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다른 방식으로 보기
1.1. 책 소개
다른 방식으로 보기 책소개
사진이론가 이자 미술평론가인 존 버거가 1972년 집필한 "다른 방식으로 보기"에서는 1차원적인 미술감상법을 넘어 미술감상법에 대한 새롭고 깊이있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우리가 고정관념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미술작품의 개념에서 더 나아가 현대시대로 변화하는 개념을 적용하여 새롭게 해석할 수 있게 해주었다. 미술평론가 이자 사회비평가인 존 버거가 저술한 이 책은 총 7장의 목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책에서 제시하는 관점이 현대시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기존의 고정관념에 대해 직시하게 해주고 이러한 고정관념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에 대한 방법을 알려준다. []
1.2. 책 내용 요약
책의 초반부에서 작가는 해가 뜨고 지는 것을 예로 들며 보는 것과 아는 것이 결코 정해져있지 않다고 말한다. 우리는 해가 지평선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지만 지구가 태양주위를 도는 것을 알고 있으며, 보는 광경과 아는 지식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늘날의 이미지들은 재창조되거나 재생산된 시각들이며, 특정한 장소와 순간의 사물의 모습을 보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이미지는 하나의 보는 방식을 구현하고 있기에, 어떤 이미지를 보고 어떻게 평가하는 것은 관찰자의 방식에 달려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과거의 미술을 볼 때, 우리는 역사 속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지만, 누군가 방해를 하면 우리는 역사를 박탈당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특권을 지닌 소수의 지배계급이 자신들의 역할을 정당화하기 위해 어떤 역사를 새로 꾸며내거나 왜곡하려는 신비화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한다.
책의 중반부에서는 남녀의 각기 다른 사회적 지위가 미술에까지 영향을 미쳐, 남자가 여자를 보고 여자는 남자가 보는 그녀 자신을 보는 누드화 범주가 생겼다고 말한다. 이러한 누드화는 예술이 아닌 삶에서 경험하는 섹슈얼리티와 관련이 있으며, 남성의 성적 욕망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그려진 것이라고 비판한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태도와 가치가 각종 미디어에서 여전히 표현되고 있으며, 여성의 이미지가 사용되는 방식에 대한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한다.
2. 인상깊었던 내용
2.1. 여성의 사회적 존재와 누드화
과거 여자로 태어난다는 것은 주어진 한정된 공간에서 남자들의 보호, 관리 아래 태어난다는 것을 의미했다. 여자들의 사회적 존재는 이렇게 제한된 공간 안에서 보호 관리를 받으며 그들 나름의 생존을 위한 노력의 결과로 이룩된 것이다. 그러나 이 결과 여자는 계속해서 스스로를 감시하고 감독하게 되었다. 바꿔 말하면, 여성 본인들조차도 자신을 시선의 대상으로 바꿔놓게 되었다.
서양 미술사에서 여성을 시선의 대상으로써 활용한 예시는 차고 넘친다. 상당수의 경우, 화가가 여성의 누드화를 그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