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사,뿌리깊은이야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궁예 선정 이유
1.2. 궁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배경
2. 본론
2.1. 궁예의 일생
2.1.1. 궁예 출생기
2.1.2. 궁예 세력 신장기
2.1.3. 궁예 세력 쇠퇴기
2.2. 궁예의 정책
2.2.1. 신라에 대한 적대감
2.2.2. 국호의 변경
2.2.3. 자주적 연호 사용
2.2.4. 궁예의 호족 정책
2.2.5. 미륵(정토) 신앙과 관심법
2.2.6. 농민 정책
2.3. 궁예에 대한 기존 인식
3. 결론
3.1. 궁예에 대한 재해석 및 재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궁예 선정 이유
다음과 같은 이유로 궁예를 선정하게 되었다. 첫째, 미디어에서 발생한 신조어 '궁예질'로 인해 역사적 인물에 대한 편견적 사고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궁예가 관심법을 사용하는 장면이 '궁예질', 즉 근거 없이 추측하고 판단하는 행위를 비꼬는 용도로 쓰이면서 궁예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흘러갔다. 둘째, 궁예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역사 인물에 대한 평가가 통일되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궁예의 경우 정치적 패배로 왕건 왕조의 교체에 대한 당위성을 주는 방향으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후고구려 정권이 이어졌다면 궁예에 대한 평가가 달랐을 수 있다는 점에서 궁예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
1.2. 궁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배경
궁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배경이다. 현대에 들어서며 인터넷 사회가 활성화되자 역사를 접하는 통로가 영화, 드라마, SNS, 소설 등 매우 다양해졌다. 대중들은 학교 수업 외에도 다양한 영상매체를 통해 쉽고, 친근하게 역사 지식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궁예가 관심법을 사용하던 장면이 '궁예질' 다른 사람이나 유명인의 속내를 지레짐작해 근거 없이 멋대로 추측, 판단하는 행위를 비꼬는 용도로 쓰이며, 주로 부정적 상황에서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궁예의 이미지 또한 부정적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역사는 인간 활동으로 형성되고 기록되었기 때문에 역사 인물에 대한 평가가 통일되지 않거나 한쪽으로 견해가 쏠려 과장되는 경우가 있으며, 전성기의 궁예는 왕건보다 강한 권력을 가졌음에도 정치적으로 패배함으로써 궁예의 역사 또한 왕건 왕조로의 교체에 대한 당위성을 주는 방향으로 해석됐다는 것이다.
2. 본론
2.1. 궁예의 일생
2.1.1. 궁예 출생기
궁예(弓裔)는 김씨 성의 신라인으로 제47대 헌안왕 혹은 제48대 경문왕의 아들이다. 그는 출생 당시에 나타난 상서로운 일들로 인해 왕에게 버림받아 애꾸눈이 되고 유모에 의해 길러지게 되었다. 즉, 궁예는 신라 왕실 출신 진골 귀족이었으나 왕에게 버림받아 유모에 의해 길러졌다는 것이다.
2.1.2. 궁예 세력 신장기
궁예는 10살이 되었을 무렵 유모에 의해 자신이 낙향 진골 귀족임을 알게 되자 강원도 영월 세달사로 출가해 승려가 되었다. 중앙 정부의 힘이 약해지고 혼란스러운 신라 말 정치 상황을 틈타 절을 나서고 죽주에 자리한 기훤의 밑으로 들어갔다. 기훤에게 중용되지 못하자 불만을 품고 북원에 자리한 양길의 부하가 되어 명주를 손에 넣고 장군으로 추대되었다. 이후 양길에게서 벗어나 강원도 일대에 독자적 세력을 형성하고 901년에 후고구려를 건국하였다. 궁예는 송악을 장악하고 있던 왕건 가문을 흡수하여 중부지방 대부분을 그의 세력으로 만들어 전국의 2/3가량을 차지하며 큰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2.1.3. 궁예 세력 쇠퇴기
궁예는 자신을 임금, 미륵불이라 칭하며 관심법을 통해 무자비한 살인...
참고 자료
홍창우, 2022, “삼국사기의 궁예 가계 및 출생 관련 정보에 대한 후대의 수용 방식 문제”,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제 199집
김주성, 2019, “궁예와 고려 태조의 농미정책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보 제47호
『삼국사기』 권50, 列傳10, 甄萱
궁예 (弓裔), n.d, 한국미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6789
매거진 환경, ‘선조왕릉의 카카오맵 별점은 왜 1.4인가 [이명지의 IT뷰어]’ 中
선조실록 93권, 선조 30년 10월 20일 정축 1번째기사
선조실록 29권, 선조 25년 8월 2일 기축
선조실록 27권, 선조 25년 6월 24일 임자 1번째기사
선조 36년 6월 26일 신해 2번째기사
‘호성공신 별교서’ 中
이한우『선조 조선의 난세를 넘다』, 해냄, 2007, p.8. ;『함규진 선조 나는 이렇게 본다』, 보리 한국사, 2012, p.19.
이수광,『지봉유설』권15,「인물부인재」
정만록. 이호응 역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기록유산 Encyves’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