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남성과 여성의 컴플렉스와 남성과 여성의 다른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성격발달
1.1. 프로이트의 성격발달 이론
1.1.1. 이론의 원리
1.1.2. 성격발달 단계
1.1.3. 이론에 대한 비판점
1.2. 아들러의 개인심리학과 성격발달
1.2.1. 첫째아이의 성격형성
1.2.2. 둘째아이의 성격형성
1.2.3. 막내아이의 성격형성
2. 나의 성격의 장단점
2.1. 나의 성격의 장점
2.1.1. 착한 여자 컴플렉스
2.1.2. 슈퍼우먼 컴플렉스
2.2. 나의 성격의 단점
2.2.1. 낮은 자존감
2.2.2. 열등감
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비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성격발달
1.1. 프로이트의 성격발달 이론
1.1.1. 이론의 원리
프로이트의 성격발달 이론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세계를 강조하였으며, 의식보다 무의식을 더욱 중요하게 여겼다. 그에 따르면 인간의 성격은 심리 내적인 원인에 의해 결정된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을 원초아(본능), 자아(에고), 초자아(수퍼에고)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세 요인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들 세 가지 요인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리비도, 즉 성적 에너지라고 프로이트는 설명하고 있다. 원초아는 쾌락을 따르는 원초적인 충동이며, 인간이 어미의 뱃속에서 나오면 원초아만 존재한다. 자아는 원초아, 본능의 충동을 억제한다. 합리적으로 쾌락을 따르려는 충동이며 인간이 성장을 거듭하며 다양한 요구와 현실적인 제약에 의해 발달하는 성향을 보인다. 현실적으로 타협을 하며 이성적이다. 초자아는 사회의 이상과 가치를 자아에게 요구하는 역할을 하며, 부모와의 관계에 의해 내면화된다. 이를 동일시한다고도 한다.
따라서 프로이트에 따르면 원초아와 초자아가 끊임없이 부딪히며 자아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심리 결정론이란 한 개인이 5세까지 어떤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성격이 형성된다는 이론을 말한다. 아동의 성격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성적 본능인 리비도이다. 단계별로 욕구를 충족하지 못했거나 지나치게 그 욕구에 몰두하면 고착 현상이 생기며, 다음 단계로의 발달이 순조롭지 않게 된다.
1.1.2. 성격발달 단계
프로이트의 성격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다.
구강기(0~1세)는 입을 통해 만족을 얻는 시기로, 이 시기에 리비도(성적 에너지)가 입에 집중되어 있다. 이 시기 적절한 만족을 얻지 못하면 자신과 타인, 주변 세계에 대해 불신감을 갖게 되며, 성격적으로 비관적이고 참을성이 부족하며 질투심이 강해질 수 있다.
항문기(2~3세)에는 배변 훈련을 통해 외부의 통제를 처음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 리비도가 항문에 집중되며, 부모의 엄격한 태도로 인해 리비도가 고착되면 성인기에 강박적이고 경직되며 의존적인 성격이 형성된다.
남근기(3~5세)에는 리비도가 성기로 이동하며, 자신의 성적 특징과 성 역할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 시기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형성하게 되는데, 리비도가 고착되면 남성은 과시적이고 경쟁적이며 성공에 집착하고, 여성은 순박하고 유혹적이며 경박한 성격이 형성된다.
잠복기(6~11세)는 성적 욕구가 억압되고 침체되는 시기로, 이 때 에너지가 지적 탐색, 사회적 기술 습득, 적극적인 학습과 활동 등으로 전환된다.
마지막으로 성기기(11세 이후)는 성적 에너지가 성숙한 사랑의 대상을 찾는 데 사용되는 시기이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성격발달 단계를 통해 초기 경험이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
참고 자료
이세형, “프로이트의 자아 이해”,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0.02
피에르 바뱅, “프로이트”, 시공사, 1995
마가렛 마켄하우푸트, “정신분석과 프로이트”, 바다출판사, 2002
Les Parrot (2011), 『카운슬링과 심리치료』, 서울: 창지사, 147-151.
이수연 외 (2013), 『성격의 이해와 상담』, 서울: 학지사, 123-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