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선대 분자생물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조선대 분자생물학 실험보고서
1.1. 실험 주제 및 목적
1.2. 실험 방법
1.3. 실험 결과 및 고찰
1.4. 생물 소재 폴리머
1.4.1. 스마트 폴리머의 정의 및 특성
1.4.2. 하이드로겔의 정의 및 특성
1.5. 스마트 폴리머와 하이드로겔의 활용 방법
1.5.1. 색/모양 변화 고분자
1.5.2. 자가치유 고분자
1.5.3. 스마트 겔 로봇
1.5.4. 조절력 있는 인공 수정체
2. 자기소개서
2.1. 식품에 대한 관심과 경험
2.2. 강점 및 장점
2.3. 보완해야 할 점
3. 데이트 폭력과 대책
3.1. 데이트 폭력의 정의 및 실태
3.2. 데이트 휴유증법 제안
4. 성형에 대한 남녀의 입장
4.1. 남성의 입장
4.2. 여성의 입장
5. 남녀 핸드폰 사용의 차이
5.1. 남성의 핸드폰 사용 특징
5.2. 여성의 핸드폰 사용 특징
5.3. 남녀 차이의 요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조선대 분자생물학 실험보고서
1.1. 실험 주제 및 목적
본 실험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세포 내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세포에 산화 물질인 H2O2를 처리하여 ROS 발생량과 NO 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세포 사멸 과정 중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항산화 물질인 Vit C를 처리하여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세포 내 신호전달 체계에서 일어나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영향과 항산화 물질의 세포 보호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2. 실험 방법
cell culture (cell seeding)
세포를 준비하여 배양 플레이트에 심어놓는 과정이다. 상태를 확인하고 DPBS로 씻어낸 뒤 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떼어낸다. 배지에 섞어 세포 수를 세고, 희석하여 96 well plate나 6 cm plate에 적정량의 세포를 seeding한다.
Chemical 처리
세포에 황산화 물질과 과산화수소수를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을 확인하고, 항산화 물질인 비타민 C 처리를 통해 보호 효과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Intracellular ROS detection / Griess assay
ROS 측정을 위해 H2DCFDA 시약을 처리하고 형광을 측정한다. Griess assay를 통해 세포에서 발생하는 NO를 측정한다.
1.3. 실험 결과 및 고찰
< MTT assay >
예상했던 결과대로 H2O2만 처리한 곳보다 H2O2와 Vin C를 함께 처리한 곳이 세포 생존율이 높게 나왔다. 다만 chemical 처리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거나 cell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 마지막 2개의 lane에서는 예상했던 생존율이 나오지 않았다. 예상했던 결과는 H2O2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Apoptosis가 많이 일어나며, Vit C가 H2O2에 의한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이었다. 마지막 2개의 lane을 제외한 나머지 결과는 예상했던 결과와 일치하는 그래프를 얻었다.
< Griess assay >
Griess assay는 apoptosis 중 세포에서 발생하는 NO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결과 그래프를 보면 100uM, 200uM, 400uM의 H2O2를 처리해줬을 때의 결과를 제외하고 나머지 그래프는 예상대로 Vit C를 처리해줬을 때 방출되는 NO의 양이 적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Griess assay를 통해서도 apoptosis 작용 중 Vit C를 처리해주면 세포 내 변화가 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Intracellular ROS detection >
ROS assay는 apoptosis 작용 중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생성되는 물질인 ROS를 H2DCFDA chemical을 처리해서 세포 내 ROS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결과 그래프를 보면 H2O2만 처리했을 때보다 Vit C를 함께 처리했을 때 ROS가 적게 측정이 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예상했던 결과대로 Vit C에 의해 세포 손상이 보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I, Hoechst33342 staining 실험을 통해 형광 염료인 Propidium Iodide와 Hoechst33342를 이용해 세포를 염색하고 apoptosis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opidium Iodide는 apoptosis가 일어난 세포에만 염색이 되고 Hoechst33342는 모든 세포에 염색이 되며 apoptosis가 일어난 세포는 빨간색으로 염색이 되며 나머지 세포들은 파란색을 띄었다.
실험을 하면서 apoptosis가 일어나면 세포막이 허물어져 PI로 염색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Chemical treatment를 했을 때 예상했던 결과가 나오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다음 실험에는 이에 대한 원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1.4. 생물 소재 폴리머
1.4.1. 스마트 폴리머의 정의 및 특성
스마트 고분자는 외부에서 주어지는 자극에 대한 반응을 확연하게 보이며 이에 따른 특수한 기능을 위주로 사용하는 고분자이다. 자신이 놓인 상황에 따라 특성이 변하는 고분자물질로, 온도, 습도, pH, 화학적 화합물, 빛의 파장이나 강도, 전기장이나 자기장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스마트 고분자는 특정한 자극이 주어지면 색이나 투명도가 변하거나, 전도성이나 흡습성 띠거나, 형태를 바꾸는 등 다양한 물성을 보이므로 일반적인 환경에서 특정 조건에 변화를 주었을 때 큰 변화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기능성 고분자로는 광 전도성 고분자, 전도성 고분자, 압전성 고분자, 감광성 고분자 등이 있다.
1.4.2. 하이드로겔의 정의 및 특성
Hydrogel이란 친수성 고분자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형 사슬로, 물을 분산매체로 사용하는 겔이다. 이 고분자 네트워크에 친수...
참고 자료
이대성, 고분자 전해질 기반 생체적합형 고인성 하이드로겔, 2017.02, 한남대학교 대학원
유종수․이성윤․나희영․안태정․김현경, 광 응답형 스마트 고분자 소재, 2012.11, 조선대학교 응용화학소재공학과, *조선대학교 광기술공학과
한화케미칼 부문, 스스로 복구되는 ‘자가치유 플라스틱’, 2017.07.11,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8586112&memberNo=5673438
연합뉴스, 물속에서 전기로 움직이는 ‘스마트 겔 로봇’, 2018.05.23,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AC%BC-%EC%86%8D%EC%97%90%EC%84%9C-%EC%A0%84%EA%B8%B0%EB%A1%9C-%EC%9B%80%EC%A7%81%EC%9D%B4%EB%8A%94-%EC%8A%A4%EB%A7%88%ED%8A%B8-%EA%B2%94-%EB%A1%9C%EB%B4%87
이진학, 온도감응성 고분자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조절력이 있는 인공수정체의 개발, 2003.0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