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사전학습 활력징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간호학 활력징후
1.1. 활력징후의 중요성
1.2. 활력징후 측정 방법
1.2.1. 체온 측정
1.2.2. 맥박 측정
1.2.3. 호흡 측정
1.2.4. 혈압 측정
1.3. 연령별 활력징후 정상범위
2. 검사 정상범위와 임상적 의의
2.1. 혈액 검사(Hematology)
2.1.1. CBC 항목
2.1.2. Diff. Count 항목
2.2. 혈액화학 검사(Blood Chemistry)
2.2.1. Protein
2.2.2. Albumin
2.2.3. Globulin
2.2.4. Cholesterol
2.2.5. Bilirubin
3. 간호실무 Check List
4. 폐렴 아동 간호
5. 요로감염 아동 간호
6. 신증후군 아동 간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간호학 활력징후
1.1. 활력징후의 중요성
활력징후는 아동의 생체기능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매우 중요한 방법이다. 외래 방문하는 모든 아동에게 매 방문 때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해야 하고, 입원 아동은 하루 동안 내내 지속적으로 측정해야 한다. 활력징후를 통해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과 질병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과 같은 활력징후 측정은 아동의 생리적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필수적인 간호행위이다. 특히 어린 영유아의 경우 활력징후 변화가 빨리 나타나므로 정기적인 관찰과 측정이 더욱 중요하다. 활력징후 측정을 통해 아동의 건강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악화를 방지할 수 있어 예방적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1.2. 활력징후 측정 방법
1.2.1. 체온 측정
체온은 아동의 건강과 질병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활력징후 중 하나이다. 체온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아동간호에 필수적이다. 체온은 액와, 고막, 구강, 직장 등 다양한 부위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액와 체온은 영아와 4세 이하 아동에게 적합하며, 심부 체온인 직장 체온보다 약 0.6℃ 낮게 측정된다. 고막 체온은 3세 이상 아동에게 적합하며, 고막과 체온계 탐침이 정확히 일직선을 이루도록 한다. 구강 체온은 6세 이상 아동에게 적합하며, 구강 체온 측정 전 최소 30분 동안 음료 섭취를 금지한다. 직장 체온은 가장 정확한 체온 측정법이나, 영아의 경우 1.25cm 이상 삽입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직장 체온 측정은 직장 손상, 감염, 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각 부위 별 체온 측정 시 주의할 점을 숙지하고 정확한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2.2. 맥박 측정
맥박 측정은 아동의 생체 징후를 파악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아동의 횟수, 리듬, 질을 측정하여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동의 맥박 횟수는 울거나 활동하면 증가하므로 다른 검사 시행 전 아동이 조용히 있을 때 측정하는 것이 좋다. 만 2세가 지나면 요골 맥박 측정이 가능하지만, 2세 이하의 아동은 심첨맥박이 더욱 정확하기 때문에 심첨맥박을 측정하는 것이 좋다. 심첨맥박 위치는 7세 이하 아동의 경우 좌측 네 번째 늑간과 쇄골중앙선이 만나는 부위, 7세 이상 아동의 경우 좌측 다섯 번째 늑간과 쇄골중앙선이 만나는 부위이다.
맥박은 1분 동안 측정하여 횟수, 리듬, 질을 모두 확인해야 한다. 불규칙한 심박동이 관찰되거나 심질환이 있는 아동에게는 심첨맥박 측정이 더욱 유용하다. 맥박 측정 시 아동이 활동적이거나 울고 있다면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아동이 조용히 있을 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2.3. 호흡 측정
영아나 어린 아동의 호흡수는 1분 동안 청진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큰 아동의 경우에는 흉부 움직임의 관찰(시진)을 통해 호흡을 측정할 수 있다. 호흡 측정 시 호흡양상, 매 호흡 시 흉곽 움직임의 대칭성, 호흡잡음(악설음, 천명, 마찰음)을 관찰한다. 또한 비익 확장, 그렁거림, 견축, 호흡노력 증가, 청색증, 무호흡기 등의 호흡곤란징후가 있는지도 함께 관찰한다.
아동은 호흡 움직임이 불규칙적이므로 1분 동안 사정해야 정확한 호흡수를 측정할 수 있다. 유아와 학령기 아동에게는 흉부팽창을 관찰하고, 영아에게는 복부팽창을 관찰하여 호흡을 확인한다.
정확한 호흡 측정을 위해서는 아동이 조용히 있을 때 실시하는 것이 좋다. 울거나 활동하면 호흡수가 증가하므로 다른 시술 전에 아동이 편안한 상태일 때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4. 혈압 측정
혈압은 병원에 입원할 때나 필요한 경우 측정한다. 아동의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이상 수치가 나타나면 좀 더 자주 혈압을 측정해야 한다.
정확한 커프 크기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우측 팔꿈치와 어깨 사이의 상완 중간을 찾고, 커프 공기주머니의 너비는 이 지점에서 상완둘레의 40%가 적절하다. 커프를 감을 때는 공기주머니가 겹치지 않고 팔의 80~100%를 덮도록 한다.
상완혈압은 요골동맥이나 대퇴동맥에서도 측정할 수 있다. 입원 아동의 경우 상지와 하지 혈압을 모두 측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혈압이 들리지 않거나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없을 때는 촉진으로 혈압을 재기도 한다.
연령별 정상 혈압 범위는 다음과 같다. 신생아 수축기 65~95 mmHg, 이완기 30~60 mmHg이고, 학령전기 남아 수축기 93~107 mmHg, 이완기 50~65 mmHg, 여아 수축기 91~104 mmHg, 이완기 52~66 mmHg이다. 학령기 남아 수축기 102~115 mmHg, 이완기 61~75 mmHg, 여아 수축기 102~115 mmHg, 이완기 60~74 mmHg이다. 청...
참고 자료
박은숙, 박인숙, 박호란, 신희선 외,『아동간호학(상)』,「현문사」, 2022
박은숙, 박인숙, 박호란, 신희선 외,『아동간호학(하)』,「현문사」, 2022.
송경애, 박형숙, 홍영혜, 이강이 외,『최신기본간호학II』,「수문사」, 2021.
송경애, 박형숙, 홍영혜, 이강이 외,『기본간호중재와 술기』,「수문사」, 2021.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외,『성인간호학(상)』,「현문사」, 2022.
김연숙, 강희경, 권영은, 민경화 외,『건강사정』,「JMK」,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