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긍정심리학이란 무엇인가?
긍정심리학은 불안과 우울,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감정보다 개인의 강점과 미덕 등 긍정적 심리에 초점을 맞추자는 심리학의 새로운 연구 동향이다. 기존의 심리학이 정신질환 치료와 같이 삶을 불행하게 하는 심리 상태를 완화하는 데에만 치중했다는 반성에서 시작되었다. 긍정심리학은 미국에서 하버드대 등 100여 개 대학에서 정식 강좌가 시작되었으며, 왜 물질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행복지수가 늘어나지 않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긍정심리학자들은 행복의 참모습과 행복을 증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행복은 삶에서 오는 평온감과 안락함을 뜻하며, 경제적 풍요나 지식, 권위 등 외부 조건보다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결혼, 가족의 유대, 우정, 정신적 활동, 자존심, 희망 등과 관련이 있다. 행복은 유전적으로 결정되기도 하지만 후천적으로도 계발시킬 수 있다. 또한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이 안정적이고 자신을 위협하는 조건이 없어야 하며, 적절한 목표 설정, 감사 훈련, 몰입 체험 등이 중요하다.
1.2.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이란, 불안과 우울,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감정보다 개인의 강점과 미덕 등 긍정적 심리에 초점을 맞추자는 새로운 심리학 연구 동향이다. 기존의 심리학이 정신질환 치료와 같이 삶을 불행하게 하는 심리상태만을 완화하는데 치중했다는 반성에서 시작되었으며, 마틴 셀리그만에 의해 창시되었다.
현재 미국에서는 100여 개 대학에서 긍정심리학에 관한 정식 강좌가 개설되고 있다. 셀리그만은 지난 30년간 우울증을 연구해 온 학자로서, 구매력이 늘어나고 전쟁에 의한 사망률이 줄어듦에도 불구하고 행복지수는 늘어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연구해왔다. 그는 이를 물질적 풍요를 잘못 사용해서 발생한 현상이라고 보았다. 즉, 아이스크림을 처음 먹었을 때는 달콤하지만 계속 먹다 보면 맛에 무덤덤해지듯이, 물질적 풍요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셀리그만은 행복의 3대 조건으로 '즐거움, 몰입, 삶의 의미'를 꼽았으며, 행복은 누가 가르쳐주거나 훈련시키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발견과 창조를 통한 자기화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긍정심리학자들은 행복을 느끼는 정도가 유전적으로 결정되기도 하지만 후천적으로 계발시킬 수 있다고 강조한다. 또한 행복해지려면 주변 환경이 안정적이고 자신을 위협하는 조건이 없어야 하며, 이를 위해 명상과 이완요법 등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긍정심리학자들은 행복의 참모습과 행복을 증진하는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일반적으로 행복은 삶에서 오는 평온감과 안락함을 뜻하지만, 경제적 풍요, 지식, 권위, 좋은 날씨 등 외부 조건이 행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행복은 사랑하는 사람과의 결혼, 가족의 유대, 우정, 정신적 활동, 자존심, 희망 등과 관련이 있다. 또한 행복을 느끼는 정도는 유전적 요인도 작용하지만, 후천적으로 계발시킬 수 있다. 목표는 개인의 관심과 가치가 반영된 것이어야 하며, 위협이나 죄의식, 주위의 압력이 만든 목표는 성취해도 행복을 느끼기 어렵다. 매사에 감사하는 훈련, 타인의 훌륭한 면을 보거나 우연히 선행을 하는 '고양' 과정, '몰입'을 통해 순수한 즐거움을 체득하는 것 등이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계기가 된다.
1.3. 긍정심리학의 발전과 적용
긍정심리학은 지난 30년 동안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처음에는 주로 미국에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많은 대학에서 정식 강좌로 개설되고 있다. 긍정심리학은 기존의 심리학이 정신질환 치료와 같은 부정적인 면에만 집중해왔다는 반성에서 출발하였다.
긍정심리학은 개인의 강점과 미덕, 긍정적인 심리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마틴 셀리그만은 행복의 조건으로 '즐거움, 몰입, 삶의 의미'를 제시하며, 우울하고 스트레스받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긍정적인 요소를 발견하고 활용할 것을 조언한다. 또한 개인의 노력과 의지를 통해 행복을 만들어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
긍정심리학은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 차원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낙관주의자들의 경우 직장에서 더 성과를 내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따라서 기업들은 낙관주의자를 선별하여 채용하고 있으며, 조직 구성원들의 낙관주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