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receed-procede 모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PRECEDE-PROCEED 모형이란?
2.1. 발전과정
2.2. PRECEDE-PROCEED 단계
3. 흡연과 건강과의 상관관계 및 금연의 중요성에 대한 PRECEDE 단계 적용
3.1. 사회적 진단
3.2. 역학적 진단
3.3. 행위 및 환경적 사정
3.4. 교육 및 생태학적 사정
3.5. 행정 및 정책 진단 및 중재구성
4. 흡연과 건강과의 상관관계 및 금연의 중요성에 대한 PROCEED 단계 적용
4.1. 실행
4.2. 과정평가
4.3. 영향평가
4.4. 결과평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흡연과 건강과의 상관관계 및 금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부와 지역사회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금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담배의 위해성이 대두되며 사회에 미치는 해악과 부담이 보건학적인 문제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세계보건기구는 담배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초로 2005년에 법적 강제성을 지니는 담배규제기본협약을 제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담배규제기본협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담뱃값 인상, 금연구역 확대, 금연 캠페인 및 지원 서비스 확대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가 제시한 국제적 지침과 비교하면 아직 부족한 수준이다. 따라서 PRECEDE-PROCEED 모형을 활용하여 흡연과 건강의 상관관계 및 금연의 중요성에 대해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2. PRECEDE-PROCEED 모형이란?
2.1. 발전과정
PRECEDE-PROCEED 모형의 발전과정은 다음과 같다.
1980년에 Green과 Kreuter가 PRECEDE 모형을 제시하였고, 1991년에 정책, 규정, 조직, 환경 등의 새로운 요소를 추가한 PROCEED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인구집단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며, 건강증진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1999년에는 생태학적 요인들이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존의 '교육, 조직적 사정 단계'를 '교육 생태학적 사정 단계'로 수정할 것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이 PRECEDE-PROCEED 모형은 1980년대 초반에 처음 소개된 이후 점차 발전해 왔으며, 건강증진 사업 기획을 위한 대표적인 모델로 자리 잡았다.
2.2. PRECEDE-PROCEED 단계
PRECEDE-PROCEED 모형은 건강증진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형으로, 1980년에 Green과 Kreuter가 PRECEDE 모형을 제시하였고, 1991년에 PROCEED 모형을 추가하였다. 1999년에는 생태학적 요인들이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존의 '교육, 조직적 사정 단계'를 '교육 생태학적 사정 단계'로 수정하였다.
(1) 사회적 사정단계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요구와 삶의 질을 이해하기 위한 단계로, 객관적 측정 지표와 주관적 측정 지표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요구와 삶의 질을 사정한다.
(2) 역학적 사정단계는 사회적 사정단계에서 규명된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건강문제와 건강목표를 규명하고, 건강문제 및 목표의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3) 행위 및 환경적 사정단계는 전 단계들에서 확인된 삶의 질과 건강행위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통제할 수 있는 전반적인 행위와 사회적 및 물리적 환경요인을 분석한다. 행위사정의 단계에서는 건강문제 관련 요인들을 행위 및 비행위 요인으로 분류하고, 행위를 예방행위와 치료행위로 분류하며, 행위를 중요도와 가변성에 따라 분류한다. 환경사정의 단계에서는 변화할 수 있는 환경요인을 밝히고, 중요도와 가변성에 따라 환경요인을 분류한다.
(4) 교육 및 생태학적 사정단계에서는 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성향요인, 촉진요인, 강화요인으로 나눈다. 성향요인은 인지, 지식, 신념, 태도, 가치, 의도, 자기효능 등을 포함하고, 촉진요인은 지역사회의 자원 이용가능성과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등을 포함한다. 강화요인은 동료의 영향, 사회적 지지,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피드백 및 충고, 신체적인 결과 등을 포함한다....
참고 자료
임민경 외, 「세계 담배규제 정책의 흐름과 한국의 현황」, J Korean Med Assoc, 2018.03.
비즈앤라이프팀,「금연 성공하면 삶의 질 높아져」, 경향신문, 2015.07.02.
감신, 「금연정책과 사회적 효과」, Cancer Prevention Research, 2005.
조재민, 「OECD 흡연률 상위권 한국…흡연과 치매 연관성 경각심 필요」, 디멘시아 뉴스, 2019.08.16.
박철응,「한국인 130만명 19년 역학조사… 흡연자, 암 걸릴 확률 최고 6.5배」, 경향신문, 2013.08.27.
김소라 외, 「한국 남성에서 흡연 시작과 금연에 관여하는 사회 경제적 요인」, Korean J Fam Med, 2009.
김영임·박영임·이규영 (2008·2013·2019), 『보건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정은경 (2020), 『지역사회 당뇨병 예방·관리 프로그램』, 질병관리본부
이채원 (2008), 「성인당뇨병환자의 건강수준 및 질병관리장애요인」, 『한국사회복지학』제60권 제4호
질병관리청 정책정보 만성질환예방관리, kdca.go.kr, 2022.05.28.
통계청 당뇨병 유병률, kosis.kr, 2022.05.28.
이재혁기자, “당뇨발, 저소득층일수록 족부절단 5.13배↑...사망률 2.65배↑”, 메디컬투데이, 2021.09.02.,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35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