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현황 분석
1.1. 지리적 특성
도봉구는 서울시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봉구의 총면적은 20.7㎢로 서울시 면적의 3.4%를 차지하고 있다. 도봉구는 남북간 연장거리가 8.5㎞, 동서간 거리가 3.7㎞로 남북방향으로 긴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도봉구는 백운대와 도봉산을 잇는 북한산국립공원 및 개발제한구역이 입지하고 있으며, 동측의 중랑천과 남측의 우이천을 경계로 노원구 및 강북구와 연접해 있다. 또한 북측은 의정부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도봉구의 평균기온은 연 35.6℃의 차이를 보이며, 겨울철 월평균 기온은 영하 4.8℃, 여름철 월평균 기온은 30.8℃이다. 도봉구의 주요 산으로는 자운봉, 만장봉, 선인봉 등이 있으며, 주요 하천으로는 중랑천과 우이천이 흐르고 있다. 도봉구의 명소로는 연산군 묘, 도봉서원과 각석군, 무수골 등이 있다.
1.2. 인구 및 가구 특성
도봉구의 인구 및 가구 특성이다. 도봉구의 총인구는 2015년 12월 기준 353,241명이며, 2000년 이후 2005년까지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도봉구의 성비는 2016년 95.6%로 여성이 남성보다 많다. 도봉구의 연령별 인구 분포를 살펴보면, 0~34세까지의 인구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지만 50세 이상의 인구는 여성이 더 많다. 특히 85세 이상 인구에서 여성이 남성의 2배 이상을 차지한다. 도봉구의 출생인구는 2015년 2,481명, 사망인구는 1,776명이었으며 2017년에는 출생인구가 2,249명, 사망인구가 1,819명이었다. 도봉구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15년 48,847명으로 여성노인이 더 많다. 도봉구의 유년 부양비는 14.6, 노년 부양비는 20.6이며, 노령화 지수는 141.4로 높아 체계적인 노인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 도봉구의 취약계층에는 독거노인 10,983명, 장애 등록자 14,847명, 기초생활보장 대상자 5,986명, 소년소녀가장 3명 등이 있다.
1.3. 사회경제적 특성
도봉구는 서울의 중심에서 동북쪽으로 약 12km 떨어져 있는 지역이다. 도봉구의 전체 면적은 20.7㎢로 서울특별시 면적의 3.4%를 차지한다. 인구는 약 334,165명이며, 이 중 남자가 163,364명, 여자가 170,801명으로 여자의 비율이 약간 높다.
도봉구 주민의 직업 분포를 보면, 도·소매업 종사자가 가장 많고 농업 숙련 종사자가 가장 적다. 도봉구 주민의 월 가구 소득은 400만원 이상이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300~399만원, 200~299만원 순이다.
도봉구 내 교육기관은 유치원 30개소, 초등학교 23개소, 중학교 13개소, 일반계 고등학교 6개소, 전문고 4개소, 대학교 1개, 대학원 3개가 있다. 도봉구 주민의 교육 수준은 대졸이 가장 많고, 대학원 이상이 가장 적다.
도봉구에는 공원이 총 81개소 있으며, 이 중 어린이공원이 39개소로 가장 많다. 체육시설로는 축구장 2개소, 테니스장 1개소, 간이운동장 69개소, 구기체육관 1개소, 생활체육관 1개소, 전천후 게이트볼장 1개소, 수영장 2개소가 있다.
이를 통해 도봉구는 상대적으로 주거와 녹지 비율이 높고, 중소기업 위주의 제조업 중심 지역이며, 교육기관과 공원, 체육시설이 양적으로 풍부한 편임을 알 수 있다.
1.4. 문화 및 복지 자원
도봉구에는 다양한 문화복지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구민회관 1곳, 종합복지관 3곳, 구민체육시설 1곳, 청소년회관 5곳, 문화원 1곳, 공공 도서관 7곳, 박물관 3곳, 영화관 1곳이 있다. 그러나 미술관, 문화예술회관, 국악원, 종합공연장과 같은 문화시설은 부족한 편이다.
도봉구에는 오락 및 휴식시설로 체육시설 112개소, 공공도서관 7개소, 공연장 4개소, 박물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