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지구의 표면을 덮고 있는 토양은 그 지역의 자연 환경인 기후, 강수량, 모재, 시간, 생물 등 생태계적 환경에 의해 특징을 가지며 이들 인자들의 상대적 관계와 강도에 따라 특징적인 토양이 생성된다.
토양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생물의 생산, 생물의 배양과 분해, 정화, 양분(수분, 탄소 등)의 저장, 생물 다양성의 보존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농업 측면에서 토양은 건강한 농산물 생산을 위한 건강한 토양이 필수조건이 된다.
본론에서는 농촌진흥청 '흙토람' 홈페이지를 통해 희망하는 작물을 심고 재배하기 위한 지역의 토양 특성을 파악하고 토양 화학성을 분석한 후 비료사용 처방을 통해 토양의 양분함량 개선을 계획하고 시군 농업기술센터의 토양검정기반 비료사용처방 서비스를 체험해 보고 고찰하고자 한다.
2. 농업 형태에 따른 토양 특성
2.1. 노지 토양의 특성
토양은 지구의 표면을 덮고 있는 바위가 부스러져 생긴 가루인 무기물과 동식물에서 생긴 유기물이 섞여 이루어진 물질이다. 토양은 작물에 수분과 양분을 저장·공급하며 뿌리를 내리게 하여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물이 생육하는 배지로서의 토양은 적절한 양의 수분과 양분을 저장·공급할 수 있어야 하며 공기의 유통이 원활해야 하고 유해한 물질의 집적 없이 양분 간의 균형이 유지되어야 한다. 토양은 A층, B층, C층으로 구분되며 토양 생성 발달의 결과로 인한 주요한 감식층위의 유무와 그 종류에 의하여 12개의 목으로 분류되고 있다.
토양은 해당 지역의 자연 환경인 기후, 강수량, 모재, 시간, 생물 등 생태계적 환경에 의해 특징을 가지며 이들 인자들의 상대적 관계와 강도에 따라 특징적인 토양이 생성된다. 토양 중 무기성분은 뿌리를 통하여 토양으로부터 이온의 형태로 흡수되며 작물이 생육하는데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원소는 16종이다. 토양은 일반적으로 산도,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등의 화학성과 물리성, 입단 구조, 공극률 등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그 특성이 구분된다.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토성, 투수성, 보수력, 공극률, 입단구조 등으로 나타나며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 유기물 함량, 치환성 양이온 함량, 유효인산 함량 등으로 나타난다. 노지 토양은 일반적으로 경운이나 시비, 작부체계 등 다양한 농업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일반적으로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지속적인 농경활동으로 인해 점차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낮아지고 염류의 집적 등 토양 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
2.2. 밭 토양의 특성
밭 토양은 논과 달리 배수가 양호하고 토양 산성화가 심하다. 일반적으로 밭 토양의 pH가 낮은 편이다. 이는 강우에 의해 표토에서 염기성 양이온들이 씻겨 내려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밭 토양에는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륨 등의 양분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유기물 함량도 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밭 토양의 배수가 양호하여 염류 집적이 심하지 않으나, 강우에 의한 토양 양분 유실이 크다. 이로 인해 적정 수준의 양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비료 시용이 필요하다. 특히 인산과 칼륨 비료를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밭 토양은 경운 작업이 빈번하고 바람에 의한 토양 침식이 심하다. 이에 따라 토양 유기물 함량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퇴비나 녹비작물 재배 등을 통해 토양 유기물 증진이 필요하다.
토양 물리성 측면에서 밭 토양은 양호한 편이지만, 장기적인 경운으로 인해 토양 압밀화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심경, 심경로터리 작업 등을 통해 토양 물리성을 개선해야 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밭 토양은 산성화, 양분 부족, 유기물 감소, 물리성 악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