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NSVD 사례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사례 선정 이유
1.2.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2. 문헌고찰
2.1. 자연분만의 정의
2.2. 정상분만 요소
2.3. 전구증상
2.4. 자연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 분만의 단계
3. 간호사례
3.1. 간호력
3.2. 신체검진
3.3. 진단적 검사 및 기타자료, 투약
3.4. 병의 경과
3.5.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4.1.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4.2. 모성간호학 실습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사례 선정 이유
출산율이 줄어들고 있는 현재 분만실에도 환자 수가 줄고 있다. 분만실에 배정을 받아도 분만하는 환자가 없으면 졸업할 때까지 분만장면을 볼 수 없다고 하는데, NSVD 장면을 직접 목격했고 생명 탄생의 경이로움을 느꼈기 때문에 이 사례를 선택했다.
대상자는 질환이 없는 정상적인 사례의 산모(NSVD)이다. 출산율 감소로 인해 분만실 실습 기회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직접 NSVD 과정을 관찰하고 생명 탄생의 감동을 느낄 수 있었기에 이 사례를 선택했다.
1.2.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대상자는 37+1주의 산모로, 질환이 없는 정상적인 사례의 산모(NSVD)이다. 산모의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특별한 건강문제는 없었으며, 재태기간, 분만 예정일, 산과력 등이 정상 범위 내에 있다. 산전기형아 검사, 양수검사, 임신성 당뇨 검사 등에서도 모두 정상 결과를 보였다.
2. 문헌고찰
2.1. 자연분만의 정의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태아도 건강한 상태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질강을 통해 태아가 만출되는 것이 자연분만이다. 양막 파열이나 혈성 이슬 등은 분만 진통 중 혹은 진통시작 전 나타날 수 있다. 진통이 시작되고 나서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게 되는 1기,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리고 나서 태아가 만출 되기까지의 2기, 태아 만출 후 태반이 나올 때까지의 3기, 태반이 만출까지 이루어진 뒤 분만 후 1시간 동안을 4기로 나누게 된다.
2.2. 정상분만 요소
산도는 모체의 골반과 연조직으로 구분되며, 태아의 아두, 태세, 태위, 선진부 하강도 등이 중요한 요소이다. 태위는 태아의 장축과 모체의 장축과의 관계를 말하며 종위와 횡위로 구분된다. 선진부는 태아의 밑 부분으로 분만 시 제일 먼저 나오는 부분이며, 하강도는 양쪽 좌골극으로 태아의 선진부가 도달한 상태를 의미한다. 만출력은 불수의적인 자궁수축과 수의적으로 내려 미는 힘으로 구성된다. 산부의 자세는 분만에 영향을 미치며, 기립자세와 앉은 자세가 경관 개대에 효과적이다. 산부의 심리적 요인, 즉 자신감, 불확실성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상, 분만과정과 출산에 대한 태도 및 기대 등이 분만에 영향을 미친다.
2.3. 전구증상
하강감은 분만 2-4주 전에 아두가 골반 내로 들어가는 것으로, 특히 초임부에게 주로 나타난다. 가진통(브랙스턴 힉 수축)은 분만의 시작 때와 같이 자궁수축이 반복되면서 심한 불편감이 나타나는 것이다. 자궁수축이 불규칙적이고 이슬이 나타나지 않고 자궁경관의 개대가 일어나지 않는 시기이다. 이슬은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자궁경관의 미세 혈관들이 압박 파열되어 나온 혈액이 임신 중에 자궁경부를 막고 있던 점액마개와 섞여져 나오는 혈성 점액질이다. 만삭에서 이슬이 나오면 분만이 시작되었거나 몇 시간 내지 며칠 내에 분만이 시작된다. 양막파열은 양수를 싸고 있는 막...
참고 자료
여성간호학 1, 수문사, 201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간호학 2, 수문사, 201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2, 현문사, 2014, 이영숙
구미순천향대학병원 분만실 간호지침서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20), 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자연분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