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금형 역설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금형 역설계의 필요성
1.2.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
1.3. 연구의 목적
2. 3D 프린팅 기술
2.1. 3D 프린팅의 개념과 특징
2.2.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 과정
2.3.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분야
3.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
3.1. 금형 설계 및 제작에서의 활용
3.2. 자동차 부품 생산에서의 활용
3.3. 의료 분야에서의 활용
3.4. 기타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4. 금형 역설계를 위한 3D 프린팅 기술
4.1. 3D 스캔 기술을 활용한 역설계
4.2. 3D 모델링을 통한 금형 설계
4.3. 3D 프린팅을 이용한 금형 제작
5. 금형 역설계 사례 분석
5.1. 국내 기업의 사례
5.2. 해외 기업의 사례
5.3. 금형 역설계 기술의 발전 방향
6. 결론
6.1. 연구 결과 요약
6.2. 금형 산업에서의 3D 프린팅 활용 전망
6.3. 향후 과제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금형 역설계의 필요성
금형 역설계의 필요성이다. 자동차 산업에서 금형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금형 변경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으로 금형 설계와 제작에서 많은 혁신이 가능해졌다. 3D 스캔 기술과 3D 모델링을 활용하여 기존 금형을 역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3D 프린팅으로 새로운 금형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금형 제작 소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형상의 금형도 3D 프린팅으로 제작이 가능해져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금형 역설계와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은 금형 산업의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1.2.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
1984년 디자이너 척 헐이 스테레오리소그래피를 활용한 3차원 물체제작 기구를 개발하면서 최초의 3D 프린터가 탄생했다. 이를 시작으로 다양한 방식의 3D 프린터가 발명되고 관련 기업들이 등장하면서 3D 프린터 산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의 3D 프린터는 1988년 스콧 크럼프에 의해 발명되었고, 스트라타시스가 특허를 활용해 1989년 설립되면서 오늘날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이 되었다. 이후 다양한 적층 방식의 3D 프린터가 등장했고, 초기에는 RP(Rapid Prototyping)라는 이름으로 시장에 보급되었다. 2009년 FDM 프린터의 특허가 풀리면서 많은 기업들이 이를 활용해 보급형 RP를 제작하기 시작했고, 이때부터 3D 프린터라는 용어가 자리 잡게 되었다. 2014년을 기점으로 대부분의 중요 특허가 만료되면서 3D 프린터의 가격이 크게 하락하였고, 이에 따라 3D 프린팅 기술의 대중화가 본격화되었다.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은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 적층 조형하는 방식으로, 빠른 속도와 우수한 품질의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SLA(Stereolithographic Apparatus) 방식은 UV 레이저를 통해 광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초기 개발 방식이다.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은 분말 소재에 레이저를 조사해 소결시켜 적층하는 방식으로, 산업용 분야에서 많이 활용된다.
이처럼 다양한 3D 프린팅 기술이 개발되면서 각 방식의 장단점이 부각되었고, 특허 만료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향후 기술 발전과 함께 3D 프린팅 기술의 대중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1.3. 연구의 목적
금형 산업에서 3D 프린팅 기술이 활용되면서 금형 설계 및 제작 공정이 혁신되고 있다. 3D 스캔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제품의 형상을 역설계할 수 있고, 3D 모델링 기술로 금형을 설계할 수 있으며, 3D 프린팅으로 금형을 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금형 제작 공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으며, 복잡한 형상의 금형 제작이 가능해졌다. 또한 자동차 부품,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3D 프린팅 기술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국내외 금형 기업들이 3D 프린팅 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제품 개발과 생산 공정을 혁신하고 있으며, 향후 이 분야의 기술 발전과 활용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 3D 프린팅 기술
2.1. 3D 프린팅의 개념과 특징
3D 프린팅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3D 프린팅은 입체 물품을 출력하는 인쇄 기술이다. 기존의 일반 프린터가 평면적인 문서를 출력한다면, 3D 프린터는 가루나 액체 상태의 재료를 한 층씩 쌓아올려 3차원의 입체 모형을 출력한다. 3D 프린팅은 복잡한 형태의 물품도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과정에서 용접이나 조립 등의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다양한 원료 재질을 활용할 수 있어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의 제품 출력이 가능하다. 3D 프린팅의 특징은 제품 설계에 대한 자유도가 높고, 대량 생산보다는 맞춤형 소량 생산에 더 적합하다는 것이다. 3D 프린팅 기술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복잡한 형상의 제품 제작이 가능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2.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 과정
1984년 디자이너로 활동하던 미국 출신 척헐(Charles W Hull)은 "스테레오리소그래피를 활용한 3차원 물체제작(입체인쇄술)" 기구라는 이름으로 최초의 3D프린터를 개발하였다. 이 방식은 오늘날의 SLA방식 3D프린터의 바탕이 되었으며, 이후 척헐 Charles Hull은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3D프린터 전문회사인 3D시스템즈(3D Systems)를 창업하였다. 이를 시작으로 다양한 방식의 3D프린터가 발명되고 관련 기업이 창업하게 되면서 3D프린터 산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4년 뒤 1988년 스콧크럼프(Scott Crump)에 의해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3D프린터가 발명되었다. 이후 스콧크럼프는 특허를 이용하여 1989년 오늘날 세계시장 점유율 1위 3D프린터 전문기업인 스트라타시스(Stratasys)를 창업하게 되었다. 이후 다양한 적층 방식의 3D프린터가 발명되고 상용화되었다.
초기 장비가 발명되고 상용화되었을 때는 지금의 3D프린터라는 용어 보다는 RP(Rapid Prototyping)라는 이름으로 시장에 보급되었다. 2009년 FDM프린터의 특허가 풀리고 제작기술이 공유되면서부터 많은 이들이 특허를 활용하여 보급형RP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이때부터 3D프린터라는 용어로 시장에 빠른 속도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2014년을 기점으로 대부분 중요 특허가 만료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3D프린터가 특허 만료를 기점으로 가격하락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3D프린팅 기술의 대중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1980년대 초반 3D프린터가 처음 개발되었으며, 이후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방식의 3D프린터가 등장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RP(Rapid Prototyping)라는 용어로 불리다가 점차 3D프린터라는 용어가 보편화되었고, 특허 만료 이후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3D프린팅 기술이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3D프린팅 기술은 지난 30여 년간 지속적인 발전과 혁신을 거듭해 왔다.
2.3.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분야
3D 프린팅 기술은 금형 설계 및 제작, 자동차 부품 생산, 의료 분야, 기타 산업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금형...
참고 자료
손해혁(2014). 3D프린터 국내 활용 사례와 한계성.
박세환(2013). 3D 프린팅 표준기술 및 시장 동향. TTA Journal.
한국기계연구원 전략연구실(2013), 글로벌 3D 프린터 산업·기술 동향 분석. 기계기술정책.
성우철(2016). 3D프린팅 국내외 표준화 동향. 국가기술표준원. KATS기술보고서.
정기석(2016). 3D 프린터 대중화가 디자인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강현대(2015).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가구디자인 사례 분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문승준(2017).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제조업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기업경영대학원.
KT경제경영연구소, 2012, 3D 프린팅에 의한 3차 산업혁명, 이슈크런치
R&D정보센터, 2017, 미래형 자동차산업 국내외 동향분석 : 자동차 전장부품, 지식산업정보원
관계부처 합동(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2014, 3D 프린팅 산업 발전전략
김석관 외 , 2015, 신기술 발전에 따른 산업 지형의 변화 전망과 대응 전략 : 제3권 3D 프린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승현‧김만진, 2016, 차세대 생산혁명을 대비한 제조업 혁신정책과 도전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현창, 2015, 3D프린팅이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13(7).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2016, 미래형 자동차산업 동향과 투자유치 방안
딜로이트, 2014, 3D 프린팅 산업과 기업의 대응 전략, 이슈 하이라이트
산업연구원, 2017, 3D 프린팅이 주요 산업의 가치사슬 및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KIET 산업경제
이항구, 2014, 3D 프린팅 기술과 자동차산업, 자동차경제 통권473호,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2015, 3D 프린팅 육성에 따른 산업구조 파급효과 분석
조 철, 2007, 미래형 자동차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산업연구원
중소기업청 외, 2016,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2017~2019) : 스마트팩토리
(주)티모스, 2015, 3D 프린팅의 다양한 신공정 기술 및 특징 소개
(주)프로토텍, 2014, 생산제조분야의 3D 프린터 활용사례
한국기계연구원, 2013, 글로벌 3D 프린터 산업‧기술 동향 분석, 기계기술정책 No.71
Deloitte University Press, 2014, 3D opportunity in the automotive industry
Germany Trade & Invest(2015), Discussion Material.
3D프린팅컴 https://3dprint.com
Cretop http://www.kedkorea.com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포털(NTIS) http://www.ntis.go.kr
산업기술전문포털 HelloT http://www.hellot.net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www.tipa.or.kr
지식재산토탈서비스기업 ㈜윕스 http://www.wipscorp.com
한국소재부품투자기관협의회 http://www.kiti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