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1.1. 전래동화와 환상동화 장르에 해당하는 좋은 그림책 선정 및 분석
1.2. 2019 개정 누리과정 '나를 알고 존중하기' 내용범주와 관련된 그림책 분석
1.3. 반응중심문학교육의 목적과 특징, 반응중심문학활동 계획안 작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1.1. 전래동화와 환상동화 장르에 해당하는 좋은 그림책 선정 및 분석
전래동화는 "구연되어 내려오다가 문자로 정착된 문학작품"이다. 전래동화에는 어문학적 특징이 많이 첨가되어 있으며 구전되는 과정에서 여러 사람들의 정서가 반영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전래동화는 학문적 특성과 더불어 심리적 측면도 많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전래동화는 인간의 내적인 부분에도 큰 효과를 줄 수 있다.
전래동화는 인간 삶의 다양한 상황에서 펼쳐지는 문제를 본인의 관점에서 인식, 관찰, 추론하고 주위 환경 및 세계와 연관해 타인의 관점과 비교, 분석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전래동화에서는 효율적 절차와 적합한 판단을 통해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노력이 중요한 소재가 된다. 이처럼 전래동화는 전체적 맥락 안에서의 사고를 중요하게 여기며, 동양적 사고의 결정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전래동화는 지식보다는 지혜를 추구하는 직관적 사고를 반영하며, 귀납적 방법보다는 추상적 개념과 이론에 일차적 중요성을 부여하는 연역적 사고의 특징을 지닌다.
반면 환상동화는 현실 세계에서 발견할 수 없는 상상력의 세계로 독자를 초대한다. 환상동화는 때로는 심오한 삶과 죽음의 의미, 선과 악의 대결 등 인간성의 본질적 문제를 다루기도 하지만, 가벼운 유머 등도 다룰 수 있다. 좋은 환상동화는 흥미로운 이야기 전개, 잘 묘사된 인물과 구성, 주제 등을 포함한다. 환상동화의 특징으로는 인간을 비롯한 초현실적 존재의 등장,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자유로운 배경, 논리성을 갖춘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이처럼 환상동화는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유아의 상상력과 창의력 향상에...
참고 자료
아동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공인숙 외, 아동문학, 양서원, 2018.
석선유,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다중문식성 교육 연구 : 소가 된 게으름뱅이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유상미, 환상그림책의 특성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박미령, 긍정적 자아개념과 관련된 유아용 그림동화책 내용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한은형, 유아 대상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0.
안숙경, 반응중심 문학활동에 기초한 유아문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배재대학교, 2019.
김빛나,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과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 비교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유영소(글) · 전인성(그림), 토끼와 자라, ㈜애플비북스, 2022.
황선미(글) · 김환영(그림), 마당을 나온 암탉, 사계절, 2002.
나카야 미와(글) · 나카야 미와(그림), 까만 크레파스, 웅진닷컴, 2002
김미애, 내 몸은 소중해! (일 년 내내 안전한 생활-10 ), 아르볼, 2016.
아동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김유리, 전래동화를 활용한 균형적 미술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미적반응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제갈미현, 환상동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박분미,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감정표현 및 조절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2014.
안숙경, 반응중심 문학활동에 기초한 유아문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배재대학교, 2019.
최경순, 반응중심 문학학습이 아동의 문학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0
유상미, 환상그림책의 특성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김진(글) · 최선화(그림), 소가 된 게으름뱅이, ㈜애플비북스, 2022.
백희나, 장수탕 선녀님, 책읽는곰, 2012.
최숙희, 네 기분은 어떤 색깔이니?, 책읽는곰. 2023.
윤문영, 할아버지 방패, 파랑새어린이, 2014.
아동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이춘희 외, 아동문학교육 (창의성 향상을 위한 이론과 실제), 태영출판사, 2010.
공인숙 외, 아동문학, 양서원, 2018.
서정숙 외, 그림책 읽어 주기의 실제, 창지사, 2016.
변정원, 해님의 휴가, 보림, 2018.
김미혜 외,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비룡소, 2014.
앤서니 브라운, 기분을 말해 봐!, 웅진주니어, 2011
박기영, 쓰레기가 쌓이고 쌓이면..., 웅진주니어,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