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1.1. 경제학에서 말하는 '희소'의 개념
1.2.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념
2.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재화의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은 어떻게 되는가?
2.1. 경제학에서 균형의 의미
2.2. 균형 가격
2.2.1. 개념
2.2.2. 소비자 소득 증가 시 변화
2.3. 균형 생산량
2.3.1. 개념
2.3.2. 소비자 소득 증가 시 변화
3.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에 대해 설명하시오
3.1. 무차별곡선
3.2. 예산제약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원의 희소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1.1. 경제학에서 말하는 '희소'의 개념
경제학에서는 희소성의 원칙을 매우 중요하게 다룬다. 이는 사람들의 무한한 욕망에 비해 이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자원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사람들이 경제활동과 관련하여 내리는 의사결정은 이러한 희소성의 원칙에 큰 영향을 받는다. 만약 사람들이 자신의 소득과 관계없이 필요한 것을 무한정 얻을 수 있다면 굳이 소득을 창출하고자 하지 않을 것이다. 희소성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개인마다 생각하는 바가 다르며, 해당 제품의 인기나 수요, 공급량 등 외부적인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1.2. 자원의 희소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개념
기업에서는 수익성을 강화하고 제품을 생산하는 데 투입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희소성의 원칙으로 인해 고가의 사치재 브랜드들은 의도적으로 공급량을 제한하고 아무나 구매할 수 없다는 프리미엄한 이미지를 부여하여 제품의 가격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한다. 또한 백화점에서는 한정된 시간 내에만 세일을 진행하여 사람들의 소비심리를 자극하는 마케팅을 펼치기도 한다.
희소성의 법칙으로 인해 경제학에서는 최소비용 최대효과의 원칙이 나타난다. 최소비용의 원칙은 경비를 최대한 축소하는 것이며, 최대효과의 원칙은 동일한 금액이더라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즉, 최소비용 최대효과의 원칙은 가장 적은 돈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기회비용 역시 희소성과 관련된 경제학적 개념으로, 어떠한 선택을 내릴 때 포기하게 되는 가치를 의미한다. 기회비용에는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이 있다. 일반적으로 기회비용이 더 적은 선택을 내리는 것이 더 합리적인 경제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매몰비용은 이미 발생한 비용으로서 회피가 불가능한 비용이다. 의사결정자는 매몰비용은 무시하고 비매몰비용만을 고려해야 한다. 만약 기업이 제품을 생산할 때마다 수익을 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손해를 보고 있는데도 지금까지 투입된 투자비용 때문에 시장에서 철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2.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재화의 균형 가격과 균형 생산량은 어떻게 되는가...
...
참고 자료
경제교과서 뛰어넘기] (4) 정상재ㆍ열등재와 수요곡선, 박정호 기자, 생글생글,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10050591601
2보] 3월 소비자물가 4.2%↑…상승폭 1년만에 최소, 박원희 및 김다혜 기자,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30404020400002?input=1195m
기초미시경제론, 노형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6
우리 교재
미시경제이론 강의 김성현 저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2015.03.11
미시경제학 이준구(대학교수) 저 | 문우사 | 2019.02.11
KDI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material/
가격관리의 이해 이진희, 황화철 저 | 뜰 | 2012.08.20
핵심 기초미시경제론 (경영 1 무역 1 경제 1) 은하출판사 편집국 저 | 은하출판사 | 2011.02.21
상위 1% 백만장자인 장애인과 하위 1% 빈민가 청년…'무차별곡선'은 달라도 우정으로 서로의 핸디캡 극복, 송영찬, 한국경제, 2020.11.30.
미시경제학, 범문사, 2008
[경제학 원론 산책] 수요·공급 상호작용 통해 균형가격과 균형산출량 결정, 한국경제, 20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