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아들러의 이론과 개념
아들러는 인간의 심리와 행동 발달에 있어 유전적인 요소보다는 후천적인 환경적, 사회적 요인이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인간의 목적이나 미래에 대한 지향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개인이 자신의 부족한 점을 인정하고 보상하려는 열등감과 우월해지려는 노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아들러에 따르면 열등감은 인간 발달에 있어 긍정적인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부족함을 극복하고자 노력하게 된다. 이러한 노력은 보상이라는 형태로 나타나는데, 개인은 자신의 부족한 면모를 보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게 된다.
아들러는 이처럼 개인의 우월해지려는 노력이 인간 발달의 핵심 동력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노력은 개인마다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나는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노력이 궁극적으로 사회적 관심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아들러는 각 개인이 지니고 있는 '가상의 목적'이 실제 행동을 이끌어내는 힘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즉, 개인은 자신만의 목표나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고자 노력하며, 이는 창조적이고 사회적인 자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들러는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과 가족 분위기, 출생 순위 등이 개인의 성격 형성에 큰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 이러한 요소들은 개인이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과 세계관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며, 이는 곧 개인의 행동과 태도에 반영된다.
1.2. 노인복지 분야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노인복지 분야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노인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 데 있다. 사회복지사는 노인들이 지역사회와 유대감을 가지고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는 노인들이 이웃들과 자주 교류하며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독거노인들이 홀로 지내는 시간이 길어져 고독사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네 청년들이 노인들의 집을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사업을 실시한다. 더불어 지역사회 차원에서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복지관에 에어컨을 설치하거나 노인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한다. 이처럼 사회복지사는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확대하고 지역사회의 관심을 제고함으로써 노인복지 증진에 기여한다.
2. 본론
2.1. 아들러의 이론적 주장
아들러의 이론적 주장은 다음과 같다. 아들러는 심리적인, 사회적인, 여러 환경적인 요인 등, 복합적인 전반으로 인해 사람들이 긍정적으로 성장하는 방향을 연구했다. 이는 가족이 성격 발달에 제법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주장했으며 사람들이 무작정 자랑하고 뽐내는 우월감이 아닌 자존감을 높이고 자기 만족감을 드높이는 우월감을 도모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그 속에서도 사회적인 동물로서의 소속감, 유대감도 중시한다고 주장한다.
2.2. 아들러의 개념 정의
2.2.1. 열등감
열등감은 개인이 지각하는 자신의 부족한 면모로, 개인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의식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열등감은 인간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