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관절염보건교육안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퇴행성관절염보건교육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퇴행성 관절염의 정의와 특성
1.2. 퇴행성 관절염의 유병률과 심각성
1.3. 우리나라와 지역사회의 퇴행성 관절염 현황

2. 대상자 및 지역사회 사정
2.1. 대상자 지역의 인구학적 특성
2.2. 대상자 지역의 의료자원과 서비스 현황
2.3. 대상자 지역의 퇴행성 관절염 관련 건강행태

3. 문제분석 및 간호진단
3.1. 강점 및 기회 요인 분석
3.2. 약점 및 위협 요인 분석
3.3. 핵심 간호 진단

4. 보건교육 계획
4.1. 보건교육의 목적과 목표
4.2. 보건교육 내용 및 방법
4.3. 보건교육 수행 및 평가

5. 결론
5.1. 교육 프로그램 운영 결과
5.2. 제언 및 향후 과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퇴행성 관절염의 정의와 특성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염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고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다. 주로 체중부하 관절에 발생하며, 40세 이상 인구에서 70%, 65세 인구에서 80% 정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만성질환 중 하나로, 노년기에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질병이다.


1.2. 퇴행성 관절염의 유병률과 심각성

퇴행성 관절염은 전 세계 70세 이상 노인 중 40%가 이환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50세 이상 성인의 퇴행성 관절염 유병률도 전체 12.5%를 차지하고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노년층에서 매우 흔한 질환으로 고혈압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퇴행성 관절염 유병은 사회적으로도 높은 비용 부담을 발생시키고 있는데, 관절염 질환 전체 진료비용이 2011년 1조 4,884억원에서 2015년 1조 8,402억 원으로 3,518억 원(23.6%)이 증가하였다. 특히 노년기에 경제적 손실이 큰 질환으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질병이다.


1.3. 우리나라와 지역사회의 퇴행성 관절염 현황

우리나라와 지역사회의 퇴행성 관절염 현황이다.

퇴행성 관절염은 국내에서 매우 흔한 만성질환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고령인구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유병률은 37.8%이며, 특히 여성에게 호발하는 경향을 보인다. 여성의 유병률은 50.1%로 남성의 20.2%에 비해 약 3배 더 높다.

또한 관절염 질환 전체 진료비용이 2011년 1조 4,884억원에서 2015년 1조 8,402억 원으로 3,518억 원(23.6%)이 증가하여 사회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특히 노년기에 경제적 손실이 크고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질병이다.

청주시의 경우 구별 관절염 진단 경험률이 서원구(25.6%)>상당구(24.4%)>청원구(21.2%)>흥덕구(19.5%)로 서원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서원구의 의료취약 인구 중 국민기초생활 수급자가 6,653명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어, 경제적 취약계층에서 관절염 유병률이 높은 편이다.

더불어 서원구의 중등도 이상 걷기 실천율은 18.4%로 청주시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관절염 예방 및 관리에 중요한 신체활동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이처럼 지역사회 내에서도 특정 지역의 퇴행성 관절염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는 등 지역 간 편차가 존재한다.


2. 대상자 및 지역사회 사정
2.1. 대상자 지역의 인구학적 특성

청주시청 통계 결과(2022)에 따르면 서원구 내에서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가장 많은 동은 수곡동이다. 현재 청주시의 노령인구(65세 이상)는 125,848명으로 고령화율이 14.8%이며, 청년인구(19-39세)는 241,473명으로 전월 보다 427명 감소하였다. 서원구의 총 인구수는 191,966명으로 남자 95,550명, 여자 96,111명이며, 이 중 유소년(0~14세)은 21,019명,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138,229명, 노령인구는 32,413명이다. 이를 바탕으로 서원구의 노령화 지수는 154.2%로 청주시에서 가장 높은 편이며, 총부양비는 38.65%로 측정되었다. 또한 서원구의 의료취약 인구 중 국민기초생활 수급자가 6,653명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2.2. 대상자 지역의 의료자원과 서비스 현황

수곡1동에는 공공기관으로 수곡 우체국 1개소가 위치한다. 편의점은 없으며, 마트 2곳, 청주 남중학교와 청주교육대학교 등 교육기관 2개소가 있다. 한편, 헬스장, 볼링장, 노래방 등의 여가시설은 찾아볼 수 없다. 대신 청주교육대학교 내에서 평생교육원을 운영하고 있어 꽃차 클래스, 피아노 레슨, 한국화 그리기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대중교통으로는 큰 대로변에 22개의 버스 노선이 지나가는 버스 정류장이 있어 이용이 가능하다. 개인상점의 경우 대부분...


참고 자료

오지현, 「퇴행성 관절염 노인의 삶의 질 구조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박사 학위논문, 2013, p.74.
천의영, 「자가관리프로그램이 슬관절염환자의 신체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3호, 2005년 6월J Korean Acad Nurs Vol.35 No.3, 514-525, June, 2005
서울아산병원, 「퇴행성 관절염이란?」, 메디컬칼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story/medicalcolumn/medicalColumnDetail.do?medicalColumnId=24730 (2022.07.19.)
고려대학교안암병원, 「퇴행성 관절염」, 질병정보, http://anam.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232&cPage=&DP_CODE=AAOS&MENU_ID=004005 (2022.07.19.)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338~340
광주 새우리 병원, 「퇴행성 관절염 초기, 중기, 말기 단계별 증상과 치료법」,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aewoori8000&logNo=221561266665 (22.08.02)
수원 S 서울병원 정형외과 노경선 원장, 「무릎 퇴행성 관절염, 조기발견 및 치료의 중요성」, 『중앙일보』, 21.04.22,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41295#home (22.07.22)
유재욱, 「관절에 좋은 음식? 피해야 할 것부터 알아보시죠」, 『중앙일보』, 2019.03.12 07:00,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08043#home (2022.07.22)
국민건강보험 국민소통실, 「2019년 무릎관절증 질환 60대가 33.0%(97만 명) 가장 많아」, 『국민건강보
험』, 2021.4.16.
아주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지형민 교수, 「쪼그려 앉거나 무릎 꿇는 습관이 무릎관절염 일으켜」, 아주대학교병원, 1쪽,
http://hosp.ajoumc.or.kr/HealthInfo/DiseaseView.aspx?ai=1274&cp=2&sid=
김영일, 「재가 골관절염 환자의 관절건강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계명대학교, 2016, p.62~73
황옥남 외.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제 7판
하운경 외. 우리나라 노인의 관절염 유병과 인구사회적 요인의 관련성: 노인실태조사(2014, 2017) 자료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2019;29(4):469-481 | ISSN 1225-4266
청주시 제 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중장기 계획(2019~2022년)
청주시청. 청주시 통계정보. 연령별 인구. 2022. 10월 연령별 인구
https://www.cheongju.go.kr/stat/selectBbsNttView.do?key=1710&bbsNo=536&nttNo=209551&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integrDeptCode=
김춘미 외. 수문사. 지역사회간호학 제 2판. 206-207
송경애. (1999). PACE 프로그램이 퇴행성관절염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통증 및 관절기능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6(2), 278-294.
송경애. "관절염 체조." 근관절건강학회지 8.2 (2001): 365-375.
이상돈기자. 21.05.11, ‘65세 이상 고혈압 유병인구 440만명 추정’. the most, 22.11.30 http://www.mostonl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991
대한당뇨병학회.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0
슬관절 학회. (2012). ‘슬관절학회와 함께하는 퇴행성 관절염 가이드북’. 유재두. file:///C:/Users/82105/OneDrive/%EB%B0%94%ED%83%95%20%ED%99%94%EB%A9%B4/%EC%8A%AC%EA%B4%80%EC%A0%88%20%ED%95%99%ED%9A%8C%20%ED%87%B4%ED%96%89%EC%84%B1%20%EA%B4%80%EC%A0%88%EC%97%BC.pdf
질병관리청 만성질환학회. (2021). 우리나라 만성질환의 발생과 관리현황. 조경숙. file:///C:/Users/82105/AppData/Local/Temp/MicrosoftEdgeDownloads/9234a074-34ba-4ffb-ad7e-92a6f3a2587c/%EC%9A%B0%EB%A6%AC%EB%82%98%EB%9D%BC+%EB%A7%8C%EC%84%B1%EC%A7%88%ED%99%98%EC%9D%98+%EB%B0%9C%EC%83%9D%EA%B3%BC+%EA%B4%80%EB%A6%AC+%ED%98%84%ED%99%A9.pdf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