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 완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09.02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간호 완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완주군 지역사회 특성
1.1. 지리적 특성
1.2. 행정구역 및 역사
1.3. 기후 및 지형
1.4. 교통
1.5. 인구 분포
1.6. 가구 분포
1.7. 경제 활동
1.8. 재정 및 지역 경제

2. 인구학적 특성
2.1. 인구수 및 연령별 분포
2.2. 인구 이동 추이
2.3. 출생률 및 사망률
2.4. 부양비
2.5. 종족 구성

3. 환경적 특성
3.1. 주택 현황
3.2. 대기 및 수질 오염도
3.3. 주요 산업 및 경제활동
3.4. 식수공급 및 폐기물 관리
3.5. 난방 연료
3.6. 질병 매개체
3.7. 사고 위험성

4. 건강 관련 특성
4.1. 건강 상태
4.2. 생활 습관
4.3. 보건의료 이용
4.4. 질병 치료 및 예방 행위
4.5. 건강문제에 대한 주민 인식

5. 지역사회 자원 특성
5.1. 인적 자원
5.2. 보건의료기관
5.3. 사회복지시설
5.4. 행정 및 교육 자원
5.5. 주민 참여 및 의사소통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완주군 지역사회 특성
1.1. 지리적 특성

완주군은 전라북도의 중앙에 위치하여 전주시를 둘러싸고 있다. 완주군의 동쪽은 주능선을 경계로 진안군과 충청남도 금산군과 접하고 있으며, 서쪽은 익산시와 김제시, 남서쪽은 정읍시, 남쪽은 임실군, 북쪽은 충청남도 논산시와 금산군과 접하고 있다. 완주군은 동서로 36Km, 남북으로 71Km의 거리를 가지고 있다. 완주군 내부는 산악이 기복하여 고덕산과 모악산이 둘러싸고 있으며, 서북방은 옥약천리로 전북평야에 연결되어 있다. 소양천, 고산천, 삼천천 등이 서북방을 관류하여 만경강으로 유입되고 있다. 완주군의 지리적 특성상 전주시 주변의 기후와 유사하며, 서쪽이 남부 서해안형 기후, 동부 산악지대가 내륙형 기후를 나타낸다. 전주지방을 둘러싼 지역의 기온은 남북보다 동서의 차이가 크다. 완주군은 전주를 중심으로 4통 5달의 도로망이 발달하여 군산, 서울, 부산 등으로 통하는 국도와 지방도가 연결되어 있으며, 전라선 철도가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한 편이다.


1.2. 행정구역 및 역사

완주군은 전라북도 중앙에 위치한 군으로, 15세기 마한 시대에는 전주주(全州州)였으며 백제 시대에는 완산주(完山州)로 불렸다.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전주(全州)로 개칭되었다. 1935년 10월 1일 완주군이 전주부에서 분리 독립하여 설치되었다. 1956년에는 삼례면이 삼례읍으로 승격되었고, 1957년 11월 6일에는 초포면과 우천면 일부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 1983년 2월 15일에는 상관면 일부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 1987년 1월 1일에는 용진면과 구이면 일부가 전주시에 편입되었고, 1990년 8월 1일에는 이서면 일부가 전주시에 편입되었다. 1994년 12월 26일에는 김제군 용지면 금계리가 완주군에 편입되었다. 2005년 10월 28일에는 전라북도 혁신도시 이서면 일원이 신청되었으며, 2012년 7월 2일에는 군청사가 완주군 용진읍 지암로 61로 이전하였다. 2015년 10월 1일에는 용진면이 용진읍으로 승격되었다.


1.3. 기후 및 지형

완주군의 기후는 전주지방의 기후 특성과 유사하며, 서쪽은 남부 서해안형 기후에 속하고 동부 산악지대는 내륙형 기후에 속한다. 따라서 서쪽 지역은 서해의 영향을 받아 기온의 연교차가 적고 강수량이 적은 편이며, 동쪽 내륙지방은 서해안지방에 비해 기온의 한서의 차가 심하고 동절기는 건조하며 여름철은 고온 다습하다. 완주군의 연평균 기온은 13.3℃로 인근 지역보다 높은 편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313.1mm로 인근 지역보다 적다. 바람은 비교적 약한 편으로 연평균 풍속은 1.6m/s이다. 지형적으로 완주군은 산악이 기복하여 고덕산과 모악산이 둘러싸고 있으며, 서북방은 옥약천리로 전북평야에 연결되어 있고 소양천, 고산천, 삼천천 등이 만경강으로 흘러든다.


1.4. 교통

완주군의 교통 체계는 전주를 중심으로 매우 발달해 있다. 완주군은 전주지역의 주변 군으로 전주시와 밀접하게 연결된 도로체계를 가지고 있다. 완주군의 주요 교통 수단은 도로와 철도로, 17번과 26번, 27번 국도가 완주군 내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전라선 철도가 완주군 내를 남북으로 가로지르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특히 완주군 내에는 호남고속도로와 익산-포항 고속도로, 순천-완주 고속도로 등 고속도로가 지나가고 있어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고 있다. 버스는 1시간~1시간 30분 간격으로 삼례, 봉통, 용진, 소양, 구이, 상관 및 고산, 비봉 등으로 밤 10시 50분까지 운행되고 있다. 이처럼 완주군은 전주를 둘러싸고 있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교통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어 타 지역과 연결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1.5. 인구 분포

완주군의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 2021년 10월 기준 완주군의 총인구는 91,093명이며, 남자 46,840명, 여자 44,253명이다. 읍면별로는 봉동읍이 26,384명으로 가장 많고, 삼례읍 14,297명, 이서면 14,240명 순으로 나타났다. 경천면이 966명으로 가장 적은 인구를 가지고 있다.

지난 5년간 완주군의 인구수는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다. 2016년 97,340명에서 2017년 98,528명, 2018년 98,002명으로 증가하다가 2019년 96,212명, 2020년 95,834명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처럼 완주군의 총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저출산과 인구 유출에 따른 자연감소와 사회적 감소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17년 이후 지속적인 인구 감소는 완주군이 농촌도시로서 겪는 인구 문제를 보여주고 있다.


1.6. 가구 분포

세대 수는 2019년 12월 31일 기준 41,800세대이다. 주택 거처의 종류를 보면 단독주택이 5,012호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아파트 124호, 연립주택 10호, 다세대주택 2호 순으로 나타났다. 20세 미만 가구주 가구, 부자 가구, 모자 가구, 고령자 단독가구, 고령자 부부 가구 등 다양한 유형의 가구가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고령자가 포함된 가구가 5,248세대로 전체 가구의 12.5%를 차지하고 있어, 고령화 사회에 따른 가구 구조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1.7. 경제 활동

완주군의 경제 활동은 다음과 같다. 완주군은 전국적으로 지역총생산(GRDP) 부문에서 최고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2011년 3조 296억 원이었던 지역총생산(GRDP)이 2016년에는 4조 6,584억 원으로 급증하며,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 13.4%를 기록하며 전북 14개 시군 중 1위에 랭크되었다. 따라서 완주군은 전라북도를 뛰어넘어 전국적으로도 최고의 군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전국 228개 기초단체 순위로 볼 때 24위에 오르는 등 전북에서 유일하게 상위 30위권 안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완주군은 "완주의 금빛 질주"라는 긍정적 평가를 얻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양극화 해소와 공공의 이익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협력과 호혜를 바탕으로 생산, 교환, 분배, 소비가 이루어지는 사회적 경제 시스템을 도입해 경제위기 극복과 지역 회생에 힘쓰고 있다."이다.


1.8. 재정 및 지역 경제

완주군의 재정 규모는 전라북도 군 단위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완주군의 지난해 예산은 6,605억 원 중 5,674억 원을 집행하여 85.9%의 높은 집행률을 달성하였다. 행정안전부 지방재정집행 평가에서 2년 연속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효율적인 재정 활용이 완주군의 강점이다.

완주군은 재정자립도가 21.6%로 전라북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완주군의 일반회계는 6,671억 원이며, 특별회계는 433억 원 규모를 가지고 있다. 특별회계 중 상수도 사업 71억 원, 의료급여기금 15억 원, 농촌소득사업지원 39억 원 등을 포함하는 기타 특별회계는 125억 원이다. 완주군은 정부평균 집행률 84%를 크게 상회하는 85.9%의 높은 집행률을 달성하여 효율적인 재정 운영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완주군은 완주 테크노밸리 사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완주군은 2013년부터 7개의 공공기관이 완주군에 이전함에 따라 공공기관의 상주로 인한 일자리 창출, 생산성, 부가가치 등의 효과가 기대되는 등 도시 발전을 전망할 수 있다. 완주군 산업구조 통계를 살펴보면 제조업이 전체 종사자의 41.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4...


참고 자료

기상청 날씨누리/ https://www.weather.go.kr/weather/climate/average_regional07.jsp
완주군청/ https://www.wanju.go.kr/index.wanju?contentsSid=3505
완주군 문화관광/ https://www.wanju.go.kr/tour/index.wanju?menuCd=DOM_*************00000
지역경제 성장률 1위 ‘완주’/2019.10/전라매일/
http://www.e-jlmaeil.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177&idx=170701
2020년완주군청년통계결과보고서
통계청/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완주군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wanjugun/221129277751
완주군, 노년 부양비 34명…성인 1.8명이 1명 부양 한다/ 2021년 08월/ 전북도민일보/
https://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9397&sc_section_code=S1N1
화상벌레, 동남아에서 유입된 외래종?/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50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https://www.kosha.or.kr/kosha/index.do
완주군의 산업/ 두산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82231&cid=40942&categoryId=3186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