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렴(Pneumonia)의 정의
폐렴(Pneumonia)은 폐실질조직의 급성 염증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발생한다. 감염성 폐렴과 흡인성 폐렴으로 나뉘며, 폐 증상과 함께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X-ray, CT, 배양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치료와 대증요법이 필요하다. 호흡 기능이 저하되어 기계 환기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2. 폐렴의 원인
바이러스성, 세균성, Mycoplasma성, 이물질의 흡입, 조직진균(histomycosis), 콕시디오이디즈 진균증(coccidioidomycosis), 그리고 진균류(fungi) 등이 폐렴의 원인이다.
바이러스가 폐렴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균이며, 대표적으로 영아에서 RSV, 나이든 아동에서 parainfluenza, influenza 및 adenovirus 등이 있다.
세균성 폐렴의 원인균으로는 폐렴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group A streptococcus,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catarrhalis 및 용혈성 인플루엔자 등이 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이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의 주된 원인균이다.
중증 급성 호흡증후군의 원인은 H5와 H7의 subtype의 조류독감 바이러스이다.
3. 폐렴의 분류
3.1. 침범된 부위에 따른 분류
3.1.1. 대엽성 폐렴(lobar pneumonia)
대엽성 폐렴(lobar pneumonia)은 한 폐엽의 전부 또는 일부가 침범되는 폐렴이다. 양쪽 폐 모두가 침범되면 양측폐렴(bilateral pneumonia) 혹은 이중폐렴(double pneumonia)이라 한다. 대엽성 폐렴의 전형적인 증상은 갑작스러운 고열, 오한, 기침, 흉통, 호흡곤란 등이다. 타진 시 탁음이 나타나며 청진 시 호흡음이 감소된다. 흉부 X선 검사에서는 한 엽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밀집된 침윤상으로 나타난다. 대엽성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이며, 이외에도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등이 원인균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항생제 치료에 잘 반응하지만 노령이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심각한 경과를 거칠 수 있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와 함께 산소요법, 수액공급, 진토제 등의 대증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수분공급이 중요하며 필요시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합병증으로 농흉, 폐농양, 뇌수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권장된다.
3.1.2. 기관지폐렴(bronchopeumonia)
기관지폐렴(bronchopeumonia)은 말단 세기관지에서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