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비자행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소개
2. 지속가능 패션
2.1. 지속가능성과 지속가능 패션의 개념
2.2. 지속가능 패션 사례 및 마케팅
2.3. 지속가능 패션의 소비 현황
3. 소비자 연구
3.1. 소비자의 쇼핑성향
3.2. MZ세대 소비자의 소비 특징
4. 연구 설계 및 방법
4.1. 연구 목적
4.2. 연구 설계 및 분석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소개
서론
최근 국내 및 해외에서도 세대 간 차이(예: MZ세대 vs. 베이붐세대)에 대한 사회적 담론이 증가하고 있다. 세대 간 차이는 주로 세대를 나누는 기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들 간의 가치관, 생활양식, 소비패턴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사회적 담론이 증가하는 이유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먼저, 각 세대가 경험한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변화의 영향으로 가치관 및 행동양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인터넷과 SNS의 발달로 정보의 공유가 쉬워지면서 세대 간 소통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세대 간 갈등이나 이해관계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더불어 경제적으로도 각 세대가 직면한 문제와 소통 수단의 발전으로 인해 세대 간 소득 격차나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담론은 각 세대의 특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대 간의 소통과 이해를 통해 상호간의 이해관계를 강화하고, 세대 간 갈등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세대 간의 협력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세대 간의 이해와 소통을 촉진하는 프로그램 및 정책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세대가 함께 발전하는 사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지속가능 패션
2.1. 지속가능성과 지속가능 패션의 개념
현대 사회는 산업혁명을 거치며 급속한 과학기술의 혁신과 대량생산 체제를 이루게 되었고, 이에 따른 정보 혁명과 인터넷 미디어의 보급은 현대 소비사회의 생활 및 소비 방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패션 산업 역시 대량생산체제가 가능해지고 되었으며 소비자들의 빠르게 변화하는 니즈를 사로잡기 위해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을 선보이게 된다. ZARA, H&M, UNIQLO와 같은 최신 유행을 반영한 저렴한 가격의 상품을 판매하는 세계적인 SPA 브랜드들이 등장하였고, 국내의 경우에도 8 SECONDS, SPAO와 같은 SPA 브랜드들이 등장하여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미국 환경보호국(EPA)에 따르면 의류 및 직물 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0%, 폐수 방출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등 패션 산업이 석유 산업에 이어 두 번째로 지구 환경을 오염시키는 산업임이 밝혀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소비자들의 환경 보호 운동이 일어나고 지구 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2020년의 경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의 발생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자연 환경 및 동물 보호, 기후 변화에 대한 경각심이 커져 지속가능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졌다. 이에 패션 기업에서도 변화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사회적 책임감이 더해져 지속가능성이 선택이 아닌 필수 개념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PRADA(프라다)는 2021년 시그니처 제품인 나일론 소재 가방을 생분해가 가능한 소재인 에코닐(Econyl)로 제작하기로 하였고, GUCCI(구찌)와 SAINT LAURENT(생로랑)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케링그룹은 식물성 비건 가죽인 마일로(Mylo) 개발에 앞장서고 있는 등 세계 명품 브랜드는 지속가능 패션에 앞장서고 있으며, 소비자 또한 지속가능성에 대해 과거에 비해 더 큰 관심을 보인다.
UN은 1987년 '지속가능성(Sustainable)'을 "미래 세대가 자신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현재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개발"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속가능 패션(Sustainable Fashion)'이란 옷의 디자인, 제조, 유통, 나아가 소비와 폐기까지의 과정에 있어 환경과 사회에 미칠 책임과 의미를 염두 한 것이다. 지속가능 패션은 기존 패션 업계에서 자주 쓰이는 '친환경 패션' 또는 '윤리적 패션' 모두 포괄하는 총체적인 개념으로, 단순히 환경에 초점을 둔 이전 친환경적 개념에서 노동자의 인권 문제, 공정무역 등의 사회적 책임감과 소비자의 생활양식 및 행복 가치 등 인류의 문화가치까지 더한 확장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2. 지속가능 패션 사례 및 마케팅
현대 패션 브랜드는 친환경적 소비 트랜드에 대해 기존 패션 브랜드와는 차별화된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다. 일반적인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의 목표가 기업과 소비자의 이익을 병존시키는 데에 있는데 반해, 지속가능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의 경우 기업과 소비자의 이익에 생태학적 자연 및 사회 전체의 이익을 추가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일반 마케팅은 소비자와 공급자 위주의 기업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반면 지속가능 마케팅의 경우 전 인류를 포함한 사회 구성원과 생태계를 모두 고려하여 사회복지 및 환경보존을 통한 인간 전체의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다.
지속가능 패션 브랜드가 시도하고 있는 대표적인 마케팅 전략으로는 인증마크 전략이 있다. 제품의 인증마크는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 및 제품 품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어 제품 구매 의사결정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지속가능 패션 산업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인증마크로는 유기농 섬유 인증마크인 'GOTS', 섬유 제품 품질 인증마크인 'OEKO-TEX', 재생섬유 함량 및 제품 유통정보를 제시하는 'GRS' 등이 있다.
이어 사회적 윤리 실천, 인권 보호, 기부 등과 같은 주제의 캠페인 전략도 패션 기업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기업의 캠페인은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알릴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되며 기업의 이미지를 긍정적...
참고 자료
소비자행동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An, W., & Heo, C. (2016). Effects of Sport Corporate’s Eco-Friendly Activity and Corporate Image,
Brand Image on Brand Attitude. 한국체육학회, 55(6), 393-404
Chae, J. (2020). Consumers' Clothing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Age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ype. 한국의류학회, 44(1), 141-158.
Chae, Y., & Lee, K. (2020). Changes in consumer perception of fashion products in a pandemic
- Effects of COVID-19 spread. 복식문화학회, 28(3), 285-298.
Choi, M., & Choi, S (2008). Cosmetic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College
women’s shopping orientation.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8(1), 117-133.
Chor, M. (2021, February, 12). "Mining Out" has evolved from a good consumption to a
consumption movement and trend. Retrieved May 23, 2021. From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14745
Doopedia [Website]. (n.d.). Retrieved from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
81218001599519
Goh, E. (2015). Sustainable fashion brand marketing. Seoul: Kyomoonsa.
Han, G. (2011). Are fashion-conscious consumers more likely to adopt eco-friendly clothing?.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5(2), 178-193.
Han, S. (2014). A Study 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Clothing Flight and Slow Fashion.
한국가정관리학회, 27(3), 61-77.
Han, T., & Cho, K.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ategies and Fashion Styles in Fast
Fashion.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4(5), 21-34.
Hong, S., & Kim, M. (2021). A Study on Communic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조형미디어학, 24(1), 113-120.
Hyun, H. (2021, February, 10). Are you interested in Eco Fashion?. Fashion Insight. Retrieved
May 23, 2021. From http://www.fi.co.kr/mobile/view.asp?idx=70843
Jee, H. (2013). The influences of Shopping Orientation and lmpulse Buying Oreientation on
Internet Shopping Addiction to Fashion Products.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2). 27-40.
Joo, S., & Jung, M. (2014). A study on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 pro-environment
and purchasing behavior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for green marketing strategy.
복식문화학회, 22(4), 511-525.
Jung, S (2013). The sustainability of consumer-oriented fashion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Kam, S. (2019). A Study on Sustainable Fashion Product Using Korean Image and 3D
Printing.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7(2), 53-68.
Kam, S., & Yoo, Y. (2020). A Study on Sustainable Fashion Design Using Units of Nature Image.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4), 143-159.
Kang, M. (2020, April, 14). The fashion industry’s desire to tackle environmental group on
everything. Segye Times. Retrieved May 01, 2021. From
https://www.segye.com/newsView/20210414510143?OutUrl=naver
Kim, B (2011). A Study on the Roles of Fashion Designers in Collaboration of Fashion
Industry: Focusing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guk University, Seoul, Korea.
Kim, D. (2021, February, 2). 2021 US consumption trends. Retrieved May 11, 2021. From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
&dataIdx=187014
Kim, J. (2020). A study on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fashion
orie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Kim, K. (2014). A Study on Consumer Consciousness Survey of Sustainable Fashion.
한복문화학회, 17(3), 93-107.
Kim, N. (2020). Effects of Fashion Shopping Orientations and Importance of Fashion
Applica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S. (201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and Shopping Orientation for 20-30s'
Male Shoes. 디자인연구소, 11(1), 35-46.
Kim, S., & Lee, J (2019).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Fashion
Product Certification Mark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2), 67-78.
Kim, T. (2020, December 11). Gucci bag, plastic bottle clothes made of mushrooms. Maeil
Business News. Retrieved May 01, 2021, from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12/1275564/#reple
Kim. Y., & Park, Y. (2017). Comparing the Effects of Product Certification Mark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8), 162-174.
LEE, E (2010). A Study on the Eco-friendly Marketing Strategy of the Fashion Indust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on University, Daejon, Korea.
Lee, J. (2021, April, 15). "Retaliation Consumption" in front of MZ, Fashion and Beauty New
Normal Strategy Farther. Retrieved May 21, 2021. From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28035
Lee, Y. (2021, April, 1). "Zero-Waist to Vegan" generation MZ's wide Mining Out consumption.
Retrieved May 23, 2021. From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82064
Lee, S. (2019).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Internet shopping mall in 50s.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9, 207-
225.
Moon, Y. (2020, December 29). What if fashion is out of trend, sales increas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ecrease. Sports Dong Ah. Retrieved May 01, 2021. From
https://shindonga.donga.com/3/all/13/2323288/1
Seok, H., & Lee, E. (2013). The Value, Knowledg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of Fashion Consumers. 한국의류학회, 37(3), 424-438.
Shin, H (2011). A Study on Sustainability as Megatrends in the Fashion Indust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Song. S., & Jang, S. (2021). An Identification of Determinants to Ambivalent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Luxury Brand Expanded Cosmetic for MZ Generation.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3), 44-67.
Suk, H., & Lee, E. (2013). A Study on value, knowledg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behavior
of fashion consumers. 한국의류학회지, 37(3), 424-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