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DAPI"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세포사의 종류와 특징
1.2. DAPI를 이용한 세포 염색의 원리
1.3. Annexin V, PI, Hoechst 33258의 특성
2. 실험 목적 및 방법
2.1. 실험 목적
2.2. 실험 재료
2.3. 실험 과정
3. 실험 결과
3.1. 현미경 관찰을 통한 세포의 생존 및 사멸 양상
3.2. 세포 사멸 유형 분석
4. 고찰
4.1. Annexin V, PI, Hoechst 33258을 이용한 세포 사멸 구분
4.2. 세포 사멸 유형에 따른 세포 구조 및 기능 변화
4.3. 실험 결과의 해석과 의의
5. 결론
5.1. 실험 결과 요약
5.2. 세포 사멸 연구에서 DAPI, Annexin V, PI 염색법의 활용
5.3. 향후 연구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세포사의 종류와 특징
세포사에는 외부 자극에 의해 갑자기 발생하는 세포 괴사(Necrosis)와 사망 신호, 성장인자 결핍 등으로 인해 예정되어 일어나는 세포자연사(Apoptosis)가 존재한다. 세포 괴사는 외부의 강한 물리적인 힘이나 화학 물질 등에 의한 심한 자극으로 인해 세포가 죽어가는 과정이다. 세포 괴사가 일어나면 세포가 부풀어 오르고 세포막과 세포 소기관이 터지게 되며 핵의 크기가 커지고 핵막의 구분이 불명확해지며 염색질이 부분적으로 응축된다. 세포자연사는 일련의 세포 변화에 의해 능동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으로, 조직에서 일정한 세포를 유지하기 위한 반응이며 성숙한 조직의 유지나 발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포자연사는 사망 신호, 성장인자 결핍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야기되며, 캐스페이즈 유전자군과 Bcl-2 집단 유전자군에 의해 조절된다. 세포자연사가 진행되면 DNA 분절화와 염색질 응축, 핵의 분절화 등이 일어나고 세포사멸체가 형성된다.
1.2. DAPI를 이용한 세포 염색의 원리
DAPI를 이용한 세포 염색의 원리이다. DAPI는 DNA의 A, T가 풍부한 부분에 결합하여 형광을 발하는 특성이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핵을 관찰할 수 있다. DAPI는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어 고정되지 않은 세포의 핵도 염색할 수 있다. 세포가 고정되면 DAPI의 핵 염색력이 증가하는데, 이는 고정에 의해 염색질이 더 응축되어 DAPI가 쉽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DAPI는 UV광으로 들뜨면 푸른색의 형광을 발한다. 이를 통해 세포의 핵 모양과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세포 사멸이 일어나면 핵의 응축과 분절화가 관찰되어 DAPI 염색을 통해 세포 사멸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DAPI 염색은 살아있는 세포와 고정된 세포의 핵 관찰, 그리고 세포 사멸 진행 과정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1.3. Annexin V, PI, Hoechst 33258의 특성
Annexin V는 phosphatidylserine(PS)과 높은 결합력을 지니는 캴슘의존성 인지질 결합 단백질이다. 세포자연사의 초반 시점에 세포막의 구조가 손상되어 세포 내부에 위치하던 PS가 세포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Annexin V는 PS와 가역적으로 결합한다. 이러한 Annexin V와 PS의 결합 반응을 이용하여 세포자연사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Annexin V와 PS의 결합은 비가역적 반응이 아닌 가역적 반응이므로 데미지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PI(propidium iodide)는 분자량이 668.3946Da인 고분자 물질로, DNA에 끼어들어서 DNA를 형광현미경 상에서 빨강색으로 관찰되도록 염색하는 형광물질이다. PI는 고분자 물질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세포막을 뚫고 DNA를 염색할 수 없지만, 세포막이 손상된 죽은 세포의 DNA에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PI를 이용하여 정상세포, 세포자연사, 세포 괴사 세포 등을 구분할 수 있다.
Hoechst 33258은 살아있거나 고정되지 않은 세포의 핵을 염색하는 파란색 형광 염료로, 이번 실험에서 DAPI를 대체하여 사용되었다. Hoechst 33258은 DAPI에 비해 세포막 투과율이 높아 세포 내부의 핵을 보다 효과적으로 염색할 수 있으며, 세포의 생존율도 더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듯 Annexin V, PI, Hoechst 33258은 각각 세포자연사, 세포 사멸, 세포 핵 염색에 활용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번 실험에서 세포의 생존 여부와 세포 죽음의 유형을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2. 실험 목적 및 방법
2.1. 실험 목적
세포 핵의 모양과 염색 여부 등의 관찰을 통해서 세포의 생존 여부와 세포 죽음의 종류(apoptosis, necrosis)를 구분한다. 세포자연사가 일어나는 동안 세포막에 존재하는 phosphatidylserine(PS)과 결합하는 Annexin V를 이용한 염색 방법으로 세포막의 변화를 관찰한다. 또한 죽은 세포의 핵산을 형광현미경 상에서 붉은색으로 염색하는 핵 염색 시약인 PI와 세포의 DNA와 결합하여 핵을 관찰할 수 있도록 현광현미경 상에서 푸른색으로 염색하는 Hoechst33258을 이용하여 세포 죽음의 종류를 관찰한다.
세포 핵의 모양과 염색 여부 등의 관찰을 통해서 세포의 생존 여부와 세포 죽음의 종류를 구분하고자 한다. 세포자연사가 일어나는 동안 나타나는 세포막의 변화를 Annexin V 염색을 통해 관찰하며, 죽은 세포의 핵산을 PI로 붉게 염색하고 세포의 DNA를 Hoechst33258로 푸르게 염색하여 세포 죽음의 유형을 분석한다. 즉, Annexin V, PI, Hoechst33258 염색법을 활용하여 세포의 생존 여부와 세포 죽음의 종류를 구분하고자 한다. 세포 핵의 모양과 염색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세포의 생존 및 사멸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세포자연사와 세포 괴사의 발생을 구분하고자 한다. Annexin V, PI, Hoechst33258 염색법은 세포 사멸 유형을 구분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세포 염색 및 현미경 관찰 실험을 통해 세포의 생존 여부와 죽음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으며, 세포 사멸 기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세포 사멸 유형에 따른 세포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포자연사와 세포 괴사의 특징을 비교하고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DAPI, Annexin V, PI 등의 염색법이 세포 사멸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세포의 생존 여부와 세포 죽음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세포 핵의 모...
참고 자료
송민경, 권문기, 이정웅, 최예훈, 김태우, 류기성, 나종구, 한구택. (2003). OVCAR-3 세포주에서 Annexin V, Propium Iodide와 Cytokeratin 염색에 의한 고사세포의 측정.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6(7), 1332-1340.
윤선희. "형광염색법을 이용한 drosophila bax inhibitor-1의 세포사멸 조절기전 규명."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1. 서울
성은아.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 편평 태선, 건선, 다형 홍반에서의 세포자멸사 발현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서울
배동준. "FEX-2 단백질의 EGF-like domain repeat의 세포막 포스파티딜세린에 대한 결합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대구
Geoffrey M. Cooper. “세포학 : 분자적 접근.” 국내서 단행본. 월드사이언스, 2015. (p.689-701, 730)
김승업, “세포배양 = Cell culture : 하나부터 열까지 알아보기”, 국내서 단행본, 자유아카데미, 2008 (p.186~ 189)
https://www.ksmcb.or.kr/file/webzine/2010_07_02.pdf (Actin filament)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8317&cid=40942&categoryId=32276 (formaldehyde)
https://ko.wikipedia.org/wiki/%ED%8A%B8%EB%9D%BC%EC%9D%B4%ED%86%A4_X-100 (Triton X-100)
https://blog.naver.com/mpbio/223384041612 (BSA)
https://en.wikipedia.org/wiki/DAPI (DAPI)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82003&cid=62861&categoryId=62861
https://en.wikipedia.org/wiki/Lamellipodiu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568825&cid=61233&categoryId=61233
[네이버 백과사전]
[위키피디아]
[화학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