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원격교육은 교수와 학습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 교과서, 방송교과서, 오디오 또는 비디오교과서, 통신망 등을 통해 교수·학습활동을 수행하는 교육의 한 형태이다. 시간과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언제든지 배울 수 있는 교육이다. 개방형 대학, 방송통신대학 등 고등교육기관, 기업교육, 통신과정 등 사회교육 프로그램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전면적으로 사용하기 전에는 인쇄 매체나 방송을 통해 원격 교육을 실시했으나,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통신공학을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 능동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보다 풍부한 원격교육이 가능해졌다.
2. 원격교육의 개념과 발전과정
2.1. 원격교육의 개념 및 체제
원격교육은 교수와 학습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 교과서, 방송교과서, 오디오 또는 비디오교과서, 통신망 등을 통해 교수·학습활동을 수행하는 교육의 한 형태이다. 시간과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언제든지 배울 수 있는 교육 형태이다. 개방형 대학, 방송통신대학 등 고등교육기관, 기업교육, 통신과정 등 사회교육 프로그램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원격교육은 시간과 공간이 분리되는 여부에 따라 동시적 원격교육과 비동시적 원격교육으로 나뉜다. 동시적 원격교육은 같은 시간대에 이루어지지만 서로 다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원격교육으로 방송통신대학교의 TV나 라디오를 통한 강의, 비디오 컨퍼런싱 활용 교육이 이에 해당한다. 비동시적 원격교육은 서로 다른 시간대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원격교육으로 웹기반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러한 교육에 해당한다.
원격교육의 구성요소는 자원, 설계, 전달, 상호작용, 학습환경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자원에는 학습자의 요구나 조직, 철학 등이 해당하며, 설계에는 교수, 학습의 설계, 활용매체, 프로그램 및 평가가 포함된다. 전달에는 인쇄물, 오디오 또는 비디오, TV, 인터넷을 활용한 컴퓨터 네트워크 등이 해당한다. 상호작용에는 교수자와 학습자, 동료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 상담자의 상호작용이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환경에는 직장, 가정, 교실, 학습센터 등이 포함된다.
2.2. 원격교육의 발전단계
2세대 원격교육은 대중매체와 방송매체가 새로운 공학으로 등장한 시기에 발전하였고, 인지주의 학습이론이 점차 주목을 받게 되었다. 또한 우편물, 라디오, 텔레비전 등 라디오 매체, 전화 등을 이용한 인쇄교과서를 조합하여 각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고 단점을 보완하였다. 브리티시 오픈 대학교는 1970년대에 인쇄된 교과서를 보완하기 위해 라디오를 청각 매체로 도입한 후 학습을 위해 오디오 카세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3세대 원격교육은 학습자에게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도입한 인터랙티브 원격교육이나 가상교육의 세대로서 현대사회에서 흔히 사용하는 멀티미디어와 네트워크를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졌다....