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독서지도의 기대효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2. 독서교육의 정의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1.3.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구축 배경 및 목표
2. 본론
2.1.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내용
2.1.1. DLS 아이디와 관리체계
2.1.2. 주요 독서 지원기능
2.2.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문제점
2.2.1. 설문조사 결과 분석
2.2.2. 이용자 제한과 홍보 미흡
2.2.3. 실질적 활용도 및 북큐레이션 수행 부족
2.3. 개선방안
2.3.1. 이용자 확대
2.3.2. 홍보 및 교육
2.3.3. 마일리지 활용도 개선
2.3.4. 도서 추천 시스템 보완
3. 결론
3.1. 기대효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독서활동을 장려하고 독서 습관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하지만 현재 시스템의 운영 및 활용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첫째, 시스템의 이용 목적이 교사의 과제나 숙제 배당 때문인 경우가 많아 학생들의 자율적인 이용이 부족하다. 설문조사 결과, '보통이다'라는 답변이 많았고 시스템 이용 목적이 교사의 요구에 의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독서 습관 형성이라는 시스템의 본래 목적이 달성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초등학생 시기에 집중되어 있던 이용 비율이 중학생, 고등학생으로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등 학년이 올라갈수록 이용률이 떨어지고 있다. 이는 독서 습관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독서동아리나 토론방 등 독서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한 기능의 이용률이 매우 저조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독후감 작성 기능만을 활용하고 있어 독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넷째, 고등학교 졸업 이후 시스템 이용에 제한이 생겨 독서활동의 연속성이 단절된다. 졸업 후 5년까지만 일반회원으로 전환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다. 이는 학생들의 독서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지 못하는 한계로 작용한다.
다섯째, 시스템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여 학생 및 학부모들이 시스템의 존재와 활용 방법을 잘 모르고 있다. 실제로 설문조사 과정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시스템을 사용해 본 적이 없다고 답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첫째, 이용자 확대를 위해 시스템을 전국민을 대상으로 확대하고 공공도서관과 연계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 및 학부모 대상의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을 통해 시스템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독서동아리나 토론방 등 독서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기능 활용도를 개선해야 한다.
넷째, 연령대별, 목적별 도서 추천 시스템을 보완하여 학생들의 독서 선택권을 높이고 독서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다섯째, 졸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독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이용 기간을 연장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이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독서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1.2. 독서교육의 정의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독서교육의 정의와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이다. 독서교육이란 책을 읽는 습관을 기르게 하거나, 책을 읽음으로써 판단 능력 및 사고 능력 따위를 익히게 하는 교육이다. 이를 직업으로 삼는 자를 독서지도사라 하며,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독서지도를 하며 독서교육에 대한 학습 상담 및 교육적 자문을 수행하는 사람이다. 독서교육은 아동과 청소년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전 연령층에 넓게 적용된다. 또한, 어떠한 매체로든 적용될 수 있다.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이란 컴퓨터 등 정보매체에 익숙한 초·중·고등학생들이 자유롭게 책을 읽고 컴퓨터상에서 다양한 독후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컴퓨터 기반의 독서 활동 온라인 지원 프로그램이다. 학생의 자율적 독후활동을 기반으로 자기 주도적 독서계획을 수립하고, 그 이력을 스스로 관리하며 독후활동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교육부에서 개발하여 시·도교육청별로 시스템이 구축/운영되고 있다.
1.3.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구축 배경 및 목표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의 구축 배경 및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교육을 통해 학생의 창의력 신장과 바른 인성을 함양하는 것이다. 둘째, 자기 주도적인 독서계획을 수립함과 동시에 온라인 독후활동에 대한 지도체제...
참고 자료
네이버 어학사전 ‘독서교육’
네이버 지식백과 ‘독서지도사’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홈페이지
위키백과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솔모네 집’ 블로그 https://blog.naver.com/gksthfah96/60125818864
위키백과 ‘에듀팟’
나이스 학생서비스 홈페이지
위키백과 ‘나이스’
각 시·도별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홈페이지
‘교집합연구소’ 블로그 https://blog.naver.com/thkshiv/221079439794
부산전자도서관 홈페이지
포항교육청,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학교담당자 연수 실시/배달형 기자/2022.04.10.
성주교육지원청,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DLS) 담당자 연수 가져/김원균 기자/2022.04.07.
영주교육청,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학교담당자 연수/백성호 기자/2022.04.28.
울릉교육청, 독서교육 종합지원시스템 담당자 연수/이정호 기자/2022.04.14.
경주교육지원청,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연수 실시/서민재 기자/2022.04.27.
부산시교육청,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온라인 연수/변옥환 기자/202.02.25.
‘학교도서관 사서의 책갈피’ 블로그 https://blog.naver.com/gina5737/222268434812
고등학생의 DLS 검색행태 분석을 통한 학교도서관 자료 접근성 향상 방안 고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정영미; 강봉숙, 2020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의 구성요소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변우열, 2010
김미자, 동기유발을 통한 효율적인 독서지도 방안 연구 : 중학생의 통합교과 독서지도를 중심으로, 濟州大學校 大學院, 2008.
윤종수, 중학생의 효율적인 독서 지도 방안,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박재민, 중학생의 독서성향이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독서지도 프로그램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독서지도론>, 강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