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에 나타나는 음운현상 가운데 종성제약에 대해 서술하고 다른 언어와 대조 비교하십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
2.1. 형태적 측면
2.2. 내용적 측면
3. 한국어와 영어의 어휘형성법 비교
3.1. 영어의 어휘형성법
3.2. 한국어와 영어의 어휘형성법 공통점과 차이점
4.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절 구성 비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언어는 인간 소통의 필수적인 수단이자 도구이다. 전 세계에는 수많은 언어가 존재하는데, 이들 언어는 각자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또한 다른 언어와는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 한류 열풍으로 인하여 한국어 학습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을 잘 알고 있어야 하며, 학습자의 모국어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요구에 맞춘 효과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한국어의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중 한 가지 특성을 선택하여 다른 언어와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2.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
2.1. 형태적 측면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
한국어는 다양한 음운현상으로 인해 독특한 형태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한국어는 '평음-경음-격음'의 변별적 대립을 구성하는데, 이는 서로 변별적인 자질을 갖고 있다. 둘째, 한국어는 파열음보다 마찰음이 적다. 셋째, 한국어는 음절 초성에 제약이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자음이나 'ㄹ, ㄴ'이 오지 못한다. 넷째, 한국어는 7개의 자음으로 종성을 발음하며, 파열음이 닫힌 상태로 발음된다. 다섯째, 한국어에는 모음조화 현상이 있다. 'ㅏ, ㅗ'는 밝고 경쾌한 느낌을, 'ㅓ, ㅜ'는 어둡고 무거운 느낌을 준다.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 외에도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한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했으며, 대부분의 문법 기능이 이에 의해 실현된다. 둘째, 한국어는 기본적으로 SOV 어순을 따르지만, 문장 성분의 이동이 비교적 자유롭다. 셋째, 한국어는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오는 좌분지 언어이다. 넷째, 한국어는 높임법이 발달했으며, 주체 높임과 상대 높임이 모두 발달했다. 다섯째, 한국어의 명사는 격변화 없이 조사와 결합하여 기능한다. 여섯째, 한국어에는 관형사는 있지만 관사가 없다. 일곱째, '-이다'는 명사와 결합하여 서술어를 이룬다. 여덟째, 한국...
참고 자료
허용 외, 대조언어학, 소통, 2018.
박덕유, 학습자 모어 특성에 따른 한국어 교수법, 박문사, 2017.
허남영 외, 언어교수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2020.
박혜진, 어휘형성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신희삼, 단어 형성의 원리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교육의 방안에 관하여, 한국언어문학회, 2010.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박기덕, 「한국어 보조사 사용의 전제」, 언어와 언어학 26,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1.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03.
엄기철, 「한국어 조사 ‘이/가’, ‘을/를’의 기능과 의미 연구」, 『동국어문학』 동국어문학회, 14, pp157-197.
이익섭, 『국어 문법론 강의』, 두산동아, 1999.
허용, 『(외국어로서의)한국어 발음 교육론』, 박이정, 2016.
김은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론, 역락, 2017.
박숙희, 한국어 발음 교육론, 역락, 2013.
배주채, 언어학개론, 태학사, 2015.
신희삼, 단어 형성의 원리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교육의 방안에 관하여, 한국언어문학회, 2010.
구본관, 단어 형성법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7.
김일옥, 한국어 자음체계 대조 연구 : 중국어·베트남어·태국어·일본어·영어를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