?term_slug=&sa_term=scidictionary
Britannica, aldehyde, https://www.britannica.com/science/aldehyde
Britannica, ketone, https://www.britannica.com/science/ket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