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원예 식물의 종자번식과 영양번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원예식물의 종자번식과 영양번식
1.2. 국내 원예산업의 환경 변화 및 발전 방향
2. 원예 식물의 분류
2.1. 인위분류와 자연분류의 특징 비교
2.2. 채소와 화훼 분과의 행정편의에 따른 분류
3. 식물의 번식 방법
3.1. 종자번식의 장단점
3.2. 영양번식의 장단점
3.3. 과수작물의 영양번식 특성
4. 결론
4.1. 변화하는 환경에 적합한 식물 연구의 필요성
4.2. 식물 번식 방법의 다양화와 활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원예식물의 종자번식과 영양번식
원예식물의 종자번식과 영양번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다. 종자번식은 번식 방법이 쉽고 다수의 묘를 생산할 수 있으며 품종 개량이 가능하다. 그러나 모체와 동일한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영양번식은 모본의 유전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균일한 품종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번식이 어려운 숙근성 작물에 활용된다. 하지만 한 번에 많은 묘를 확보하기 어려우며 개화와 결실이 늦어 시간과 비용이 더 소요된다.
과수작물은 대부분 영양번식을 활용한다. 영양번식의 장점을 통해 우수한 품종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수확기를 앞당길 수 있다. 또한 병충해 저항성이 강화되어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하다. 다만 초기 소요비용이 높고 개화와 결실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원예식물의 종자번식과 영양번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어 작물의 특성과 목적에 맞게 적절히 활용되어야 한다. 종자번식으로는 품종개량이 용이하지만 균일성이 떨어지고, 영양번식으로는 우수한 품종을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과수작물의 경우 영양번식이 널리 활용되어 품질 향상과 수량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1.2. 국내 원예산업의 환경 변화 및 발전 방향
기온 변화와 바이러스의 출현 등으로 다양한 사업이 변화하고 있으며, 원예 산업 또한 마찬가지이다.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안정적인 기후를 얻기 어려워짐에 따라 실내 원예나 원예원과 같은 시설 및 환경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키울 수 있는 원예 식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악화되는 공기오염과 미세먼지로 인해 미세먼지 및 공기 정화 식물 원예 산업 또한 주목받고 있다. 서울시에서는 미세먼지 특화사업으로 미세먼지 정화용 식물을 자치구별로 배치하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의 여파로 공기정화 식물뿐만 아니라 실내 생활시간 증가에 따른 실내 원예 식물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앞으로는 새로운 바이러스와 기후 변화로 인해 공기정화 식물과 실내 원예...
참고 자료
Landscape Times. 서울시, 자치구별 미세먼지 특화사업에 총 15억 지원.
농림축산부. 정책홍보. 원예산업 경쟁력 제고.
농사로. 화훼류 번식방법.
박홍륜. (2008). 나무딸기류의 영양번식 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태성 외, 『원예작물학2』, 한국방송통신대학원출판문화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