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쌍둥이 제왕절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쌍둥이 제왕절개 분만
2.1. 제왕절개 분만의 정의와 원인
2.2. 제왕절개 분만의 종류
2.3. 제왕절개 분만의 진단과 치료
2.4. 제왕절개 분만 산모의 간호관리
3. 다태임신
3.1. 다태임신의 정의와 원인
3.2. 다태임신의 진단
3.3. 다태임신의 건강문제와 관리
3.4. 다태임신의 분만 및 예후
4. 간호과정 적용 사례
4.1. 대상자 사정
4.2. 간호진단
4.3. 간호계획 및 중재
4.4. 간호 평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쌍둥이 제왕절개 분만은 복부 절개를 통해 두 명의 태아를 동시에 분만하는 것이다. 이는 수술 기술의 발달과 무균 기법, 항생제 발달로 인해 산모-태아 사망률이 크게 감소했지만 정상 질식 분만에 비해 위험도가 여전히 2배 이상 높다. 우리나라 제왕절개 분만 비율은 최근 수년간 35-40% 수준으로 반복 수술 증가와 고령 출산 증가가 주요 원인이다. 제왕절개 분만의 주요 적응증에는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 경험, 자간전증, 전치태반 등이 있다. 자궁 하부 절개와 재래식 절개법 등 다양한 수술 방식이 있으며, 수술 전 피부 준비, 장관 준비, 마취제 투여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수술 후에는 출혈, 통증, 감염, 호흡곤란 등의 합병증 관리와 함께 유방 관리, 배뇨 및 배변 관찰, 산모 교육 등 포괄적인 간호가 제공되어야 한다. 소. [1,2,3]
2. 쌍둥이 제왕절개 분만
2.1. 제왕절개 분만의 정의와 원인
제왕절개 분만(Ceasarean Section)은 복부 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수술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 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질 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우리나라 제왕절개 분만율은 2015년도에 4.2%를 기록하였으며, 최근 들어 아이를 출산하는 여러 유형 중 제왕절개술로 분만하는 비율이 꾸준하게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제왕절개 분만의 주요 원인은 반복 수술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출산의 높은 비율 때문이다.
제왕절개 분만의 적응증은 크게 모체와 태아 측 요인, 모체 측 요인, 태아 측 요인, 태반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모체와 태아 측 요인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부전 등으로 인한 난산인 경우이다. 모체 측 요인에는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자궁경부암 등의 모체 질병, 음부포진, 활동성 병소 등의 중증감염, 과거 제왕절개 분만 경험, 자궁수술 경험, 난소종양이나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 35세 이상의 초산부나 오랫동안 불임이었던 경우 등이 포함된다. 태아 측 요인에는 태아 질식(제대탈출, 심한 태반 기능부전), 횡위, 둔위 등 선진부 이상, 다태아(선진부가 둔위인 경우)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태반 요인으로는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가 있다.
2.2. 제왕절개 분만의 종류
자궁하부 제왕절개분만은 자궁의 가장 얇은 부분인 자궁하부를 절개하므로 혈액손실이 가장 적고 절개부위의 복구가 가장 용이하다. 또한 자궁하부는 자궁활동이 가장 적은 부분이므로 다음 임신의 경우 절개부위의 파열 가능성이 적고 절개부분이 복막으로 덮히기 때문에 수술 후 감염률이 적다. 최초의 절개는 자궁복막을 횡으로 절개하며 하부 복막과 방광을 자궁으로부터 분리하고 자궁근을 수직 혹은 횡으로 절개한다. 그리고 양막이 파수되고 태아가 분만된다. 태반을 만출한 후 옥시토신을 주입하여 자궁수축을 시킨다. 자궁절개 부위를 봉합하고 하부 피부판을 자궁절개부위에 덮는다. 이러한 두 개의 피부판 덮개의 배열은 복강 내로 감염성 오로가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하여 감염을 방지한다.
재래식 제왕절개분만은 자궁체부를 직접 수직절개하여 태아와 태반을 만출시킨 후 흡수성 봉합사로 3겹 절개부위를 봉합한다. 이러한 방법은 자궁체부의 두께 전체를 절개해야 하므로 특수한 경우에 사용한다. 즉 방광 및 자궁하부가 과거의 제왕절개로 광범위하게 유착이 되어 있을 경우에 유용한 방법이며 태아가 횡위일 경우나 전방 전치 태반일 경우 가끔 선택하는 방법이다.
복막외 제왕절개분만은 방광주변 조직의 적절한 분리에 의해 복강을 통하지 않고 자궁하부로 안전하게 접근하여 태아가 자궁하부 절개를 통해 분만되는 방식이다. 수술 전체가 복강외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감염된 양수나 자궁삼출물이 복막 표면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항생제 사용 이전의 시기에 포괄적으로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극히 드물다.
제왕절개분만-자궁절제술은 자궁을 제거하게 되는 제왕절개분만을 의미한다. 이 수술은 태반조기박리 및 유착태반, 자궁의 다발성 섬유종, 드물게는 불임을 목적으로 선택적으로 행하는 수술이다.
2.3. 제왕절개 분만의 진단과 치료
제왕절개 분만은 복부 절개를 통해 태아를 만출하는 수술이다. 제왕절개 분만은 다양한 적응증에 따라 결정되며, 이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먼저 수술 전 검사를 통해 제왕절개 분만이 필요한 지 진단한다. 소변검사, 혈액검사, 혈장 전해질, 흉부 X-선, EKG, 태아심음과 자궁수축상태 모니터링 등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산모와 태아의 건강...
참고 자료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
현문사 기본간호학
현문사 성인간호학
지식백과 '혈전용해제'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현문사. 여성간호학 II 제6판. 박영주, 심미정, 김혜자, 전나미, 김혜원, 이은숙 외 공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대한산부인과학회. (2019) 다태임신 Retrieved October 9, 2019
https://www.ksog.org/public/index.php?sub=1&third=10
한양대학병원. (2016). 다태임신 Retrieved October 9, 2019
https://seoul.hyumc.com/seoul/healthInfo/diseaseInfo.do?action=detail&searchCondition=diseaseDiv&searchCommonCd1=0001&searchCommonCd2=450
이정택(2017) 우리나라 다태아의 출생과 건강 현황 Retrieved October 9, 2019
http://www.kiri.or.kr/pdf/%EC%A0%84%EB%AC%B8%EC%9E%90%EB%A3%8C/KIRI_20170907_172211.pdf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다태 임신. Retrieved October 9, 2019
http://search.snuh.org/search/search.jsp
서울아산병원. (2014). 다태아. Retrieved October 9, 2019, from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34
질병관리본부. (2016). 다태임신. Retrieved October 9, 2019, from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50
제일병원. (2018). 쌍태 임신 클리닉. Retrieved October 11, 2019, from
https://www.cheilmc.co.kr/center/obstetrics/special/obst_bb1.jsp
인재대학교부산백병원. (2018). Retrieved October 11, 2019, from
https://www.paik.ac.kr/busan/dept/disease.asp?cid=1178&mid=511
질병관리본부. 2016. 다태임신. October 12, 2019. from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50
MSD매뉴얼, 여성건강문제, 제왕절개,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97%AC%EC%84%B1-%EA%B1%B4%EA%B0%95-%EB%AC%B8%EC%A0%9C/%EC%B6%9C%EC%82%B0%EA%B3%BC-%EB%B6%84%EB%A7%8C%EC%9D%98-%ED%95%A9%EB%B3%91%EC%A6%9D/%EC%A0%9C%EC%99%95%EC%A0%88%EA%B0%9C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HHHHH0249
의약정보센터, www.kims.co.kr
영등포구 보건소, 건강정보, 모유수유 자세, https://www.ydp.go.kr/health/contents.do?key=3598&
단국대학교병원, 2016, 모유수유 어떻게 하나요?, https://www.dkuh.co.kr/board5/bbs/board?bo_table=07_07&wr_id=41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2011,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성미혜 외 9인 저, 간호과정의 적용, 1015, JMK
여성건강간호학Ⅱ, 제 10판 모성간호학, 수문사, 2020,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