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연구윤리적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용어의 정리
2. 문헌고찰
2.1. 윤리 이론, 윤리원칙
2.2. 윤리적 갈등
3.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갈등
3.1. 임상간호사의 일반 특성 및 윤리 관련 특성
3.2.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3.3.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업성
4. 결론
4.1. 나의 생각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간호연구의 필요성은 사회가 발전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과거의 전통적인 의사결정이나 간호행위에 대해 간호사들이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과학기술의 발전은 의료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인간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사업에 종사하는 현장에서 간호인들의 역할과 책임의 무게를 더욱 커지게 만들었다. 또한 의료기관에서의 정책과 처방에 따라 간호를 수행해야하는 의무와 환자의 권리 옹호자로서 간호사의 역할 사이에서 갈등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간호는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환자의 건강의 유지증진, 회복, 돌봄 업무를 개인, 가족,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수행하면서 급격한 사회의 변화와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성의 상실이라는 역효과를 가져왔다. 즉, 기계화로 인한 비인간화, 분업화, 전문화는 인간의 신념이나 생의 가치에 변화를 초래하여 인간생명의 존엄성, 개개인의 독특한 특성 및 인간의 가치를 변화시키고 있어 윤리적 가치관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간호는 환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자의 권리나 안전보호를 우선순위로 하며, 의료인으로서 고도의 직업윤리가 강조되어 왔고, 윤리적 문제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간호사는 임상업무 수행 시 윤리적 갈등문제에 항상 접해있으며, 윤리적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에 자주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간호사 개개인의 윤리적 가치관과 철학을 근거로 비판적 사고과정을 통해 윤리적 행동을 해야 한다. 특히 정신간호 영역에서 윤리적 문제가 더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만성신부전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도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하게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에 근무하는 다양한 파트에서 윤리적 갈등을 경험한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임상에서 윤리적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떤 윤리적 갈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윤리적 갈등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윤리적 갈등과 딜레마 정도를 파악하고 윤리적 갈등의 해결방안에 대한 모색과 전문직으로서 간호의 성장을 통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간호사의 일반 특성 및 윤리 관련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임상간호사의 일반 특성 및 윤리 관련 특성에 따른 윤리 딜레마의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과의 한계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간호사는 임상업무 수행 시 윤리적 갈등문제에 항상 접해있으며, 이에 신중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윤리적 의사결정은 간호사 개개인의 가치관과 윤리지식이 근거가 되고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사고가 기반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갈등과 딜레마 정도를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1.3. 용어의 정리
윤리적 가치관
간호사가 자신의 행동의 방향을 선택할 때 영향을 주는 도덕적으로 옳은 것과 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
참고 자료
위키피디아 (얀 헨드릭 쇤)
https://ko.wikipedia.org/wiki/%EC%96%80_%ED%97%A8%EB%93%9C%EB%A6%AD_%EC%87%A4
연합뉴스 (美 `쇤 박사' 논문조작 어떻게 처벌했나) , 2006.01.1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1193218
physicsworld 학술논문 David Goodstein (vice-provost and professor of physics and applied physics at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In the matter of J Hendrik Schön, 01 Nov 2002
https://physicsworld.com/a/in-the-matter-of-j-hendrik-schn
K. F. haled(Materials and Corrosion Laboratory, Chemistry Department, Faculty of Science, Taif University, Hawiya, Taif 888, Kingdom of Saudi Arabia), Scientific fraud in corrosion science research : a review, may2014, vol 40 issue5, p1735-1752. 18p
http://web.a.ebscohost.com.glibproxy.gachon.ac.kr:8080/ehost/pdfviewer/pdfviewer?vid=11&sid=d9fea77f-1a3a-4e34-8da0-67530282bbe0%40sdc-v-sessmgr01
기은희,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에 대한 연구」 2008년
박정화, 「정신과 간호사가 인식하는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연구」 2003년
여성희,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200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