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담도암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담관암의 정의 및 특징
2.2. 담관암의 병태생리와 원인
2.3. 담관암의 임상증상
2.4. 담관암의 진단검사
2.4.1. 혈액검사
2.4.2. 영상검사
3. 치료 및 간호
3.1. 수술
3.2. 방사선요법
3.3. 항암화학요법
4. 간호사례
4.1. 대상자 정보 및 건강력 사정
4.2. 간호진단 및 중재
4.3. 간호평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담도암은 담도 상피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담도암은 간내 담도, 간외 담도, 간문부 및 상부 담도에서 주로 발생한다. 담도암은 대부분 조기 진단이 어려워 주변 장기로의 직접 침범이나 림프절 및 혈관 전이가 흔히 동반된다. 따라서 담도암의 5년 생존율은 다른 암종에 비해 낮은 편이다. 담도암의 정확한 발생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담도암은 주로 60대 이상 남성에서 많이 발생하며, 만성 간담도 내 기생충 감염, 담관 기형, 담석증 등의 위험인자가 알려져 있다. 담도암의 임상증상으로는 황달, 복통, 체중감소, 식욕부진 등이 나타나며, 주요 진단검사로는 혈액검사, 영상검사, 내시경적 진단검사 등이 활용된다. 담도암의 치료는 암의 크기, 위치, 병기,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수술, 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 등을 단독 또는 병합하여 시행한다.
2. 본론
2.1. 담관암의 정의 및 특징
담관은 간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관으로,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이동시키는 통로이다. 담관암은 이러한 담관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한다. 담관암은 위치에 따라 간내 담관암과 간외 담관암으로 구분된다. 세포 형태에서는 두 유형 간 차이가 없지만, 간내 담관암은 해부학적으로 간암에 속한다. 간외 담관은 총간관, 담낭관, 담낭, 총담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담낭암은 담낭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이고 담도암은 그 외 담관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이다. 따라서 담관암은 간 내부와 외부의 담도 구조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는 암종이다. 담관암은 매우 잠복성이 크고 주위 조직으로의 직접 침윤 및 혈관과 림프절을 통한 전이가 잘 일어나는 특성이 있다. 담관암의 대부분은 선암종 유형이며, 겉보기로는 경화형, 유두형, 결절형 등 다양한 아형으로 구분된다.
2.2. 담관암의 병태생리와 원인
정확한 발생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50~70대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여성보다 남성에서 발생 확률이 높다. 원인으로는 담관 정체, 만성 염증, 만성 감염, 발암물질, 간흡충증 등이 있다.
간흡충증은 민물고기를 날로 먹었을 때 감염될 수 있는 기생충의 하나로, 담도 벽에서 붙어 기생하며 여러 가지 병을 일으키는 만성 질환이다. 간흡충은 사람 몸 속에서 보통 3~4년 정도 살 수 있지만, 길게는 20~30년까지 생존하기도 한다.
담도계 발암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 담도암 발생 위험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무, 항공기, 화학약품, 자동차 공장 종사자는 일반인보다 담도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
이처럼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담관암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발암 물질에 대한 장기적 노출이나 만성 염증 및 감염 등이 담관 상피세포의 이형성을 유발하여 암으로 발전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2.3. 담관암의 임상증상
황달은 담관암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종양이 담도에서 십이지장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폐쇄하여 담즙의 흐름이 막히면 혈액 내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지므로,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란색으로 변하고 갈색 소변과 회백색 변을 볼 수 있다. 또한 피부에 가려움증이 생길 수 있다. 담도 폐쇄는 서서히 진행되어 조기 발견이 어려운 편이다.
비특이적 증상으로는 체중 감소, 피로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십이지장 폐색, 간 기능 검사 이상 등이 있다. 특히 십이지장 폐색이나 간 기능 이상은 종양의 진행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태에서 나타나는 소견이다.
이처럼 담관암은 초기에 특징적인 증상이 없어 진단이 어려우며, 황달이 나타나면 이미 상당 수준으로 진행된 상태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적극적인 검진과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2.4. 담관암의 진단검사
2.4.1.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담관암의 진단을 위해 활용되는 대표적인 임상검사이다. 혈액 내 다양한 지표들의 변화를 통해 담관암의 진행 상태와 합병증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일반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WBC) 수치의 증가는 급성 감염이나 염증 반응을 의미한다. 담관암 환자의 경우 종양으로 인한 국소 감염이나 전신 염증 반응으로 WBC가 상승할 수 있다. 반면 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로 인해 WBC가 감소할 수도 있다.
적...
참고 자료
김정애, 이경혜, 장명선, 장은정, 김대음.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1976.
식품의약품안전처.
Lewis, Dirksen, Heitkemper, Bucher. 성인간호학(하). 제 9판 수정판. 현문사; 2015.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한국기초간호학회. 최스미. 박명숙. 서민희. 유해영. 이향규. 채영란. 최승혜. 한기혜. 핵심 인체 구조와 기능. 수문사.
성미혜, 정향미, 박은영, 김영희, 박진희.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개정판. 수문사; 1978.
Sharon Jensen. 건강사정. 제 3판. 도서출판 한미의학; 1999.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Lewis, Dirksen, Heitkemper, Bucher. 성인간호학(상). 제 9판 수정판. 현문사; 2015.
신윤희, 김애경, 박효정, 양정하. 기본간호학. 제 7판. 계측문화사.
최성호. 담도암 병기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 한국간담췌외과학회. 한국간담췌외과학회 학술대회지. 한국간담췌외과학회 학술대회지. 제22차; 2005.
최성호, 권성준. 담관낭종 기원 담도암. 대한외과학회. 대한외과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1990.
조경숙 외 9명,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6년
강미정 외 36명, 『간호과정 실무지침 - 개정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년
MEG GULANICK, JUDITH L. MYERS 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 증보판』, 현문사 ELSEVIER, 2017년
이노우에 도모코, 사토 치후미,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 1 -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편』, 메디 캠퍼스, 2016년
드러그 인포 『https://www.druginfo.co.kr/』
세브란스 연세 암병원 『http://sev.iseverance.com/cancer/』
성인간호학 상, 황옥남 외 공저(2019).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 황옥남 외 공저(2019). 현문사.
기본간호학 II. 양선희 외 공저(2019). 현문사.
http://sev.iseverance.com/cancer/dept_clinic/cancer_center/pancreaticobiliary_cancer/disease/view.asp?con_no=73360 (연세암병원)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6 (서울아산병원)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0FA4A0B9BB (질병관리본부)
https://www.eulji.or.kr/data/data_pg06_02.jsp?board_code=BOARD_10&board_sequence=2688 (노원을지대학교병원)
http://www.cjhana.co.kr/health/reservation_1/popup.php?code=2&main_category=%C7%F7%BE%D7%B0%CB%BB%E7&sub_category=%C0%CF%B9%DD%C7%F7%BE%D7%B0%CB%BB%E7 (하나병원 건강증진센터)
http://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약학정보원)
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Lap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