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컴퓨터시스템구조 1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컴퓨터 기억장치 계층구조의 개념
1.1. 주기억장치
1.2. 보조기억장치
2. 운영체제의 유용한 기능
2.1. 인터페이스 제공
2.2. 하드웨어장치 관리
2.3. 파일시스템 관리
3. 데이터 교환 방식
3.1. 회선교환 방식
3.2. 축적교환 방식
3.2.1. 메시지교환
3.2.2. 패킷교환
4. 무인자동차의 안전운행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컴퓨터 기억장치 계층구조의 개념
1.1. 주기억장치
주기억장치는 CPU가 직접적으로 접근해 처리할 수 있는 고속의 기억장치(Memory)이다. 현재 수행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종류에는 롬(ROM)과 램(RAM)이 있다. ROM은 기억된 내용을 읽을 수만 있는 기억장치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쓰기는 불가능하다. 전원이 실제로 꺼져도 기억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ROM은 주기억장치로 사용되기보다는 주로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자가 진단 프로그램(POST)같은 변경 가능성이 희박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기억시키는데 이용한다. RAM은 자유롭게 읽고 쓸 수 있는 기억장치로, RWM(Read Write Memory)라고도 하며,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는 전원이 꺼지면 기억된 내용이 모두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 또는 메모리 하면 램을 의미한다. 이는 정보가 저장된 위치는 주소로 구분한다.
1.2. 보조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억장치이다.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에 비해 속도는 느리지만, 전원이 차단되어도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며 저장용량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보조기억장치의 특징은 중앙처리장치와 직접 자료 교환이 불가능하고, 접근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DMA 방식을 사용하며,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없다. 보조기억장치의 종류에는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자기디스크의 구조, 자기드럼이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어 주기억장치의 단점을 보완한다. 그리고 저장용량이 크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주기억장치에 비해 데이터 접근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와 직접 자료 교환이 불가능하며, DMA 방식을 통해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조기억장치의 대표적인 종류에는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자기드럼 등이 있다.
2. 운영체제의 유용한 기능
2.1.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세서 관리자는 단일 CPU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작업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한 사용자가 일을 수행할 경우에만 프로세서가 동작하는 단일 사용자 시스템은 프로세서 관리가 쉽지만, 다중 사용자가 많은 일을 처리하는 시스템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프로세서를 각각의 작업에 할당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을 멀티 프로그래밍 환경이라고 하며, 단일 사용자 환경보다는 복잡한 처리를 요구한다.
프로세스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파일, 입·출력 장치 등의 자원을 요구하며, 이러한 자원들은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 그 프로세스에게 주어진다. 시스템은 프로세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프로세스는 어떤 한 시스템에의 작업 단위로 나뉘어 진다.
Windows는 플러그 앤 플레이(PNP)라고 불리우는 하드웨어 자동인식기능, 인터넷 접속기능 내장, 메모리 보호기능, 다중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선점형 멀티태스킹, 단축...
참고 자료
김강현, 손진곤, 이병래, 이언배, 곽덕훈. 컴퓨터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6.
김강현, 손진곤, 이병래, 이언배, 곽덕훈. 컴퓨터의 이해 강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8권 제4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